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608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오호~~~ 이게 웬일입니까, 빌드하다가 실로 오랜만에 시스템이 갑자기 BSOD가 뜨더니, 리부트 후 다시 하는 빌드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 dotnet publish -r linux-x64 -c Release
MSBuild version 17.8.3+195e7f5a3 for .NET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156,5):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mnt/c/temp/ConsoleApp1/ConsoleApp1.csproj]

재미있는 것은, 윈도우 환경에서 "dotnet publish -r win-x64 -c Release"로 실행하면 문제 없이 빌드가 됩니다. ^^;




자, 그럼 오류가 발생했다고 하는,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 파일의 156 라인을 볼까요?

155      <!-- Call restore -->
156      <RestoreTask
157        RestoreGraphItems="@(_RestoreGraphEntryFiltered)"
158        RestoreDisableParallel="$(RestoreDisableParallel)"
159        RestoreNoCache="$(RestoreNoCache)"
160        RestoreIgnoreFailedSources="$(RestoreIgnoreFailedSources)"
161        RestoreRecursive="$(RestoreRecursive)"
162        RestoreForce="$(RestoreForce)"
163        HideWarningsAndErrors="$(HideWarningsAndErrors)"
164        Interactive="$(NuGetInteractive)"
165        RestoreForceEvaluate="$(RestoreForceEvaluate)"
166        RestorePackagesConfig="$(RestorePackagesConfig)">
167        <Output TaskParameter="EmbedInBinlog" ItemName="EmbedInBinlog" />
168      </RestoreTask>

RestoreTask니까, 그냥 이렇게만 해도 오류가 재현됩니다.

$ dotnet restore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usr/share/dotnet/sdk/8.0.100/NuGet.targets(156,5):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mnt/c/temp/ConsoleApp1/ConsoleApp1.csproj]

문제를 좁혀본 결과, 아래의 참조가 없으면 괜찮았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ublishAot>true</PublishAot>
    <InvariantGlobalization>true</InvariantGlobalization>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Version="1.19.5" />
  </ItemGroup>

</Project>

혹시나 싶어 새롭게 프로젝트를 만들고 추가를 했더니,

$ cd /tmp/testconsole

$ dotnet new console

$ dotnet add package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Determining projects to restore...
  Writing /tmp/tmpnqryAv.tmp
info : X.509 certificate chain validation will use the fallback certificate bundle at '/usr/share/dotnet/sdk/8.0.100/trustedroots/codesignctl.pem'.
info : X.509 certificate chain validation will use the fallback certificate bundle at '/usr/share/dotnet/sdk/8.0.100/trustedroots/timestampctl.pem'.
info : Adding PackageReference for package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into project '/mnt/c/temp/ConsoleApp2/ConsoleApp2.csproj'.
info :   GET https://api.nuget.org/v3/registration5-gz-semver2/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index.json
info :   OK https://api.nuget.org/v3/registration5-gz-semver2/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index.json 898ms
info : Restoring packages for /mnt/c/temp/ConsoleApp2/ConsoleApp2.csproj...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index.json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vulnerability.base.json
info :   CACHE https://api.nuget.org/v3/vulnerabilities/vulnerability.update.json
error: Root element is missing.

역시나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




반면 다른 패키지 참조는 또 잘 됩니다.

$ dotnet add package CustomMessageLoop
...[생략: 성공 메시지]...

그렇다면, 지난번 빌드에서 Microsoft.VisualStudio.Azure.Containers.Tools.Targets 패키지를 구성하는 중 뭔가 불안정한 상태로 있는 순간 블루 스크린이 떴던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일단, 이거저거 따지기 귀찮아서 모든 Nuget cache를 삭제한 다음,

// Managing the global packages, cache, and temp folders
// https://learn.microsoft.com/en-us/nuget/consume-packages/managing-the-global-packages-and-cache-folders

$ dotnet nuget locals all --list
http-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http-cache
global-packages: /home/testusr/.nuget/packages/
temp: /tmp/NuGetScratchtestusr
plugins-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plugin-cache

$ dotnet nuget locals all --clear
Clearing NuGet HTTP 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http-cache
Clearing NuGet global packages folder: /home/testusr/.nuget/packages/
Clearing NuGet Temp cache: /tmp/NuGetScratchtestusr
Clearing NuGet plugins cache: /home/testusr/.local/share/NuGet/plugin-cache
Local resources cleared.

다시 패키지 추가를 시도했더니, 이번에는 잘 되었습니다. (단지, 특정 소스에서 설치 시 시간이 약 10분 정도 넘게 걸린 듯합니다.) 어쩌면 그 패키지만 삭제했어도 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다음번에 재현되면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87정성태3/27/20245951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
13586정성태3/27/20248019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13585정성태3/26/20246422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
13584정성태3/26/20247101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3583정성태3/25/20246324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
13582정성태3/19/20246887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파일 다운로드1
13581정성태3/18/20246739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13580정성태3/15/20246071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79정성태3/13/20246447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13578정성태3/11/20247005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파일 다운로드1
13577정성태3/9/20247312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
13576정성태3/8/20246216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6695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6239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5914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6265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6046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6063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6406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5639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5579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5613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5501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6055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5952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5952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