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9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6.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 https://www.sysnet.pe.kr/2/0/1046

.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 https://www.sysnet.pe.kr/2/0/1352

.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0950

.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0959

.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10

오류 유형: 672.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어셈블리의 struct 멤버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2384

.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65

.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05

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57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가끔씩 제 블로그에서 .NET Profiler를 설명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 https://www.sysnet.pe.kr/2/0/1046

제작 방법 및 등록까지 모두 여지없이 COM 개체입니다.




최근에, .NET Profiler 내부에서 COM 개체를 사용할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 벌어졌는데, CoCreateInstance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반환된 HRESULT 값은 0x800401f0으로 의미는 "CoInitialize has not been called."였습니다.

아니... 이럴 수가 있을까요? 모든 COM 개체는 Apartment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정상일텐데 오류 메시지는 그렇지 않음을 알려주었습니다. 실제로 COM 개체를 생성하기 전에 CoInitialize를 해주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음... 혹시 제가 모르는... CoInitializeEx의 중첩 상황에서 저런 경우가 벌어지는 것이 아닐까... 갖가지 상황이 떠오르다가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해야겠다 싶어서 해당 스레드의 초기화된 Apartment를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 다음과 같은 글이 씌여졌던 것입니다.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1

.NET에서도 알아냈으면 당연히 C/C++에서는 더욱 쉽게 알아낼 수 있는데요. 결국 이런 코드가 만들어집니다.

typedef UINT (CALLBACK* LPNTCURRENTTEB)();

UINT TEB;

// FS:[0x18]의 값도 TEB
//__asm {
//  push eax
//  mov eax, FS:[0x18]
//  mov unPEB1, eax
//  pop eax
//}

HMODULE hMod = GetModuleHandle(L"ntdll.dll");
LPNTCURRENTTEB lpNtCurrentTeb = (LPNTCURRENTTEB)GetProcAddress(hMod, "NtCurrentTeb");

TEB = lpNtCurrentTeb();

int *pReservedForOle = (int *)(TEB + 0xf80);
int reservedForOle = *pReservedForOle;   // 결과: reservedForOle == 0

/*
int *pNativeApt = (int *)(reservedForOle + 0x50);
int nativeApt = *pNativeApt;

int *pAptKind = (int *)(nativeApt + 0x0c);
int AptKind = *pAptKind;
*/

Apartment 값을 알아내기 이전에 이미 reservedForOle 필드 값이 0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값이 0이면 Apartment 초기화가 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즉, CLR 소스 코드에서는 .NET Profiler를 COM 개체로써가 아닌 COM 개체 규약으로 만들어진 일반 C++ 클래스를 다루듯이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레지스트리에 등록되는 .NET Profiler의 Apartment는 Both가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런데,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해도 왠지 ^^ 다른 값을 넣고 싶지는 않은 이 마음은 뭘까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20정성태7/22/201825004Graphics: 11.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7) - Blur (평균값, 가우스, 중간값) 필터 [1]파일 다운로드1
11619정성태7/21/201824440Graphics: 10.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6) - Mosaic Shading
11618정성태7/20/201820820개발 환경 구성: 387. 삼성 오디세이(Odyssey)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11617정성태7/20/201821421Team Foundation Server: 50.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5) - "Rollback", "Rollback Entire Changeset"
11616정성태7/17/201820382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11615정성태7/17/201824820.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14정성태7/17/201828038Graphics: 8. Unity Shader - Texture의 UV 좌표에 대응하는 Pixel 좌표
11613정성태7/16/201824895Graphics: 7.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5) - Flat Shading
11612정성태7/16/201822752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11611정성태7/15/201823045Graphics: 6.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4) - 퐁 셰이딩(phong shading)
11610정성태7/15/201820951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11609정성태7/15/201823440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11608정성태7/15/201826662Graphics: 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컬러 반전 및 상하/좌우 뒤집기
11607정성태7/14/201827045Graphics: 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11606정성태7/13/201827980사물인터넷: 19.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파일 다운로드1
11605정성태7/13/201824633사물인터넷: 18.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내장 LED 및 입력 핀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04정성태7/12/201823801Math: 47. GeoGebra 기하 (24) - 정다각형파일 다운로드1
11603정성태7/12/201818166Math: 46. GeoGebra 기하 (23) - sqrt(n) 제곱근파일 다운로드1
11602정성태7/11/201819083Math: 45. GeoGebra 기하 (22) - 반전기하학의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1정성태7/11/201822309Math: 44. GeoGebra 기하 (21) - 반전기하학의 직선 및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0정성태7/10/201821466Math: 43. GeoGebra 기하 (20) - 세 점을 지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99정성태7/10/201819574Math: 42. GeoGebra 기하 (19) - 두 원의 안과 밖으로 접하는 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98정성태7/10/201822087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11597정성태7/10/201824639사물인터넷: 17. Thinary Electronic - ATmega328PB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개발 환경 구성
11596정성태7/10/201821535기타: 72. 과거의 용어 설명 - OWIN
11595정성태7/10/201826836사물인터넷: 16.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