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10. C# - Native 메모리에 .NET 개체를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23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538

닷넷: 2210. C# - Native 메모리에 .NET 개체를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537

닷넷: 2211. C# - NonGC(FOH) 영역에 .NET 개체를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538




C# - Native 메모리에 .NET 개체를 생성

예전에 소개한 라이브러리가 있는데요,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538

저것이 가능한 이유는, .NET 개체에 대한 메모리 구조를 그대로 Native 메모리에 적용해서 닷넷 런타임으로 하여금 Managed 개체처럼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을 간단하게 코드로 알아볼까요?

예전에 언급했던 것처럼,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76

참조 개체의 메모리 형식은 다음과 같은 유형의 메모리로 구성됩니다.

[일반 개체인 경우]

Object Header (CPU Word 크기)
Method Table (CPU Word 크기)
...[멤버 field]...


[배열 개체인 경우]

Object Header (CPU Word 크기)
Method Table (CPU Word 크기)
# of elements (배열 요소 크기)
N 개의 요소 (연속된 배열 요소)

따라서, 우리가 만약 Int32 필드를 가진 다음과 같은 개체를 정의했다면,

public class MyObject
{
    public int Value { get; set; }
}

아래와 같이 24바이트만 채워주면 CLR은 그것을 MyObject로 인식할 수 있는 것입니다.

| object header | method table   | field Value    |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재미 삼아 값을 하나씩 채워볼까요? 우선, object header는 0, field value는 초깃값을 주면 되므로 어렵지 않습니다. 남은 것은 Method Table인데요, 이에 대해서는 전에도 한 번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Method Table
; https://www.sysnet.pe.kr/2/0/12142#method_table

그러니까, TypeHandle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고,

var pMethodTable = typeof(MyObject).TypeHandle.Value;

인스턴스화된 개체를 통해서도 구할 수 있습니다.

MyObject obj = new MyObject();

TypedReference tr = __makeref(obj);
nint objectPtr = **(nint**)(&tr);
IntPtr pMethodTable = *(nint*)objectPtr;

이것을 종합해, 특정 개체를 네이티브 메모리에 그대로 복제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MyObject obj = new MyObject() { Value = 10 };

        IntPtr allocated = Marshal.AllocHGlobal(MyObject.GetObjectSize());
        MyObject objOnNative = MyObject.WriteObject(allocated, obj);
        objOnNative.Value++;

        Console.WriteLine(obj); // 출력 결과: 10
        Console.WriteLine(objOnNative); // 출력 결과: 11

        Marshal.FreeHGlobal(allocated);
    }
}

public class MyObject
{
    public int Value { get; set; }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Value}";
    }

    public unsafe static int GetObjectSize()
    {
        // return 24; // 0x18

        var pMethodTable = typeof(MyObject).TypeHandle.Value;
        var methodTable = *(MethodTable*)pMethodTable;
        return methodTable.BaseSize;
    }

    public unsafe static MyObject WriteObject(IntPtr ptr, MyObject obj)
    {
        *(nint*)ptr = 0; // Object Header를 쓰고,
        ptr += sizeof(nint);
        IntPtr objAddress = ptr;

        var pMethodTable = typeof(MyObject).TypeHandle.Value;
        // TypedReference tr = __makeref(obj);
        // nint objectPtr = **(nint**)(&tr);
        // IntPtr pMethodTable = *(nint*)objectPtr;

        *(nint*)ptr = pMethodTable; // Method Table을 쓰고,
        ptr += sizeof(nint);

        *(int*)ptr = obj.Value; // 멤버 필드 값을 설정

// #pragma warning disable 8500 
        // warning CS8500: This takes the address of, gets the size of, or declares a pointer to a managed type ('MyObject')
        // MyObject objValue = *(MyObject*)&objAddress;
// #pragma warning restore 8500

        MyObject objValue = Unsafe.As<nint, MyObject>(ref objAddress);

        return objValue;
    }
}

// runtime/src/coreclr/vm/methodtable.h
// ; https://github.com/dotnet/runtime/blob/main/src/coreclr/vm/methodtable.h#L584
[StructLayout(LayoutKind.Explicit)]
public struct MethodTable
{
    // Low WORD is component size for array and string types (HasComponentSize() returns true).
    // Used for flags otherwise.
    [FieldOffset(0)]
    public int Flags;

    [FieldOffset(0)]
    public ushort ComponentSize;

    // Base size of instance of this class when allocated on the heap
    [FieldOffset(4)]
    public int BaseSize;
}

이런 식으로 개체를 만드는 것이 재미있긴 하지만, 이전에 언급했던 것처럼 현실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가장 심한 제약이 바로, 저렇게 만든 MyObject는 GC Heap에 있는 참조 개체를 포함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식으로 문자열조차도 보관해서는 안 됩니다.

MyObject obj = new MyObject();
obj.Value = 5;
obj.Name = "...."; // GC Heap에 있는 문자열을 보관한 경우 GC 이후 문제 발생 (.NET 8부터는 문자열 리터럴을 FOH에 위치)

public class MyObject
{
    public int Value { get; set; }
    public string Name { get; set; }
}

왜냐하면, "Name" 필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GC Heap에 존재하는 경우 Garbage Collection이 동작한 후로는 아예 삭제되거나, 또는 메모리 Compaction 작업으로 인해 위치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Native Heap에 있던 MyObject의 Name 필드는 GC가 발생하기 전의 위치 그대로를 담고 있으므로 GC 이후에는 쓰레기 위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게 됩니다.

대충 어떤 식인지 감이 오시죠?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9정성태8/26/201132603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1108정성태8/22/201132804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1]
1107정성태8/21/201131981디버깅 기술: 43.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1106정성태8/20/201130558웹: 26. FailedRequestTracing 설정으로 인한 iisexpress.exe 비정상 종료 문제
1105정성태8/19/201129648.NET Framework: 238. Web Site Model 프로젝트에서 Trace.WriteLine 출력이 dbgview.exe에서 확인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04정성태8/19/201130420웹: 25. WebDev보다 IIS Express가 더 나은 점 - 다중 가상 디렉터리 매핑 [1]
1103정성태8/19/201136463오류 유형: 133. WCF 포트 바인딩 실패 오류 - TCP error(10013) [1]
1102정성태8/19/201133029Math: 1. 방탈출3 - Room 10의 '중복가능한 조합' 문제를 위한 C# 프로그래밍 [2]파일 다운로드1
1101정성태8/19/201132822.NET Framework: 237. WCF AJAX 서비스와 JavaScript 간의 DateTime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00정성태8/17/201131863.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099정성태8/15/201130811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1098정성태8/15/201153174웹: 24. 네이버는 어떻게 로그인 처리를 할까요? [2]
1097정성태8/15/201124270.NET Framework: 235. 메서드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으로 클래스를 찾아내는 방법
1096정성태8/15/201128465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1095정성태8/14/201128734디버깅 기술: 41. Windbg - 비정상 종료된 닷넷 프로그램의 StackTrace에서 보이는 offset 값 의미
1094정성태8/14/201133361오류 유형: 131. Fiddler가 강제 종료된 경우, 웹 사이트 방문이 안되는 현상
1093정성태7/27/201126959오류 유형: 130.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1092정성태7/22/201129583Team Foundation Server: 46. 코드 이외의 파일에 대해 소스 제어에서 제외시키는 방법
1091정성태7/21/201128473개발 환경 구성: 128. WP7 Emulator 실행 시 audiodg.exe의 CPU 소모율 증가 [2]
1089정성태7/18/201134098.NET Framework: 234. 왜? Button 컨트롤에는 MouseDown/Mouse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8정성태7/16/201127462.NET Framework: 233. Entity Framework 4.1 - 윈도우 폰 7에서의 CodeFirst 순환 참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87정성태7/15/201129792.NET Framework: 232.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6정성태7/14/201130966.NET Framework: 231.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정성태7/14/201131459.NET Framework: 230.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4정성태7/11/201137195.NET Framework: 229. SQL 서버 - DB 테이블의 데이터 변경에 대한 알림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083정성태7/11/201131066.NET Framework: 228.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