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1708

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09

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 https://www.sysnet.pe.kr/2/0/12171

VS.NET IDE: 144.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97

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3351

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

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547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NET 8 프로젝트부터 Visual Studio가 기본 생성하는 dockerfile이 살짝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Console App 프로젝트를 (.NET 7 이하가 아닌) .NET 8용으로 생성한 다음 "Add" / "Docker Support..." 메뉴를 선택해 dockerfile을 추가하면 대략 아래와 같은 식의 내용을 갖게 됩니다.

#See https://aka.ms/customizecontainer to learn how to customize your debug container and how Visual Studio uses this Dockerfile to build your images for faster debugging.

FROM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AS base
USER app
WORKDIR /app

FROM mcr.microsoft.com/dotnet/sdk:8.0 AS build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WORKDIR /src
COPY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nsoleApp1/"]
RUN dotnet restore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PY . .
WORKDIR "/src/ConsoleApp1"
RUN dotnet build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build

FROM build AS publish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RUN dotnet publish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publish /p:UseAppHost=false

FROM base AS final
WORKDIR /app
COPY --from=publish /app/publish .
ENTRYPOINT ["dotnet", "ConsoleApp1.dll"]

이전과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다면, 바로 "USER app"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옵션을 윈도우 환경과 비교하자면, 예전처럼 저 옵션이 제거된 상태가 "Run as Administrator" 모드였다면 "USER app"이 적용된 이후로는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re-announcement: dotnet/samples breaking changes (port 8080, ...)
; https://github.com/dotnet/dotnet-docker/discussions/4764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 https://andrewlock.net/exploring-the-dotnet-8-preview-updates-to-docker-images-in-dotnet-8/#running-container-images-with-non-root-users

이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에서 apt udpate 등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합니다.

$ apt update
Reading package lists... Done
E: List directory /var/lib/apt/lists/partial is missing. - Acquire (13: Permission denied)

$ sudo apt update
bash: sudo: command not found

만약 root 권한이 필요하다면 명시적으로 docker exec로 접속할 때 "-u 0"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temp>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fe06635e05e7   consoleapp1:dev   "tail -f /dev/null"   16 minutes ago   Up 16 minutes             ConsoleApp1

C:\temp> docker exec -u 0 -it ConsoleApp1 /bin/bash

혹은, 매번 docker exec로 접속하는 것이 귀찮다 싶으면 개발 시에만, 혹은 한시적으로 "USER app" 설정을 주석 처리해도 됩니다.




참고로,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글에서 언급한 chiseled containers는 저도 예전에 아래의 글에서 다룬 적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chiseled_containe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77정성태5/31/201022662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22204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4015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30831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30394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6934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8225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9600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31916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5690.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61767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3372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3759.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9091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2984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857정성태4/27/201031312제니퍼 .NET: 1.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1) - 임시 라이선스 요청 및 다운로드
855정성태4/24/201028242.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4592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5362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6728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851정성태4/14/201037818오류 유형: 92. Task Scheduler 오류: 2147942667 (0x8007010B)
850정성태4/7/201025955.NET Framework: 175. WCF - webHttpBinding + PUT 메서드 구현파일 다운로드1
848정성태3/30/201039751개발 환경 구성: 73. 한 대의 PC에서 여러 개의 키입력 매크로 프로그램이 가능할까? [5]파일 다운로드5
846정성태3/29/201037443VC++: 39.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8]파일 다운로드1
844정성태3/19/201024784개발 환경 구성: 72. Adobe Creative Suite 3 Master Collection - 하드 디스크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843정성태3/19/201033905Windows: 50.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 Windows 7 멀티 부팅하는 방법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