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824

.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25

닷넷: 2204. C# - TCP KeepAlive에 새로 추가된 Retry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31

닷넷: 2206. C# - TCP KeepAlive의 서버 측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533

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546

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550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지인으로부터 제목과 같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저는 이론상 서버 소켓이 닫힌다고 해서 그것과 연결됐었던 자식 소켓들이 닫히지는 않을 거라고 했습니다.

그래도 이런 경우 ^^ 꼭 테스트를 해봐야 합니다.

예제는 대략 다음과 같이 만들어 두고,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namespace ConsoleApp2;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cket 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IPEndPoint ep = new IPEndPoint(IPAddress.Any, 16000);
        Console.WriteLine(ep);

        socket.Bind(ep);
        socket.Listen(10);
        bool accepted = false;

        Thread t = new Thread(() =>
        {
            byte[] buffer = new byte[10];
            Socket client = socket.Accept();
            Console.WriteLine($"Client connected: {client.LocalEndPoint}:{client.RemoteEndPoint}");
            accepted = true;

            while (true)
            {
                int recvBytes = client.Receive(buffer);
                if (recvBytes <= 0)
                {
                    Console.WriteLine("Client disconnected.");
                    break;
                }

                Thread.Sleep(1000);
            }

            client.Close();
        });
        t.Start();

        while (true)
        {
            if (accepted == true)
            {
                Console.WriteLine("Server closed.");
                socket.Close();
                break;
            }
            else
            {
                Thread.Sleep(16);
                Console.Write(".");
            }
        }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게 만들면 서버 측 출력이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0.0.0.0:16000
...........[생략]....................
Client connected: 172.17.0.2:16000:172.17.0.1:52110
Server closed.
Press any key to exit...

화면에 "Client disconnected." 메시지가 없으니, 서버 소켓을 닫아도 클라이언트 소켓은 여전히 접속 중인 것입니다.




혹시나 옵션이 있을까 싶어 찾아봤는데요,

IOControlCode Enum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net.sockets.iocontrolcode

SOL_SOCKET Socket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sock/sol-socket-socket-options

IPPROTO_TCP socket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sock/ipproto-tcp-socket-options

제가 찾는 한에서는 없었습니다. 검색으로도 딱히 안 되는 것을 보면, 이런 기능은 없는 듯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68정성태11/25/201729199.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9971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2039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2934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6476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6379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1072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4330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5328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4244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9562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9996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1559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6126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1454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8350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5110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7442.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3464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4729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20457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4397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21222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7843.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20841.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22558.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