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이 글은 .NET Framework에서 실습했지만 .NET Core/5+인 경우에도 비슷할 것입니다.)

보통, 요청을 처리하는 스레드, 즉 aspx 페이지 자체의 코드를 실행하는 스레드에서의 예외는 상위 호출 스택에서 try/catch를 하고 있으므로 비정상 종료까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스레드, 또는 스레드풀에 속한 스레드에서의 예외는 비정상 종료를 발생할 수 있는데요, 전에도 이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었습니다.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이번 글에서는, 정리하는 의미에서 유형별로 비정상 종료 여부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




우선, 직접적으로 1) 사용자가 생성한 스레드의 경우 예외가 발생하면 비정상 종료를 하게 됩니다. 일례로 아래의 코드는 페이지 방문 후 10초 즈음에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됩니다.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CreateThread();
    }

    private void CreateThread()
    {
        new Thread(() =>
        {
            Thread.Sleep(10 * 1000);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 // Crash
        })
        { IsBackground = true }.Start();
    }
}

이와 마찬가지로 2) 스레드풀에 속한 스레드에서의 예외도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합니다.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Pool.QueueUserWorkItem((arg) =>
    {
        Thread.Sleep(10 * 1000);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 // Crash
    });
}

하지만, 같은 스레드풀의 스레드를 사용하더라도 3) APM(Asynchronous Programming Model) 방식의 모델에서는 예외를 먹어버리기 때문에 비정상 종료를 하지 않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ParameterizedThreadStart testMethod = new ParameterizedThreadStart(this.testMethod);
        testMethod.BeginInvoke(null, null, null); //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

    private void testMethod(object objState)
    {
        Thread.Sleep(1000 * 10);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 // Not crash
    }
}

또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4) async/await도 비정상 종료를 하지 않습니다.

// Default.aspx

<%@ Page Title="Home Page" Async="true" Language="C#" MasterPageFile="~/Site.Master" AutoEventWireup="true" CodeBehind="Default.aspx.cs" Inherits="WebApplication1._Default" %>
...[생략]...

// Default.aspx.cs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Using Asynchronous Methods in ASP.NET 4.5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web-forms/overview/performance-and-caching/using-asynchronous-methods-in-aspnet-45
        RegisterAsyncTask(new PageAsyncTask(PageLoadAsync));

        // 또는, 
        // Walkthrough: Creating an Asynchronous HTTP Handler
        //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aspnet/ms227433(v=vs.100)
    }

    private async Task PageLoadAsync()
    {
        await Task.Delay(10 * 1000);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 // Not crash
    }
}

사실 async/await의 추상화를 제거한다면 Task 기반의 스레드풀 활용으로 대표할 수 있는데요, 이것 역시 ThreadPool.QueueUserWorkItem과 마찬가지로 CLR 측의 ThreadPool 내에 있는 스레드를 활용하는데도 예외 발생으로 인한 프로세스 종료는 하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건, 원래 Task도 비정상 종료를 했었지만 .NET 4.5부터 하지 않도록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만약 여러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위의 1번 및 2번과 같은 사례에서도 예외 발생 시 프로세스 종료를 하지 않도록 막고 싶다면 legacyUnhandledExceptionPolicy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애석하게도 .NET Core의 경우에는 이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 듯한데요,

.net core 2.1 AppDomain.CurrentDomain.UnhandledException
; https://github.com/dotnet/runtime/issues/11546

대신 호스팅 단계에서 설정할 수는 있다고 합니다.

How to pass APPDOMAIN_IGNORE_UNHANDLED_EXCEPTIONS using hostfxr #39587
; https://github.com/dotnet/runtime/issues/39587

그래도 #39587 이슈의 해결책은 대부분의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다지 현실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 스레드와 ThreadPool.QueueUserWorkItem 등의 API 사용 시 예외 처리를 신중하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421.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390.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834.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541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313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335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9004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659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223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426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74.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82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85.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116.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88.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735.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74.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68.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236.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99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94.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26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711.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752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69.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247.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