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830. C# - 비동기 호출을 취소하는 CancellationToken의 간단한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888

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
; https://www.sysnet.pe.kr/2/0/13561

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3580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

예전 글에서,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
; https://www.sysnet.pe.kr/2/0/13561

.NET Framework 환경의 NetworkStream.WriteAsync 비동기 메서드가 CancellationToken에 반응하지 않는다고 했는데요, 이 문제는 NetworkStream.ReadAsync 메서드에서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Socket clntSocket = socket.Accept();
NetworkStream ns = new NetworkStream(clntSocket);
while (true)
{
    byte [] buffer = new byte[1024];
    Console.WriteLine("Receive [before]");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3000);
    int received = await ns.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cts.Token);
    Console.WriteLine("Receive [after]");
}

위와 같이 실행하면,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ns.ReadAsync는 3초 후에도 작업을 취소하지 못하고 await 콜백을 영원히 이어나가지 못합니다.




이 외에도 NetworkStream은 Socket.ReceiveTimeout, Socket.SendTimeout에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전 글"에서 (.NET Framework에서 구현한) NetworkStream의 ...Async 메서드는 내부적으로 APM(Begin/End...) 비동기 메서드 호출을 사용한다고 했는데요, 이로 인해 Socket의 timeout 설정들이 적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냥 .NET Framework 환경에서 NetworkStream으로 비동기를 호출했을 때 timeout을 지정하는 것은 그냥 포기해야 합니다. (대신 우회 방법으로.)

또한 Socket 타입에서도 SendAsync, ReceiveAsync가 제공되는데 이것 역시 SendTimeout, ReceiveTimeout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clntSocket.ReceiveTimeout = 3000;

byte[] buffer = new byte[1024];
ArraySegment<byte> seg = new ArraySegment<byte>(buffer);

await clntSocket.ReceiveAsync(seg, SocketFlags.None); // 3초 지나도 await 이후의 콜백으로 진행하지 못함
            // 참고로, (.NET Framework에서 구현한) Socket 타입의 SendAsync, ReceiveAsync는 CancellationToken 인자를 아예 받지 않습니다.

사실 마이크로소프트의 문서에서도 이에 대해 명시를 하고 있습니다.

Socket.ReceiveTimeout Property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net.sockets.socket.receivetimeout

Gets or sets a value that specifies the amount of time after which a synchronous Receive call will time out.

Socket.SendTimeout Property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net.sockets.socket.sendtimeout

Gets or sets a value that specifies the amount of time after which a synchronous Send call will time out.





그렇다면 .NET Core/5+ 환경은 어떨까요? 마찬가지로 Socket 타입의 경우 SendAsync, ReceiveAsync는 SendTimeout, ReceiveTimeout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clntSocket.ReceiveTimeout = 3000;

byte[] buffer = new byte[1024];
ArraySegment<byte> seg = new ArraySegment<byte>(buffer);

await clntSocket.ReceiveAsync(seg, SocketFlags.None); // 3초 지나도 await 이후의 콜백으로 진행하지 못함

하지만, .NET Framework과는 달리 CancellationToken을 받는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Memory<byte> seg = new Memory<byte>(buffer);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3000);

await clntSocket.ReceiveAsync(seg, cts.Token); // 3초 후에 "System.OperationCanceledException: The operation was canceled." 예외 발생

Memory<byte> seg = new Memory<byte>(buffer);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3000);

await clntSocket.SendAsync(seg, cts.Token); // 3초 후에 "System.OperationCanceledException: The operation was canceled." 예외 발생

Cancel 동작이 잘 수행됩니다. 그러니까 .NET Core/5+는 비동기 환경의 경우 (NetworkStream에서와 동일하게) CancellationToken으로 일관성있게 timeout 처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09정성태1/10/202016560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17392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8530.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613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127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309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405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775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8998.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496.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302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071.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145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855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564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280.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852.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60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40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041.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8951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41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385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0884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844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290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