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46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딱히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설정해도 괜찮은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이 있었군요. ^^

Build acceleration
; https://github.com/dotnet/project-system/blob/main/docs/build-acceleration.md

Visual Studio - FastUpToDate warning
; https://bartwullems.blogspot.com/2024/07/visual-studio-fastuptodate-warning.html

최초 등장한 것은 17.5 버전이었는데,

Visual Studio Toolbox: Accelerate your builds of SDK-style .NET projects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s-toolbox-accelerate-your-builds-of-sdk-style-net-projects/

당시에는 "SDK-style .NET Project" 유형만 지원했고 이후 17.8에서 Non-SDK style 유형의 닷넷 프로젝트까지 확장했습니다.

Build Acceleration for Non-SDK style .NET Projects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isual-studio-2022-17-8-performance-enhancements/#Acceleration

단지, 일일이 프로젝트마다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을 설정하는 것이 귀찮을 수 있으니, Directory.Build.props 파일을 솔루션 단위로 추가해,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 https://www.sysnet.pe.kr/2/0/12597

한 곳에서 관리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Project>
  <PropertyGroup>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true</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LangVersion>12</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참고로, "SDK style 프로젝트"와 "Non-SDK style 프로젝트"가 뭘까요? ^^ 간단하게 설명하면, 기존 닷넷 프레임워크 유형의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때 볼 수 있었던 csproj 템플릿이 "Non-SDK style"이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DefaultTargets="Build"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ToolsVersion="4.0">
  <PropertyGroup>
    ...[생략]...
  </PropertyGroup>
</Project>

새롭게 .NET Core/5+ 유형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csproj 템플릿이,

<Project Sdk="Microsoft.NET.Sdk">

    ...[생략]...

</Project>

"SDK-style"입니다. (아마도 Project 노드에 속성으로 "Sdk"가 있어 그런 이름이 붙은 듯합니다.) 재미있게도, 기존의 Non-SDK 형식을 SDK 형식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일례로, (신규 생성한) .NET Framework Console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15.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Import Project="$(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Condition="Exists('$(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
  ...[생략]...
  <Import Project="$(MSBuildToolsPath)\Microsoft.CSharp.targets" />
</Project>

그냥 내용을 싹 지우고 TargetFramework을 net48로 설정하는 식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48</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GenerateAssemblyInfo>false</GenerateAssemblyInfo>
        <LangVersion>12</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65정성태6/13/201137314개발 환경 구성: 125. Firebird - 유니코드 기본 문자셋 지정
1064정성태6/11/201131760웹: 22.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1]
1063정성태6/10/201133552웹: 21. Sysnet 웹 사이트의 CSS 2.1 변환 기록 [1]
1062정성태6/9/201133683웹: 20.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1]
1061정성태6/8/201131995오류 유형: 125. 인터넷 익스플로러 - 개발자 도구에서 정지점(BP: Breakpoint) 설정이 안 되는 경우 [1]
1060정성태6/8/201128669VC++: 51. PHP 모듈의 F5 디버깅
1059정성태6/6/201133864VC++: 50.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8정성태6/5/201137486개발 환경 구성: 124. .NET 개발자가 처음 해보는 PHP + MySQL 연동 [2]
1057정성태6/4/201134971VC++: 49. 소스 코드로부터 php5apache2_2.dll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6정성태6/2/201133237VC++: 48.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 Content Handler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55정성태6/1/201130410오류 유형: 124. MVC 프로젝트의 Site.Master 관련 오류 정리
1054정성태5/31/201133970.NET Framework: 220.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053정성태5/31/201136819VC++: 47. Apache Module에 대한 'F5 디버그 (Start with debugging)' [2]
1052정성태5/30/201134331.NET Framework: 219.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구성하기파일 다운로드1
1051정성태5/28/201142857VC++: 46.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컴파일 (VC++)파일 다운로드1
1050정성태5/28/201128933오류 유형: 123. Firebird - Exception of type 'FirebirdSql.Data.Common.IscException' was thrown.
1049정성태5/28/201134708.NET Framework: 218.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1]
1048정성태5/27/201136526개발 환경 구성: 123. Apache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1047정성태5/27/201130237.NET Framework: 217. Firebird ALinq Provider - 날짜 필드에 대한 낙관적 동시성 쿼리 오류
1046정성태5/26/201135134.NET Framework: 216.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5]
1045정성태5/24/201136021.NET Framework: 215. 닷넷 System.ComponentModel.LicenseManager를 이용한 라이선스 적용 [1]파일 다운로드1
1044정성태5/24/201136824오류 유형: 122. zlib 빌드 오류 - inflat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inflate_fast
1043정성태5/24/201136615.NET Framework: 214. 무료 Linq Provider - DbLinq를 이용한 Firebird 접근파일 다운로드1
1042정성태5/23/201142220개발 환경 구성: 122. PHP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1041정성태5/22/201133158.NET Framework: 213. Linq To SQL - ALinq Provider를 이용하여 Firebird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40정성태5/21/201143669개발 환경 구성: 121.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Apache + PHP [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