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657

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
; https://www.sysnet.pe.kr/2/0/13663

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3665

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66

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
; https://www.sysnet.pe.kr/2/0/13667

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13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아래와 같은 문서가 있군요. ^^

Virtualization-Documentation/virtualization/hyper-v-on-windows/user-guide
  - Make your own integration servic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hyper-v-on-windows/user-guide/make-integration-service

vsock notes
; https://gist.github.com/nrdmn/7971be650919b112343b1cb2757a3fe6#vsock-notes

간단하게 정리하면, Hyper-V socket은 Host와 VM 간의 통신을 일반적인 TCP/IP가 아닌, 직접적인 메모리 공유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매우 고속으로 동작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AF_HYPERV/AF_VSOCK은 비단 Hyper-V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상 머신 및 컨테이너 환경에서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단지 (제가) 윈도우 환경에서 쉽게 테스트할 수 있어 이 글에서는 Hyper-V를 위한 방법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이 소켓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Hyper-V 호스트 측에 서비스를 위한 Guid를 레지스트리에 미리 등록해야 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Virtualization\GuestCommunicationServices

대충 아래와 같은 유형으로 등록하면 되는데요,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Virtualization\GuestCommunicationServices\9866C7BC-0C89-4CB0-9427-5B526D1AE83B]
"ElementName"="MyGcs"

여기서 "9866C7BC-0C89-4CB0-9427-5B526D1AE83B" 값은 제 소켓 서비스를 위해 임의로 정한 값입니다. 반면, VM 측에는 설정이 없는데요, 따라서 준비는 이걸로 모두 끝입니다. ^^




자, 그럼 남은 것은 코딩인데요, 아쉽게도 현재 .NET 8에서도 Socket은 AF_HYPERV 관련 기능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듯합니다. 일단, Socket 자원은 생성할 수 있는데,

// AF_HYPERV = 34;
// HV_PROTOCOL_RAW = 1;

// 호출은 되지만,
Socket server = new Socket(AF_HYPERV, SocketType.Stream, HV_PROTOCOL_RAW);

이후 Bind를 하려면 SOCKADDR_HV 구조체를 전달해야 하는데, 그것을 받는 Bind 메서드가 없어 우회적으로 Win32 API인 bind를 호출해야 합니다.

[DllImport("Ws2_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bind(IntPtr s, SOCKADDR_HV socketAddrName, int nameLen);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struct SOCKADDR_HV
{
    public ushort Family;
    public ushort Reserved;
    public Guid VmId;
    public Guid ServiceId;
}

하지만 bind를 저렇게 수행했어도 Socket.Accept를 호출하게 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You must call the Bind method before performing this operation.
  Source=System.Net.Sockets
  StackTrace:
   at System.Net.Sockets.Socket.Accept()
   at ConsoleApp1.Program.ServerLoop(Socket server)
   at ConsoleApp1.Program.RunAsServer()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왜냐하면 Accept 초기 코드에, (Socket.Bind 호출 시 초기화되는) 내부 필드인 _rightEndPoint 값이 설정돼 있는지 검사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억지로 Reflection을 사용해 _rightEndPoint 값을 설정하면,

int result = HyperVSocket.bind(server.Handle, new SOCKADDR_HV
{
    Family = (ushort)HyperVSocket.AF_HYPERV,
    Reserved = 0,
    VmId = HyperVSocket.HV_GUID_WILDCARD,
    ServiceId = GcsGuid
}, Marshal.SizeOf<SOCKADDR_HV>());

MarkBind(server); // Socket.Bind() 호출 효과

server.Listen(5);

public static void MarkBind(Socket socket)
{
    Type type = socket.GetType();

    FieldInfo? fi = type.GetField("_rightEndPoint", System.Reflection.BindingFlags.NonPublic | System.Reflection.BindingFlags.Instance);

    EndPoint ep = new IPEndPoint(IPAddress.Any, 0);
    fi?.SetValue(socket, ep);
}

Accept 진입까지 성공은 합니다. 하지만, 이후 클라이언트가 연결하면 다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ArgumentException: The AddressFamily 34 is not valid for the System.Net.IPEndPoint end point. (Parameter 'socketAddress')
   at System.Net.IPEndPoint.Create(SocketAddress socketAddress)
   at System.Net.Sockets.Socket.Accept()
   at ConsoleApp1.Program.ServerLoop(Socket server)
   at ConsoleApp1.Program.RunAsServer()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따라서 이런 식으로 우회해서는, 결국 모든 호출을 Win32 Socket API로 도배해야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가 Socket의 EndPoint를 abstract 타입으로 만들어놨다는 점입니다. 즉,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게 한 것인데요, 따라서 우리가 임의로 Hyper-V Socket을 위한 EndPoint를 이렇게 만들어 주면 됩니다.

public class HVEndPoint : EndPoint
{
    public override AddressFamily AddressFamily => HyperVSocket.AF_HYPERV;

    Guid _serviceId;
    Guid _vmId;

    public HVEndPoint(Guid serviceId, Guid vmId)
    {
        _serviceId = serviceId;
        _vmId = vmId;
    }

    public unsafe override EndPoint Create(SocketAddress sa)
    {
        using (var ptr = sa.Buffer.Pin())
        {
            SOCKADDR_HV dat = Marshal.PtrToStructure<SOCKADDR_HV>(new IntPtr(ptr.Pointer));
            return new HVEndPoint(dat.ServiceId, dat.VmId);
        }
    }

    public unsafe override SocketAddress Serialize()
    {
        SocketAddress sa = new SocketAddress(HyperVSocket.AF_HYPERV);

        int length = Marshal.SizeOf<SOCKADDR_HV>();
        sa.Size = length;

        SOCKADDR_HV sockAddr = new SOCKADDR_HV
        {
            Family = (ushort)HyperVSocket.AF_HYPERV,
            Reserved = 0,
            VmId = _vmId,
            ServiceId = _serviceId
        };

        using (var ptr = sa.Buffer.Pin())
        {
            Marshal.StructureToPtr<SOCKADDR_HV>(sockAddr, new IntPtr(ptr.Pointer), false);
        }

        return sa;
    }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struct SOCKADDR_HV
{
    public ushort Family;
    public ushort Reserved;
    public Guid VmId;
    public Guid ServiceId;
}

// 참고로, 다른 사용자가 구현한 EndPoint를 사용해도 됩니다. 
// https://github.com/Wraith2/HyperVSockets/blob/master/HyperVEndPoint.cs

이걸 이용하면 이후 모든 Socket 호출이 자연스럽게 이뤄집니다. 즉, Hyper-V Socket을 위한 Server 측은 이렇게 만들 수 있고,

// 레지스트리에 등록했던 서비스 Guid
public static readonly Guid GcsGuid = new Guid("9866C7BC-0C89-4CB0-9427-5B526D1AE83B"); 

// WILDCARD 용도로 약속된 GUID 값
public static readonly Guid HV_GUID_WILDCARD = Guid.Empty; 

Socket server;

if (OperatingSystem.IsLinux())
{
    // 다음 기회에 설명
}
else
{
    server = new Socket(HyperVSocket.AF_HYPERV, SocketType.Stream, HyperVSocket.HV_PROTOCOL_RAW);
    server.Bind(new HVEndPoint(GcsGuid, HyperVSocket.HV_GUID_WILDCARD));

    server.Listen(5);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Accept();
        // socket 통신
    }
}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도 HVEndPoint로 이렇게 연결하면 됩니다.

public static readonly Guid HV_GUID_PARENT = new Guid("a42e7cda-d03f-480c-9cc2-a4de20abb878");

using (client = new Socket(HyperVSocket.AF_HYPERV, SocketType.Stream, HyperVSocket.HV_PROTOCOL_RAW))
{
    int length = Marshal.SizeOf<SOCKADDR_HV>();

    client.Connect(new HVEndPoint(GcsGuid, HyperVSocket.HV_GUID_PARENT));

    // ... client 통신
}

(위의 프로그램을 실습하고 싶다면, 서버를 Host에, 클라이언트를 VM에 두고 실행하면 됩니다.)

간단하죠? ^^ 이렇게 쉬운데,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아직 .NET 라이브러리에 HVEndPoint(물론, 그에 준하는 타입)를 추가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아마도 .NET 9 버전 즈음에는 추가되지 않을까 싶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11정성태1/12/202020556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19878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16596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17429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8619.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653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143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364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503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826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9105.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570.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443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192.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255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907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634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361.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8941.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678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9991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105.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9053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7999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467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1005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