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73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657

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
; https://www.sysnet.pe.kr/2/0/13663

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3665

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66

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
; https://www.sysnet.pe.kr/2/0/13667

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13




Linux /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

지난 글에서 작성한 C#과 유사한 예제를, C/C++로 만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sys/socket.h>
#include <linux/vm_sockets.h>
#include <unistd.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void RunAsServer(unsigned int cid, unsigned int port)
{
    int server_socket = socket(AF_VSOCK, SOCK_STREAM, 0);

    sockaddr_vm sv = { 0 };
    sv.svm_family = AF_VSOCK;
    sv.svm_cid = cid;
    sv.svm_port = port;

    do
    {
        int result = bind(server_socket, (sockaddr*)&sv, sizeof(sockaddr_vm));
        if (result != 0)
        {
            printf("bind failed!\n");
            break;
        }

        listen(server_socket, 5);

        while (true)
        {
            int client_socket = accept(server_socket, nullptr, nullptr);
            if (client_socket < 0)
            {
                printf("accept failed!\n");
                break;
            }

            printf("connected: %d\n", client_socket);
            char buffer[1024] = { 0 };
            recv(client_socket, buffer, 1024, 0);
            
            strcpy(buffer + 7, buffer);
            strcpy(buffer, "Hello:");
            buffer[6] = ' ';
            
            send(client_socket, buffer, strlen(buffer), 0);

            close(client_socket);
        }

    } while (false);

    close(server_socket);
}

void RunAsClient(unsigned int cid, unsigned int port)
{
    int stream_socket = socket(AF_VSOCK, SOCK_STREAM, 0);

    sockaddr_vm sv = { 0 };
    sv.svm_family = AF_VSOCK;
    sv.svm_cid = cid;
    sv.svm_port = port;

    int connected = connect(stream_socket, (sockaddr*)&sv, sizeof(sockaddr_vm));

    printf("socket = %d, connected = %d, size = %d!\n", stream_socket, connected, sizeof(sockaddr_vm));
    send(stream_socket, "Hello", 6, 0);

    char buffer[1024] = { 0 };
    recv(stream_socket, buffer, 1024, 0);
    printf("recv: %s\n", buffer);

    close(stream_socket);
}

int main(int argc, char** args)
{
    unsigned int cid = VMADDR_PORT_ANY;
    unsigned int port = 19000;

    int socket_mode = 0;

    if (argc >= 2)
    {
        char* mode = args[1];
        if (strcmp(mode, "/server") == 0)
        {
            socket_mode = 0;
        }
        else if (strcmp(mode, "/client") == 0)
        {
            socket_mode = 1;
        }
    }

    if (argc >= 3)
    {
        char* cid_str = args[2];
        if (strcmp(cid_str, "any") == 0 || 
            strcmp(cid_str, "wildcard") == 0)
        {
            cid = VMADDR_CID_ANY;
        }
        else if (strcmp(cid_str, "lo") == 0 ||
            strcmp(cid_str, "loopback") == 0)
        {
            cid = VMADDR_CID_LOCAL;
        }
        else if (strcmp(cid_str, "host") == 0 ||
            strcmp(cid_str, "parent") == 0)
        {
            cid = VMADDR_CID_HOST;
        }
        else if (strcmp(cid_str, "hypervisor") == 0 ||
            strcmp(cid_str, "hv") == 0)
        {
            cid = VMADDR_CID_HYPERVISOR;
        }
    }

    if (argc >= 4)
    {
        char* port_str = args[3];
        port = atoi(port_str);
    }

    if (socket_mode == 0)
    {
        RunAsServer(cid, port);
    }
    else
    {
        RunAsClient(cid, port);
    }

    return 0;
}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Socket 통신과 다르지 않고, 주소 지정만 (Hyper-V Socket에서 sockaddr_hv였던 것처럼) sockaddr_vm 정도라는 차이만 있습니다. 해당 구조체와 관련한 설명은 지난 글에서 이미 했으므로 딱히 더 언급할 내용이 없군요. ^^

빌드 후, Hyper-V의 Linux VM에서 서버 모드로 실행하고,

// Linux VM에서 실행

$ ./ConsoleApplication1.out /server lo

Hyper-V 호스트 측에서는 C# 예제를 클라이언트 모드로 이렇게 실행하면 연결 및 통신이 가능합니다.

// Linux VM의 ID가 "f952c5ef-ea6c-4c83-b52c-38f31cf68b61"로 가정

c:\temp> ConsoleApp1.exe /client f952c5ef-ea6c-4c83-b52c-38f31cf68b61

물론, 그 반대로 호스트 측의 C# 예제를 서버로 실행하고,

c:\temp> ConsoleApp1.exe /server /lo

Linux VM의 예제를 클라이언트로 실행해도 잘 동작합니다.

$ ./ConsoleApplication1.out /client parent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39정성태12/11/20249101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8711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9700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6982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9571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9612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8635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8150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7155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10208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9858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7587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8719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8960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10261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7565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9584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9394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8862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9638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6938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11762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13817정성태11/14/20248284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9665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7447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8341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