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C++ -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Platform Toolset"이 "Visual Studio 2017 - Windows XP (v141_xp)"로 설정된 Visual C++ 프로젝트를,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n";
}

최근의 신규 Toolset으로 변경해 빌드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Visual Studio 2017 (v141)"인 경우]
fatal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corecrt.h': No such file or directory

["Visual Studio 2019 (v142)" 또는 "Visual Studio 2022 (v143)"인 경우]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왜냐하면 "Platform Toolset"과 함께 "Windows SDK Version"도 변경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v141_xp"인 경우 Windows SDK Version이 "7.0"으로 설정돼 있을 텐데요, 이것을 "10.0 (latest installed version)" 등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XP용 빌드의 경우, "Windows.h"를 포함하면,

// Visual Studio 2022 + "Visual Studio 2017 - Windows XP (v141_xp)" + "Multi-threaded (/MT)" 설정으로 빌드

#include <iostream>
#include <Windows.h>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n";
}

이런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2760: syntax error: unexpected token 'identifier', expected 'type specifier'

IUnknown을 사용하는 코드인데요,

extern "C++"
{
    template<typename T> void** IID_PPV_ARGS_Helper(T** pp) 
    {
        static_cast<IUnknown*>(*pp);    // make sure everyone derives from IUnknown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

"Conformance mode"를 "No"로 설정하면 됩니다.

objbase.h error when compiling with /permissive- and v141_xp platform toolset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t/objbaseh-error-when-compiling-with-permissive-and/174539

혹은, 헤더 파일 포함 전에 typedef로 명시해도 되는데요,

typedef struct IUnknown IUnknown;

#include <iostream>
#include <Windows.h>

그런데 재미있는 건, 저 코드가 어떤 C++ 표준과 관련이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가령, 저 오류가 발생하는 코드를 유사하게 작성해서 재현해 보려고 했지만,

// Visual Studio 2022 + "Visual Studio 2017 - Windows XP (v141_xp)" + "Multi-threaded (/MT)" 설정으로 빌드

#define DECLSPEC_NOVTABLE_X __declspec(novtable)
#define DECLSPEC_UUID_X(x) __declspec(uuid(x))
#define MIDL_INTERFACE_X(x)   struct DECLSPEC_UUID_X(x) DECLSPEC_NOVTABLE_X
#define EXTERN_C    extern "C"

#ifndef DEFINE_GUID
typedef struct _GUID {
    unsigned long  Data1;
    unsigned short Data2;
    unsigned short Data3;
    unsigned char  Data4[8];
} GUID;
#endif

typedef GUID IID;

EXTERN_C const IID IID_IUnknown2;
extern "C++"
{
    MIDL_INTERFACE_X("F0FF0FF1-3E61-49FA-AF56-AEA18F4D74B7")
        IUnknown2
    {
    public:
        virtual void Release(void) = 0;
    };
}

MIDL_INTERFACE_X("0AEF294D-14E9-4ED1-BAF0-8609F6B3D157")
Test : public IUnknown2
{
    virtual void Release(void) = 0;
};

template<typename T> void** TEST_Helper(T** pp)
{
    static_cast<IUnknown2*>(*pp);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define IID_PPV_TEST(ppType) __uuidof(**(ppType)), TEST_Helper(ppType)

int main()
{
    Test* t;

    IID_PPV_TEST(&t);
}

컴파일이 잘됩니다. ^^; 혹시 저 문제의 C++ 표준이 무엇인지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9-03 11시19분
호오 신기하네요 .한번 추적해볼까
JunSeo Lee
2024-09-03 06시53분
호오 기대되네요.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65정성태10/12/2024248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211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219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202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209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3760정성태10/11/2024233Linux: 82. Ubuntu - clang 최신(stable) 버전 설치
13759정성태10/10/2024427C/C++: 177. C++ - 자유 함수(free function) 및 주소 지정 가능한 함수(addressable function)
13758정성태10/8/2024610오류 유형: 926. dotnet tools를 sudo로 실행하는 경우 command not found
13757정성태10/8/2024335닷넷: 2306.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13756정성태10/8/2024354오류 유형: 925.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13755정성태10/7/2024659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699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727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794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844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849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1038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1124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1018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1002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1028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1102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1354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1067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945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