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982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827

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 https://www.sysnet.pe.kr/2/0/1828

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 https://www.sysnet.pe.kr/2/0/1829

.NET Framework: 927. C# - 윈도우 프로그램에서 Credential Manager를 이용한 보안 정보 저장
; https://www.sysnet.pe.kr/2/0/12267

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744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

Edge 브라우저에서 "edge://settings/profiles" 화면을 통해 "Passwords" 링크로 특정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보고 싶다면, 아래의 화면처럼 윈도우 사용자 인증을 먼저 해야 합니다.

user_consent_dlg_2.png

이런 요청을, Windows Runtime에서 제공하는 UserConsentVerifier를 사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데요,

The UserConsentVerifier confirms that the user is there, but it doesn’t protect any data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40924-00/?p=110308

Another example of the Windows Runtime interop pattern: Using the UserConsentVerifier from a Win32 program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40925-00/?p=110312

따라서,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아래와 같이 UserConsentVerifier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IntPtr GetConsoleWindow();

    // UserConsentVerifier Class - [Examples] Desktop apps using C#
    // https://learn.microsoft.com/en-us/uwp/api/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er#desktop-apps-using-c

    static async Task Run()
    {
        IntPtr hwnd = GetConsoleWindow();

        string returnMessage = "";
        var consentResult =
            await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erInterop
                    .RequestVerificationForWindowAsync(hwnd, "auth...");

        switch (consentResult)
        {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Verified:
                returnMessage = "User verified.";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DeviceBusy:
                returnMessage = "Authentication device is busy.";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DeviceNotPresent:
                returnMessage = "No authentication device found.";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DisabledByPolicy:
                returnMessage = "Authentication device verification is disabled by policy.";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NotConfiguredForUser:
                returnMessage = "Please go to Account Settings to set up PIN or other advanced authentication.";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RetriesExhausted:
                returnMessage = "There have been too many failed attempts. Device authentication canceled.";
                break;
            case Windows.Security.Credentials.UI.UserConsentVerificationResult.Canceled:
                returnMessage = "Device authentication canceled.";
                break;
            default:
                returnMessage = "Authentication device is currently unavailable.";
                break;
        }

        Console.WriteLine(returnMessage);
    }

    [MTAThread]
    public static void Main()
    {
        Run().Wait();
    }
}

그리고, WinRT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의 소스코드를 빌드하려면 TargetFramework에 "-windows..."를 추가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windows10.0.19041.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Project>

당연히 저 기능은 Windows 10 이상에서만 동작합니다.




그런데, 이 예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선행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Windows Hello 인증, 보통 "Facial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PIN" 3가지 방식이 제공되는데, 그중 하나는 반드시 활성화시켜야만 합니다.

이 설정은 "Settings"의 "Accounts" / "Sign-in options"에서 할 수 있는데요, 아래의 화면은 그 3가지 중 "PIN"을 설정한 상태를 보여줍니다.

user_consent_dlg_3.png

이런 상태에서 예제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PIN 인증을 요구하는 창이 뜹니다.

user_consent_dlg_1.png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API 호출 결과로 보이는) Edge에서 뜬 창과 비교하면 모양도 약간 다른데요, 왜냐하면 Edge는 말 그대로 사용자 인증 창을 띄운 반면, UserConsentVerifier는 Windows Hello를 위한 인증 창을 띄울 뿐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 어떤 Windows Hello 인증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UserConsentVerifier.RequestVerificationForWindowAsync 메서드의 반환 값은 DeviceNotPresent가 됩니다.

사실, Windows Hello 인증 설정이 강제가 아니기 때문에 무심코 이걸 사용하지 않는 유저 층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게다가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한 화면에서는 (PIN을 설정했어도) "Windows Hello" 인증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DeviceNotPresent가 반환됩니다.

또 하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RequestVerificationForWindowAsync 메서드의 인자에는 "Making sure it's you"라는 (왠지 촌스러운) 문구를 수정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정상적으로 인증을 하면 UserConsentVerificationResult.Verified를 반환하고, Cancel 버튼을 누르면UserConsentVerificationResult.Canceled를 반환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85정성태1/11/202118377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19920.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6159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17900.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17964.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0748.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17943.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0612.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1720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18094.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1801.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18566.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17154.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17173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17981.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18082.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2569.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18959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18985.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6490.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12465정성태12/29/202020162.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12464정성태12/29/202018494.NET Framework: 986. pptfont.exe - PPT 파일에 숨겨진 폰트 설정을 일괄 삭제
12463정성태12/29/202017410개발 환경 구성: 520. RDP(mstsc.exe)의 다중 모니터 옵션 /multimon, /span
12462정성태12/27/202019394디버깅 기술: 177. windbg - (ASP.NET 환경에서 유용한) netext 확장
12461정성태12/21/202019750.NET Framework: 985. .NET 코드 리뷰 팁 [3]
12460정성태12/18/202017798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