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

.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491

.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598

.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45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742

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 https://www.sysnet.pe.kr/2/0/13747

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근래의 ssh-keygen에서는 키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개인키 파일의 포맷이 "OPENSSH PRIVATE KEY" 구분자의 PEM 파일로 나옵니다.

// 테스트 편의상 -N "" 옵션으로 passphrase를 빈 문자열로 설정하였습니다.

c:\temp> ssh-keygen -N "" -t rsa -b 4096 -f test_rsa
...[생략]...

c:\temp> type test_rsa
-----BEGIN OPENSSH PRIVATE KEY-----
b3BlbnNzaC1rZXktdjEAAAAABG5vbmUAAAAEbm9uZQAAAAAAAAABAAACFwAAAAdzc2gtcn
...[생략]...
KN3bndgw7MlZwRCUu3PBopxuL19RWbJVMtcMBLwRHfSDHHFvtpzLPYdEeHItOK+HCv9/bD
JDyAnpeeQoQd2QAAAAtrZXZpbkBUSEUxMgECAwQFBg==
-----END OPENSSH PRIVATE KEY-----

반면, 공개키 파일은 PEM 형식으로 나오지 않는데,

c:\temp> type test_rsa.pub
ssh-rsa AAAAB3NzaC1yc2EAAAADAQABAAACAQCvnNE7kvQyCLJIi3i1hZwVmLNheUb8E1oc3R94YLcnOKlisbuXx3hiSGjOPOx9Uedf/Pp73bx8Otu/9VudriZ910cPTzDDR6zJPfUYHyDiltwJ3zcKpkoG6z6ilIJVuX1Cm8S9q+pwkVOm7ij+FSiF8R/WxlblPMZzdTRyCYMCiOJ0KjZXU8as3iGadnQMZD+WUn6t/gPUKfIvCw1uAIPY5KDqp8RJeeMeJJw55RCkkjHzv1ghYvQDMCqpWXQ+OT5n1DQEpbH1994UYBJhpJC/W95+Tn2pqTPmcdobP7+nl3COVwxB77uk9Hxkfr9ldBxoZiEHchhm1qDUCp82QGFbImufQ3A2wYdQIyRTHD11gro17jj+5U7ae5szeRQzlh6RWaxUvPefFvs6nKhCXOE5yT5Ss5QoMBjivyUWdcMPW2X15dB0RAR03HA1GmyTnMj2zVJh/7p0hJR11U5EcOVQ969RfyPf7GvZZlhMSaYNdLiwg4O1f8FjS5wk+O7srimgnSe+K9Mz2qorCosYp4nZq/dduuy56UK2j609JbXXtfRRN0k16/JeDQvP7S1Pv3zQtwDvyBxGRlZ7UKhkAC1R0HRGjqWwqtVOTLtpKND64ENGXSYSddesF9SCBK2dwRjyhSLuv74dkpHzGbNAk0gTW1mnChJN6rHIrBtCA4rFRQ== testusr@TESTPC

이전 포맷(PKCS#1, PKCS#8)에서와는 다르게 위의 "BEGIN/END OPENSSH PRIVATE KEY" 형식을 PEM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ssh-keygen 및 openssl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제가 방법을 모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재미있는 건,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구분자를 가진 공개키 파일에 대한 검색도 잘 안됩니다. 한 가지 찾은 것이 다음의 글인데요,

Justin Freid’s PGP & SSH Public Keys
; https://justinfreid.com/justin-freids-pgp-ssh-public-keys/

위에서는 단지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구분자 사이에 OpenSSH의 (rfc4253 포맷으로 출력된) 공개키를 그대로 복사해 넣은 유형으로 보여줍니다.

-----BEGIN OPENSSH PUBLIC KEY-----
ssh-rsa AAAAB3NzaC1yc2EAAAADAQABAAACAQCvnNE7kvQyCLJIi3i1hZwVmLNheUb8E1
oc3R94YLcnOKlisbuXx3hiSGjOPOx9Uedf/Pp73bx8Otu/9VudriZ910cPTzDDR6zJPfUY
HyDiltwJ3zcKpkoG6z6ilIJVuX1Cm8S9q+pwkVOm7ij+FSiF8R/WxlblPMZzdTRyCYMCiO
J0KjZXU8as3iGadnQMZD+WUn6t/gPUKfIvCw1uAIPY5KDqp8RJeeMeJJw55RCkkjHzv1gh
YvQDMCqpWXQ+OT5n1DQEpbH1994UYBJhpJC/W95+Tn2pqTPmcdobP7+nl3COVwxB77uk9H
xkfr9ldBxoZiEHchhm1qDUCp82QGFbImufQ3A2wYdQIyRTHD11gro17jj+5U7ae5szeRQz
lh6RWaxUvPefFvs6nKhCXOE5yT5Ss5QoMBjivyUWdcMPW2X15dB0RAR03HA1GmyTnMj2zV
Jh/7p0hJR11U5EcOVQ969RfyPf7GvZZlhMSaYNdLiwg4O1f8FjS5wk+O7srimgnSe+K9Mz
2qorCosYp4nZq/dduuy56UK2j609JbXXtfRRN0k16/JeDQvP7S1Pv3zQtwDvyBxGRlZ7UK
hkAC1R0HRGjqWwqtVOTLtpKND64ENGXSYSddesF9SCBK2dwRjyhSLuv74dkpHzGbNAk0gT
W1mnChJN6rHIrBtCA4rFRQ== testusr@TESTPC
-----END OPENSSH PUBLIC KEY-----

그다음, python으로 된 소스코드를 하나 찾은 것에도,

Generate ed25515 OpenSSH keys with Python3 cryptography library
; https://gist.github.com/thebluesnevrdie/f1522bf5305d561f42dac25ff398f2e9

#### pip install cryptography
from cryptography.hazmat.primitives.asymmetric import rsa, ed25519
from cryptography.hazmat.primitives import serialization, hashes

private_key = ed25519.Ed25519PrivateKey.generate()
public_key = private_key.public_key()

our_private = private_key.private_bytes(
    encoding=serialization.Encoding.PEM,
    format=serialization.PrivateFormat.OpenSSH,
    encryption_algorithm=serialization.NoEncryption(),
)

our_public = public_key.public_bytes(
    encoding=serialization.Encoding.OpenSSH, format=serialization.PublicFormat.OpenSSH
)

print(our_private.decode("utf-8"))
print("-----BEGIN OPENSSH PUBLIC KEY-----")
print(our_public.decode("utf-8"))
print("-----END OPENSSH PUBLIC KEY-----")

실제로 실행해 보면 public key에 대해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BEGIN OPENSSH PRIVATE KEY-----
b3BlbnNzaC1rZXktdjEAAAAABG5vbmUAAAAEbm9uZQAAAAAAAAABAAAAMwAAAAtzc2gtZWQyNTUx
OQAAACDQ3a1hJeJfZzky2WZPt4FbX7poA8TV/E9FxF+WDpBPQwAAAIj6Yds3+mHbNwAAAAtzc2gt
ZWQyNTUxOQAAACDQ3a1hJeJfZzky2WZPt4FbX7poA8TV/E9FxF+WDpBPQwAAAEB/KFTh1ivE0ozW
JF4qq7nNWeU/U+UJIbo8cWLJqnsXZtDdrWEl4l9nOTLZZk+3gVtfumgDxNX8T0XEX5YOkE9DAAAA
AAECAwQF
-----END OPENSSH PRIVATE KEY-----

-----BEGIN OPENSSH PUBLIC KEY-----
ssh-ed25519 AAAAC3NzaC1lZDI1NTE5AAAAINDdrWEl4l9nOTLZZk+3gVtfumgDxNX8T0XEX5YOkE9D
-----END OPENSSH PUBLIC KEY-----

이 결과는 "Justin Freid’s PGP & SSH Public Keys" 글에서의 표현과 같습니다. (단지, 마지막에 comment만 없는 것이 다릅니다.)




사실 PEM(Privacy Enhanced Mail) 형식이라는 것은 일종의 컨테이너에 불과합니다.

PKCS#1 and PKCS#8 format for RSA private key [close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8958304/pkcs1-and-pkcs8-format-for-rsa-private-key

How to get .pem file from .key and .crt file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91758/how-to-get-pem-file-from-key-and-crt-files

RFC 1422 문서로 복잡하게 명시하고 있지만,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은 정도의 형식만 가지면 PEM 형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 line consisting of 5 hyphens, the word BEGIN, one or a few (space-separated) words defining the type of data, and 5 hyphens
  • an optional (and rare) rfc822-style header, terminated by an empty line
  • base64 of the data, broken into lines of 64 characters (except the last); some programs instead use the (slightly newer) MIME limit of 76 characters
  • a line like the BEGIN line but with END instead

따라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구분자를 가진 공개키 파일의 PEM 형식은 OpenSSL 측에서 정의해 그렇게 사용하면 그만입니다.

단지, 중요한 것은 그 내부의 content 포맷까지 합의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입니다. 가령, 구분자 문자열이 "BEGIN/END RSA PRIVATE KEY"인 경우에는 내부 content가 PKCS#1 형식이어야 하고, "BEGIN/END PRIVATE KEY"인 경우에는 PKCS#8 형식이어야 합니다.

반면, OpenSSL 측이 "BEGIN/END OPENSSH PUBLIC KEY"에 대해 내부 포맷을 rfc4253 방식으로 정의했다고 가정하면 이전에 설명한 방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BEGIN OPENSSH PUBLIC KEY-----
ssh-ed25519 AAAAC3NzaC1lZDI1NTE5AAAAID7ttyIQ8COKmzPeAA5YhMu1IqRvOME3kgAlybbTBB9q
-----END OPENSSH PUBLIC KEY-----

우선 ed25519는 EdDSA 서명 알고리즘의 변형이라고 하는데요, "작은 공개키(32 또는 57 바이트)"라는 표현에 따라 단일 값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포맷 자체는 이렇게 간단할 듯한데요,

string  "algorithm_name"
int     P

실제로 "AAAAC3NzaC1lZDI1NTE5AAAAID7ttyIQ8COKmzPeAA5YhMu1IqRvOME3kgAlybbTBB9q" 값을 분해해 보면 다음의 값이 나옵니다.

"ssh-ed25519"
byte [32]

자, 그럼 이것을 사용해 봐야 할 텐데, 아쉽게도 .NET Cryptography 어셈블리에는 EdDSA 알고리즘을 지원하는 타입이 없습니다. 검색해 보면,

EdDSA for JWT Signing in .NET Core
; https://www.scottbrady91.com/c-sharp/eddsa-for-jwt-signing-in-dotnet-core

어쩔 수 없이 다시 Bouncy Castle을 사용해 대충 이렇게 예제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using Org.BouncyCastle.Crypto.Parameters;
using Org.BouncyCastle.Crypto.Signers;
using System.Text;

namespace ConsoleApp1;

// Install-Package BouncyCastle.Cryptography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ext = File.ReadAllText("test_rsa.pub.pem");

        {
            text = text.Replace("-----BEGIN OPENSSH PUBLIC KEY-----", "")
                .Replace("-----END OPENSSH PUBLIC KEY-----", "").Trim();

            string[] sshKeys = text.Split(' ');
            if (sshKeys.Length < 2)
            {
                throw new Exception("Invalid SSH Key");
            }

            string keyType = sshKeys[0];
            string comment = (sshKeys.Length >= 3) ? sshKeys[2] : "";
            byte[] bytesEncoded = Convert.FromBase64String(sshKeys[1]);

            if (keyType != "ssh-ed25519")
            {
                throw new NotSupportedException($"Unsupported key type: {keyType}");
            }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 DecodeSSHPublicKey(bytesEncoded);

            Ed25519PublicKeyParameters publicKeyParam = new Ed25519PublicKeyParameters(publicKey);

            Ed25519Signer signer = new Ed25519Signer();
            signer.Init(false, publicKeyParam);

            // verify signature...
        }
    }

    private static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DecodeSSHPublicKey(byte[] bytesEncoded)
    {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using (var stream = new MemoryStream(bytesEncoded))
        using (var reader = new BinaryReader(stream))
        {
            int algorithmLength = reader.ReadInt32BE();
            algorithmName = Encoding.ASCII.GetString(reader.ReadBytes(algorithmLength));

            int length = reader.ReadInt32BE();
            publicKey = reader.ReadBytes(length);
        }

        return (algorithmName, publicKey);
    }
}

public static class BinaryReaderExtension
{
    public static Int32 ReadInt32BE(this BinaryReader reader)
    {
        byte[] bytes = new byte[4];
        bytes[3] = (byte)reader.ReadByte();
        bytes[2] = (byte)reader.ReadByte();
        bytes[1] = (byte)reader.ReadByte();
        bytes[0] = (byte)reader.ReadByte();
        return BitConverter.ToInt32(bytes);
    }
}

혹시, OpenSSH/OpenSSL 관련 코드를 잘 아시는 분이 있다면... ^^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파일이 정말 정의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의 내부 포맷이 이 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인지 덧글 부탁드립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50정성태2/21/201719351.NET Framework: 645. Visual Studio Fakes 기능에서 Shim...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5]
11149정성태2/21/201723055오류 유형: 378. A 64-bit test cannot run in a 32-bit process. Specify platform as X64 to force test run in X64 mode on X64 machine.
11148정성태2/20/201721967.NET Framework: 644. AppDomain에 대한 단위 테스트 시 알아야 할 사항
11147정성태2/19/201721206오류 유형: 377. Windows 10에서 Fake 어셈블리를 생성하는 경우 빌드 시 The type or namespace name '...'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컴파일 오류 발생
11146정성태2/19/201719896오류 유형: 376. Error VSP1033: The file '...' does not contain a recognized executable image. [2]
11145정성태2/16/201721349.NET Framework: 643.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1144정성태2/6/201724745.NET Framework: 642.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부록 1) - CallingConvention.StdCall, CallingConvention.Cdecl에 상관없이 왜 호출이 잘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43정성태2/5/201722107.NET Framework: 641. [Out] 형식의 int * 인자를 가진 함수에 대한 P/Invoke 호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42정성태2/5/201730129.NET Framework: 640. 닷넷 - 배열 크기의 한계 [2]파일 다운로드1
11141정성태1/31/201724415.NET Framework: 639.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4) - CLR JIT 컴파일러의 P/Invoke 호출 규약 [1]파일 다운로드1
11140정성태1/27/201720164.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파일 다운로드1
11139정성태1/22/201722885.NET Framework: 637.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8정성태1/20/201721166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19849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19032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20041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11134정성태1/20/201727444.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5]파일 다운로드1
11133정성태1/20/201723557.NET Framework: 635.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2) - x86 환경의 __fastcall [1]파일 다운로드1
11132정성태1/19/201735073.NET Framework: 634.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1정성태1/13/201723996.NET Framework: 633. C# - IL 코드 분석을 위한 팁 [2]
11130정성태1/11/201724518.NET Framework: 632.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29정성태1/11/201728893.NET Framework: 631. async/await에 대한 "There Is No Thread" 글의 부가 설명 [9]파일 다운로드1
11128정성태1/9/201723295.NET Framework: 630.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 사용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1127정성태1/8/201722873기타: 63. (개발자를 위한) Visual Studio의 "with MSDN" 라이선스 설명
11126정성태1/7/201727593기타: 62. Edge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를 편집/백업/복원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25정성태1/7/201724448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