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9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예전에 windbg에서 mscordacwks 로드 문제 때문에 sos 확장 DLL의 닷넷 디버깅이 안된다는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요.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 https://www.sysnet.pe.kr/2/0/994

그때 당시의 해결 방안으로 심벌 폴더에 동일하게 경로를 맞춰주는 것으로 해결을 했었습니다.

최근에 고객사를 방문해서 "Windows Server 2003 Version 3790 (Service Pack 2)"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windbg로 문제 해결을 해나가는데,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sos의 확장 DLL 명령어들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안된 것입니다.

0:002> lm
start    end        module name
...[생략]...
79000000 7904a000   mscoree    (deferred)             
79060000 790bb000   mscorjit   (deferred)    
790c0000 7951a000   mscorlib   (deferred)                      
79e70000 7a400000   mscorwks   (deferred)     
...[생략]...

0:002> .loadby sos mscorwks

0:002> !clrstack

CLRDLL: CLR DLL load disabled
Failed to load data access DLL, 0x80004005
Verify that 1) you have a recent build of the debugger (6.2.14 or newer)
            2) the file mscordacwks.dll that matches your version of mscorwks.dll is 
                in the version directory
            3) or, if you are debugging a dump file, verify that the file 
                mscordacwks_<arch>_<arch>_<version>.dll is on your symbol path.
            4) you are debugging on the same architecture as the dump file.
                For example, an IA64 dump file must be debugged on an IA64
                machine.

You can also run the debugger command .cordll to control the debugger's
load of mscordacwks.dll.  .cordll -ve -u -l will do a verbose reload.
If that succeeds, the SOS command should work on retry.

If you are debugging a minidump, you need to make sure that your executable
path is pointing to mscorwks.dll as well.

그런데, 이번에는 DLL의 버전번호까지는 알 수 있었지만 PDB 파일의 시그니처가 출력되지는 않았습니다.

0:002> .cordll -ve -u -l
CLRDLL: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dacwks.dll:2.0.50727.6387 f:0
doesn't match desired version 2.0.50727.4005 f:0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by mscorwks search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on the path
CLRDLL: Unable to find mscorwks.dll by search
CLRDLL: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Win32 error 0n2
CLR DLL status: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Win32 error 0n2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글에 보면 고객사 컴퓨터에서 mscordacwks.dll을 복사해 와서 "d:\Symbols\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4A9EE474590000\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경로에 복사하는 것으로 해결했다고 썼는데요. 아쉽게도 이번에는 2.0.50727.4005로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틀림없이 "4A9EE474590000"이라는 시그니처 값도 달라져야 하는데 그 문자열을 구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다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cordll"의 명령어를 가만 보니 "on the path"라는 말이 나옵니다. 아마도 "PATH" 환경 변수로 잡힌 경로에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파일로 놓아도 된다는 것이겠지요. 다행히 이 예상은 적중해서 로드가 잘 되었습니다. ^^

0:002> .cordll -ve -u -l
CLRDLL: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dacwks.dll:2.0.50727.6387 f:0
doesn't match desired version 2.0.50727.4005 f:0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by mscorwks search
CLRDLL: Loade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CLR DLL status: Loade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그런데, 나중에 끝마치고 나서 살펴 보니 제가 다음의 글도 썼었더군요. ^^;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1

그 때는 "Debug Diag" 도구에서 덤프 파일을 올린 것이었는데 ... 거기에도 시그니처 경로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 이번에도 그렇게 해서 나오지 않았을까 싶지만... 어쨌든 덕분에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었으니.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26정성태2/4/201420827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037.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616.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350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8889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655.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509.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254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2940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084.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726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703.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655.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22.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430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450.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769.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759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072.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031.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119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048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388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63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649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196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