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6467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3762

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376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아래의 글에 보면,

[eBPF] CO-RE (Compile Once - Run Everywhere) 기능 분석
; https://velog.io/@haruband/eBPF-CO-RE-Compile-Once-Run-Everywhere-기능-분석

bpftool에 대한 소개가 나옵니다. 아직은 직접 빌드하는 형식으로만 제공하는 듯한데요,

bpftool
; https://github.com/libbpf/bpftool/blob/main/README.md

대충 이렇게 빌드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make -y
// sudo apt install libelf-dev -y 

$ git clone --recurse-submodules https://github.com/libbpf/bpftool.git
$ cd bpftool/src
$ make
$ sudo make install
...                        libbfd: [ OFF  ]
...               clang-bpf-co-re: [ OFF  ]
...                          llvm: [ OFF  ]
...                        libcap: [ OFF  ]
...[생략]...

$ which bpftool
/usr/local/sbin/bpftool

$ bpftool
Usage: bpftool [OPTIONS] OBJECT { COMMAND | help }
       bpftool batch file FILE
       bpftool version

       OBJECT := { prog | map | link | cgroup | perf | net | feature | btf | gen | struct_ops | iter }
       OPTIONS := { {-j|--json} [{-p|--pretty}] | {-d|--debug} |
                    {-V|--version} }

bpftool의 재미있는 기능으로 BTF(BPF Byte Type Fromat) 형식으로 저장된 커널의 구조체를 덤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윈도우의 Windbg 사용자라면 dt 명령어로 알아내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WSL/Ubuntu 22.04 (5.15.153.1-microsoft-standard-WSL)에서 task_struct 구조체를 찾아,

$ /usr/local/sbin/bpftool btf dump file /sys/kernel/btf/vmlinux format raw | grep task_struct
[127] STRUCT 'task_struct' size=7296 vlen=200
[12531] FUNC 'arch_dup_task_struct' type_id=12530 linkage=static
[15844] FUNC '__put_task_struct_rcu_cb' type_id=15807 linkage=static
[15845] FUNC '__put_task_struct' type_id=12295 linkage=static
[15856] FUNC 'arch_release_task_struct' type_id=12295 linkage=static
[16153] FUNC 'put_task_struct_rcu_user' type_id=13021 linkage=static
[16154] FUNC 'delayed_put_task_struct' type_id=15807 linkage=static

그 구조체의 상위 5개 필드를 이렇게 덤프할 수 있습니다.

$ /usr/local/sbin/bpftool btf dump file /sys/kernel/btf/vmlinux format raw | grep -A 5 '\[127]'
[127] STRUCT 'task_struct' size=7296 vlen=200
        'thread_info' type_id=235 bits_offset=0
        '__state' type_id=6 bits_offset=192
        'stack' type_id=81 bits_offset=256
        'usage' type_id=393 bits_offset=320
        'flags' type_id=6 bits_offset=352

BTF와 eBPF의 조합이 재미있는 것은, 저 커널 구조체의 필드를 지정하는 방식이 단순히 이름이 아닌 위치로도 지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https://velog.io/@haruband/eBPF-CO-RE-Compile-Once-Run-Everywhere-기능-분석 글을 참고하세요.)

Device Driver를 다뤄 본 적이 있다면 위의 기능이 얼마나 흥미로운지 알 수 있을 텐데요, 저도 나름 윈도우 환경에서 커널 구조체의 필드가 달라지는 상황이 귀찮아서 이런 글을 쓴 적도 있습니다.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8

참고로, 윈도우용 ebpf repo를 공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ebpf-for-windows
; https://github.com/microsoft/ebpf-for-windows

커널 구조체를 얼마나 버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할지 기대가 됩니다. ^^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In file included from bpf.c:37:
libbpf_internal.h:19:10: fatal error: libelf.h: No such file or directory
   19 | #include <libelf.h>
      |          ^~~~~~~~~~
compilation terminated.

"sudo apt install libelf-dev -y" 설치를 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75정성태7/22/202021719개발 환경 구성: 497.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IRIS Data Platform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12274정성태7/21/202020712개발 환경 구성: 496. Azure - Blob Storage Account의 Location 이전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73정성태7/18/202023972개발 환경 구성: 495. Azure - Location이 다른 웹/DB 서버의 경우 발생하는 성능 하락
12272정성태7/16/202016375.NET Framework: 929. (StrongName의 버전 구분이 필요 없는) .NET Core 어셈블리 바인딩 규칙 [2]파일 다운로드1
12271정성태7/16/202019950.NET Framework: 928.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파일 다운로드1
12270정성태7/16/202020764오류 유형: 633. SSL_CTX_use_certificate_file - error:140AB18F:SSL routines:SSL_CTX_use_certificate:ee key too small
12269정성태7/16/202018124오류 유형: 632.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12268정성태7/15/202021144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12267정성태7/15/202023160.NET Framework: 927. C# - 윈도우 프로그램에서 Credential Manager를 이용한 보안 정보 저장파일 다운로드1
12266정성태7/14/202019800오류 유형: 630. 사용자 계정을 지정해 CreateService API로 서비스를 등록한 경우 "Error 1069: The service did not start due to a logon failure." 오류발생
12265정성태7/10/202018658오류 유형: 629. Visual Studio -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Unable to connect to web server 'IIS Express'." 오류 발생
12264정성태7/9/202030326오류 유형: 628.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
12261정성태7/9/202021069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19036.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7743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1621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7778.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9740.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20455.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8239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21345.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2726.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22384.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3508.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9538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7234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