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86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769

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83

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4

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8

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 https://www.sysnet.pe.kr/2/0/13801

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 https://www.sysnet.pe.kr/2/0/13810

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15

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817

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 https://www.sysnet.pe.kr/2/0/13819

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4

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5

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3

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894

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5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지난 글에 만든 eBPF 소스코드를,

#include <linux/bpf.h>
#include <linux/types.h>
#include <bpf/bpf_helpers.h>
#include <bpf/bpf_tracing.h>

SEC("kprobe/sys_clone") int kprobe_sys_clone(void *ctx)
{
    u64 bpf_id = bpf_get_current_pid_tgid();
    pid_t tgid = bpf_id >> 32;
    pid_t pid = bpf_id;

    bpf_printk("[v1] pid == %d, thread_id == %d\n", tgid, pid);
    return -1;
}

bpf2go를 호출하는 go generate로 생성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 go generate
/mnt/c/temp/ebpf_sample/basic.c:12:5: error: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u64'
   12 |     u64 bpf_id = bpf_get_current_pid_tgid();
      |     ^
/mnt/c/temp/ebpf_sample/basic.c:13:5: error: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pid_t'
   13 |     pid_t tgid = bpf_id >> 32;
      |     ^
/mnt/c/temp/ebpf_sample/basic.c:14:5: error: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pid_t'
   14 |     pid_t pid = bpf_id;
      |     ^
/mnt/c/temp/ebpf_sample/basic.c:18:53: error: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tgid'
   18 |     bpf_printk("[v1] pid == %d, thread_id == %d\n", tgid, pid);
      |                                                     ^
/mnt/c/temp/ebpf_sample/basic.c:18:58: error: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pid'
   18 |     bpf_printk("[v1] pid == %d, thread_id == %d\n", tgid, pid);
      |                                                           ^
5 errors generated.
Error: compile: exit status 1
exit status 1
main.go:3: running "go": exit status 1

이와 유사한 다른 예제들을 보면,

// kprobe Example
// https://eunomia.dev/en/tutorials/2-kprobe-unlink/#kprobe-example

#include "vmlinux.h"
#include <bpf/bpf_helpers.h>
#include <bpf/bpf_tracing.h>
#include <bpf/bpf_core_read.h>

char LICENSE[] SEC("license") = "Dual BSD/GPL";

SEC("kprobe/do_unlinkat")
int BPF_KPROBE(do_unlinkat, int dfd, struct filename *name)
{
    pid_t pid;
    const char *filename;

    // ...[생략]...
    return 0;
}

// ...[생략]...

저렇게 "vmlinux.h" 헤더를 포함해 해결하는 듯한데요, 저게 도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

What is vmlinux.h and Why is It Important for Your eBPF Programs?
; https://www.aquasec.com/blog/vmlinux-h-ebpf-programs/

그러니까, bpftool을 이용해 /sys/kernel/btf/vmlinux 파일에 대해,

// https://www.kernel.org/doc/Documentation/ABI/testing/sysfs-kernel-btf

What:		/sys/kernel/btf/vmlinux
Date:		Aug 2019
KernelVersion:	5.5
Contact:	bpf@vger.kernel.org
Description:
		Read-only binary attribute exposing kernel's own BTF type
		information with description of all internal kernel types. See
		Documentation/bpf/btf.rst for detailed description of format
		itself.

다음과 같이 C 헤더 파일로 변환해 저장한 것입니다.

$ bpftool btf dump file /sys/kernel/btf/vmlinux format c > vmlinux.h

이렇게 생성한 vmlinux.h 파일을 eBPF 소스코드가 있는 디렉터리에 복사한 후, #include 부분에서 "vmlinux.h"를 포함하면 됩니다.

#include "vmlinux.h"
// #include <linux/bpf.h>
// #include <linux/types.h>
#include <bpf/bpf_helpers.h>
#include <bpf/bpf_tracing.h>

//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35정성태9/7/202117276.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2]파일 다운로드1
12834정성태9/7/202115416오류 유형: 762. Visual Studio 2019 Build Tools - 'C:\Program'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2833정성태9/6/202113526VC++: 150. Golang - TCP client/server echo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832정성태9/6/202115541VC++: 149. Golang - 인터페이스 포인터가 의미 있을까요?
12831정성태9/6/202112717VC++: 148. Golang - 채널에 따른 다중 작업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830정성태9/6/202117042오류 유형: 761. Internet Explorer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Your current security settings do not allow this file to be downloaded." 오류
12829정성태9/5/202118370.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28정성태9/4/202115608.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827정성태9/4/202115761스크립트: 27. 파이썬 - 웹 페이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scrapy Crawler 사용법 요약
12826정성태9/3/202119461.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825정성태9/3/202115634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12824정성태9/2/202124868오류 유형: 760. 파이썬 tensorflow - Dst tensor is not initialized. 오류 메시지
12823정성태9/2/202114155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12822정성태9/1/202119213오류 유형: 759. 파이썬 tensorflow - ValueError: Shapes (...) and (...) are incompatible [2]
12821정성태9/1/202114619.NET Framework: 1112. C# - .NET 6부터 공개된 ISpanFormattable 사용법
12820정성태9/1/202115537VC++: 147. Golang - try/catch에 대응하는 panic/recover [1]파일 다운로드1
12819정성태8/31/202116010.NET Framework: 1111. C# - FormattableString 타입
12818정성태8/31/202113872Windows: 198. 윈도우 - 작업 관리자에서 (tensorflow 등으로 인한) GPU 연산 부하 보는 방법
12817정성태8/31/202117620스크립트: 25.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directml을 이용한 tensorflow의 AMD GPU 사용 방법
12816정성태8/30/202123341스크립트: 24. 파이썬 - tensorflow 2.6 NVidia GPU 사용 방법 [2]
12815정성태8/30/202115746개발 환경 구성: 602. WSL 2 - docker-desktop-data, docker-desktop (%LOCALAPPDATA%\Docker\wsl\data\ext4.vhdx) 파일을 다른 디렉터리로 옮기는 방법
12814정성태8/30/202120160.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2]파일 다운로드1
12813정성태8/29/202117250.NET Framework: 1109. C# 10 - (11) Lambda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812정성태8/28/202116577.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12811정성태8/27/202116455Linux: 44. 윈도우 개발자를 위한 리눅스 fork 동작 방식 설명 (파이썬 코드)
12810정성태8/27/202115451.NET Framework: 1107. .NET Core/5+에서 동적 컴파일한 C# 코드를 (Breakpoint도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방법 - #line 지시자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