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91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063

Windows: 121.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2) - Sleep 함수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065

Windows: 12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
; https://www.sysnet.pe.kr/2/0/11066

Windows: 123.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4) - RTC, TSC, PM Clock, HPET Timer
; https://www.sysnet.pe.kr/2/0/11067

Windows: 124.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1068

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802




Windows -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

우선, 이 차이점을 이해하려면 아래의 글을 먼저 읽어주시고. ^^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063

위의 글을 이해했다면 이제 GetSystemTimeAsFileTime의 동작 방식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GetSystemTimeAsFileTime function (sysinfoapi.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sysinfoapi/nf-sysinfoapi-getsystemtimeasfiletime

즉, GetSystemTimeAsFileTime은 timer interrupt가 tick을 업데이트하는 주기로 시간이 업데이트되는 것인데요,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테스트해 보면,

#include <vector>
#include <Windows.h>

using namespace std;

ULONGLONG SubtractFileTime(const FILETIME& ftA, const FILETIME& ftB)
{
    ULARGE_INTEGER a, b;
    a.LowPart = ftA.dwLowDateTime;
    a.HighPart = ftA.dwHighDateTime;

    b.LowPart = ftB.dwLowDateTime;
    b.HighPart = ftB.dwHighDateTime;

    return (a.QuadPart - b.QuadPart);
}

int main()
{
    int count = 1000000;
    vector<FILETIME> ticks;

    for (int i = 0; i < count; i++)
    {
        FILETIME ft;
        GetSystemTimeAsFileTime(&ft);

        ticks.push_back(ft);
    }

    FILETIME oldTime = ticks[0];
    ULONGLONG elapsed;
    for (int i = 1; i < count; i++)
    {
        elapsed = SubtractFileTime(ticks[i], oldTime);
        oldTime = ticks[i];

        if (elapsed != 0)
        {
            printf("%lld\n", elapsed);
        }
    }
}

/* 출력 결과: Current timer interval" == 1ms인 경우
10049
9912
10000
10023
9990
9992
10069
9931
9990
10007
*/

대충, 10,000 범위로 값이 툭툭 튀고 있는데요, 저 값의 정확한 의미는 QueryPerformanceFrequency가 반환한 값이 있어야 해석이 가능합니다.

bool g_IsHighResolution = false;

__int64 GetQPCFreq()
{
    LARGE_INTEGER qpcRate;
    g_IsHighResolution = QueryPerformanceFrequency(&qpcRate); // 대개의 경우 g_IsHighResolution == true
    return qpcRate.QuadPart;
}

__int64 frequency = GetQPCFreq();
printf("QPC frequency: %lld\n", frequency); // 출력 결과: QPC frequency: 10000000

위의 결과에 따라 GetSystemTimeAsFileTime이 반환한 값의 1 단위는 1 / 10,000,000 초(0.1 마이크로 초, 100 나노 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0,000 주기로 값이 튀는 것은 1 / 1,000초, 즉 1ms 주기로 발생하는 timer interrupt마다 GetSystemTimeAsFileTime의 값이 바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timer interrupt 주기가 15.6ms인 경우라면, 약 156,000 단위로 값이 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timer interrupt가 발생한 바로 그 순간에 100 나노 초 단위의 정밀도로 그 시간을 보관하게 되지만, 이후 1ms가 지나기까지는 그 값이 변경되지 않다가, 1ms가 지나서야 다시 그 시점의 시간을 100 나노 초 단위로 보여주는 식입니다.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은, 예상할 수 있겠지만 Precise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에서 좀 더 정밀한 시간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 function (sysinfoapi.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sysinfoapi/nf-sysinfoapi-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

실제로, 위의 예제 코드를 GetSystemTimeAsFileTime을 호출하는 것만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으로 바꿔 실행해 보면,

int main()
{
    int count = 10;
    vector<FILETIME> ticks;

    for (int i = 0; i < count; i++)
    {
        FILETIME ft;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ft);

        ticks.push_back(ft);
    }

    // ...[생략]...
}

/* 출력 결과: Current timer interval"의 설정과 무관하게!
3
2
1
2
1
1
1

대략 0.1us마다 값이 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timer interrupt가 발생하는 것과 무관하게 현재 시간을 100ns 단위의 정밀도로 반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함수는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부터 구현하고 있는데요, 이게 어떻게 가능하게 된 것일까요? ^^ 일단 윈도우 소스코드가 없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돼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냥 제 추측으로 적어보자면... ^^

아마도, timer interrupt가 발생하는 주기로 기존처럼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있지만, 바로 그 시점의 rdtsc 값을 보관한 다음 이후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을 호출할 때 rdtsc의 변화를 계산해 마지막 timer interrupt가 발생한 시점의 값과 더해 반환하는 식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그렇게 하면 요즘 CPU의 경우 GHz 주기로 시간 정밀도가 나올 수 있는데요, 하지만 근래의 Windows 운영체제는 그 값을 정규화시켜 100ns에 맞춰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1 ~ 15.6ms 정도의 정밀도로 상관없다면 GetSystemTimeAsFileTime을 사용하고, 그 이상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면 (보통) 0.1us 정밀도를 갖는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을 사용하면 됩니다.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일부 시스템에서는 Precise 함수가 정상적인 값을 반환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GetSystemTimeAsFileTime으로 보완하는 코드가 필요합니다.)




참고로, QueryPerformanceFrequency 함수가 대개의 경우 10000000을 반환하지만 환경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하기도 합니다. 가령 예전에 질문하셨던 분도 그렇고, 아래의 글을 테스트할 때만 해도,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1068

QueryPerformanceFrequency가 3328129를 반환했었는데요, 이 차이는 Windows 10 build 1809부터 바뀐 것이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3035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9정성태2/28/201146551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249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700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48.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149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516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55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804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3996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497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661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52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252.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36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624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659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4941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874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269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4995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49.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296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918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123.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6959.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288.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