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783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AD 서버를 상위 버전으로의 윈도우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할 때 이렇게 오류가 발생하거나,

D:\support\adprep> adprep /forestprep

ADPREP WARNING:

Before running adprep, all Windows Active Directory Domain Controllers in the forest must run Windows Server 2003 or later.

You are about to upgrade the schema for the Active Directory forest named 'testad.com', using the Active Directory domain controller (schema master) 'adsvr1.testad.com'.
This operation cannot be reversed after it completes.

[User Action]
If all domain controllers in the forest run Windows Server 2003 or later and you want to upgrade the schema, confirm by typing 'C' and then press ENTER to continue. Otherwise, type any other key and press ENTER to quit.


C

Adprep failed to verify whether schema master has completed a replication cycle after last reboot.
[Status/Consequence]
The schema is not upgraded.
[User Action]
Check the log file ADPrep.log in the C:\WINDOWS\debug\adprep\logs\20241107232351 directory for possible cause of failure.

Adprep encountered an LDAP error.
Error code: 0xc. Server extended error code: 0x20ae, Server error message: 000020AE: SvcErr: DSID-032104F6, problem 5010 (UNAVAIL_EXTENSION), data 8610

AD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경우 이런 오류 등이 발생한다면,

Replicate Now

The following error occurred during the attempt to synchronize naming context CN=Configuration,DC=testad,DC=com from Domain Controller ADSVR2 to Domain Controller ADSVR1:
The directory service cannot replicate with this server because the time since the last replication with this server has exceeded the tombstone lifetime.

This operation will not continue.

D:\support\adprep> REPADMIN /SYNCALL
CALLBACK MESSAGE: The following replication is in progress:
    From: d44126fc-e636-4348-be7d-81b0f9394b0a._msdcs.testad.com
    To  : da661036-e628-4525-96d9-00d934eedc67._msdcs.testad.com
CALLBACK MESSAGE: Error issuing replication: 8418 (0x20e2):
    The replication operation failed because of a schema mismatch between the servers involved.
    From: d44126fc-e636-4348-be7d-81b0f9394b0a._msdcs.testad.com
    To  : da661036-e628-4525-96d9-00d934eedc67._msdcs.testad.com
CALLBACK MESSAGE: SyncAll Finished.

SyncAll reported the following errors:
Error issuing replication: 8418 (0x20e2):
    The replication operation failed because of a schema mismatch between the servers involved.
    From: d44126fc-e636-4348-be7d-81b0f9394b0a._msdcs.testad.com
    To  : da661036-e628-4525-96d9-00d934eedc67._msdcs.testad.com

다음의 문서를 참조해 해당 문제를 복구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Error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when manually replicating data between domain controllers - Resolu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server/active-directory/target-principal-name-is-incorrect-when-replicating-data#resolution

Troubleshoot Active Directory replication error 8614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server/active-directory/replication-error-8614#resolution

혹은 저처럼 ^^ 단순하게, 문제가 된 AD 서버를 DC에서 해제(Demote)하고, 정리한 다음, 다시 AD 서버로 승격(Promote)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5정성태12/20/201918868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303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281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53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03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569.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444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241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343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858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661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332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868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69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178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02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487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153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563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223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532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452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377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888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322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0925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