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793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724

.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 https://www.sysnet.pe.kr/2/0/13024

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 https://www.sysnet.pe.kr/2/0/13814

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816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NET Framework 시절에는 AppDomain.GetCurrentThreadId로도 구할 수 있었지만,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 https://www.sysnet.pe.kr/2/0/13024

.NET Core/5+로 넘어오면서 일단 BCL 수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없어졌습니다. 어쩔 수 없이 이런 경우 P/Invoke를 사용해야 하는데, 다중 플랫폼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도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public enum LinuxSysCall
{
    __NR_gettid = 186,
}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public static extern uint GetCurrentThreadId();

    [DllImport("libc.so.6")]
    public static extern int syscall(int callNumber, IntPtr data);

    public static uint GetThreadNativeId()
    {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Windows))
        {
            return GetCurrentThreadId();
        }
        else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Linux))
        {
            return (uint)syscall((int)LinuxSysCall.__NR_gettid, IntPtr.Zero);
        }

        return 0;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CurrentThreadId: {GetThreadNativeId()}");

        ThreadPool.QueueUserWorkItem((arg) =>
        {
            uint thread_id = GetThreadNativeId();
            Console.WriteLine($"{Environment.ProcessId}, {thread_id}, {Thread.CurrentThread.Name}");
        });

        Thread.Sleep(1000);
    }
}

참고로, 위에서 syscall을 통해 gettid를 호출했는데요, syscall이 아닌 gettid를 직접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DllImport("libc.so.6")]
public static extern int gettid();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85정성태7/19/202410396스크립트: 66.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84정성태7/19/202411678닷넷: 2279. C# - 문자열 보간식 사례 (예: 조건 연산자 사용)
13683정성태7/18/202410081오류 유형: 917. ClrMD - Linux 환경의 .NET 5 덤프 분석 시 hang 현상
13682정성태7/18/202410547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파일 다운로드1
13681정성태7/17/20249846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680정성태7/16/202412030닷넷: 2276. C# - Method Group, Natural Type, function_type파일 다운로드1
13679정성태7/16/20249010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13678정성태7/15/202410237VS.NET IDE: 191. Visual Studio 2022 - .NET 5 프로젝트를 Docker Support로 실행했을 때 오류
13677정성태7/15/202411318오류 유형: 916. MSBuild - CheckEolTargetFramework (warning NETSDK1138)
13676정성태7/14/202410377Linux: 75. gdb에서 glibc의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3675정성태7/13/202413608C/C++: 166. C/C++ - DLL에서 template 함수를 export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674정성태7/13/202411837오류 유형: 915.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ServerNotAvailable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Process
13673정성태7/11/202414235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파일 다운로드1
13672정성태7/10/20249735닷넷: 2274.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13671정성태7/10/202410312오류 유형: 914. Package ca-certificates is not installed.
13669정성태7/9/202410262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13668정성태7/8/202410835개발 환경 구성: 716. Hyper-V - Ubuntu 22.04 Generation 2 유형의 VM 설치
13667정성태7/7/20248590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1131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11658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10436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9965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9900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11617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10989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12170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