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89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724

.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 https://www.sysnet.pe.kr/2/0/13024

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 https://www.sysnet.pe.kr/2/0/13814

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816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

.NET Framework 시절에는 AppDomain.GetCurrentThreadId로도 구할 수 있었지만,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 https://www.sysnet.pe.kr/2/0/13024

.NET Core/5+로 넘어오면서 일단 BCL 수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없어졌습니다. 어쩔 수 없이 이런 경우 P/Invoke를 사용해야 하는데, 다중 플랫폼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도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public enum LinuxSysCall
{
    __NR_gettid = 186,
}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public static extern uint GetCurrentThreadId();

    [DllImport("libc.so.6")]
    public static extern int syscall(int callNumber, IntPtr data);

    public static uint GetThreadNativeId()
    {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Windows))
        {
            return GetCurrentThreadId();
        }
        else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Linux))
        {
            return (uint)syscall((int)LinuxSysCall.__NR_gettid, IntPtr.Zero);
        }

        return 0;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CurrentThreadId: {GetThreadNativeId()}");

        ThreadPool.QueueUserWorkItem((arg) =>
        {
            uint thread_id = GetThreadNativeId();
            Console.WriteLine($"{Environment.ProcessId}, {thread_id}, {Thread.CurrentThread.Name}");
        });

        Thread.Sleep(1000);
    }
}

참고로, 위에서 syscall을 통해 gettid를 호출했는데요, syscall이 아닌 gettid를 직접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DllImport("libc.so.6")]
public static extern int gettid();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7정성태9/21/200521745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3608.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9965.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8774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2133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2525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5526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6502.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22841.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23455.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20822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20143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20350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21975.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22564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9581.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20403.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21765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6125.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4965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22008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20639.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22879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9731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20376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20086.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