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81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운영체제에 의해서 프로세스 격리가 제공되는 것을, 닷넷은 다시 프로세스 내부를 AppDomain이라는 단위로 격리시키고 서로 간의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Native 언어(예: C/C++)에서는 static으로 singleton을 만들었던 것을 닷넷에서는 static으로 지정했다고 프로세스 전역적으로 한 개만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AppDomain 별로 존재하는 것이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다음의 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Cross AppDomain Singleton 
; http://ingebrigtsen.info/2007/05/18/cross-appdomain-singleton/

근데, 코드가 별로 마음에 안 듭니다. ^^ Interop DLL이 별도로 추가된다는 것은 관리적인 요소만 하나 더 늘리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그래서, 아래의 방법을 곁들이면 더 좋습니다. ^^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0

public class CrossAppDomainSingleton<T> : MarshalByRefObject where T : new()
{
	...[생략]...
    private static AppDomain GetAppDomain(string friendlyName)
    {
        IntPtr enumHandle = IntPtr.Zero;
        ICorRuntimeHost host = null;

        try
        {
            host = Utility.CoCreateInstance("{CB2F6723-AB3A-11D2-9C40-00C04FA30A3E}") as ICorRuntimeHost;

            if (host == null)
            {
                return null;
            }

            host.EnumDomains(out enumHandle);

            object domain = null;
            while (true)
            {
                host.NextDomain(enumHandle, out domain);
                if (domain == null)
                {
                    break;
                }
                AppDomain appDomain = (AppDomain)domain;
                if (appDomain.FriendlyName.Equals(friendlyName))
                {
                    return appDomain;
                }
            }
        }
        finally
        {
            host.CloseEnum(enumHandle);
            Marshal.ReleaseComObject(host);
            host = null;
        }
        return null;
    }

	...[생략]...
}

지면(?) 관계상 ICorRuntimeHost 등의 구현은 이 글의 첨부 파일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나저나, 어쩔 수 없이 프로세스 수준의 Singleton을 사용해야 하지만 성능 손실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봤습니다.

public static class NonSingleton
{
    static bool _test = true;
    public static bool Test { get { return _test; } }
}

public class Singleton : CrossAppDomainSingleton<Singleton>
{
    bool _test = true;
    public bool Test { get { return _test; }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eckTime(false, 1); // JIT 컴파일 시간을 배제하기 위해.
        CheckTime(true, 1000000);
    }

    private static void CheckTime(bool outputResult, int loopCount)
    {
        Stopwatch st = new Stopwatch();
        st.Start();

        int inc = 0;
        for (int i = 0; i < loopCount; i++)
        {
            if (NonSingleton.Test == true)
            {
                inc++;
            }
        }
        st.Stop();

        if (outputResult == true)
        {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inc);

        st.Start();

        inc = 0;
        Singleton singleton = Singleton.Instance;
        for (int i = 0; i < loopCount; i++)
        {
            if (singleton.Test == true)
            {
                inc++;
            }
        }

        st.Stop();

        if (outputResult == true)
        {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inc);
    }
}

Release 빌드 후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왔습니다.

10,000 번 호출 NonSingleton: 0ms
10,000 번 호출 Singleton: 4ms

1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0ms
100,000 번 호출 Singleton: 45ms

1,0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1ms
1,000,000 번 호출 Singleton: 454ms

10,0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19ms
10,000,000 번 호출 Singleton: 4539ms

거의 200배가 넘게 느린 결과를 볼 수 있는데요. 무척 느리다 싶지만 이런 유의 테스트가 현실로 왔을 때는 재미있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초에 10,000번 호출된다고 가정했을 때 도메인간 호출이 겨우 4ms 더 시간이 걸릴 뿐이므로 그다지 나쁜 결과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 주의할 점은, 이는 호출 간의 속도 저하일 뿐 마샬링이 복잡해지면 더욱 느려질 수 있다는 사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2-06 04시26분
[ryujh] 안녕하세요.

프로세스를 중복실행 방지하기 위해 뮤텍스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Singleton 으로 봐도 될지요?

위의 예제는 해본적이 없어서 좀더 보고 질문드리겠습니다.
[guest]
2012-12-06 04시47분
개체가 하나면 싱글턴 개체라고 하는 것처럼, 프로세스가 하나라면 싱글턴 프로세스라는 말을 써도 되겠지요. 싱글턴 프로세스라면 위의 기법을 사용하기보다는 말씀하신 것처럼 뮤텍스가 올바른 선택일 수 있습니다.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27정성태10/15/2025489닷넷: 2371. C# - CRC64 (System.IO.Hashing의 약식 버전)파일 다운로드1
14026정성태10/15/2025520닷넷: 2370. 닷넷 지원 정보의 "package-provided" 의미
14025정성태10/14/2025793Linux: 126. eBPF (bpf2go) - tcp_sendmsg 예제
14024정성태10/14/2025829오류 유형: 984.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14023정성태10/12/20251250닷넷: 2369. C# / Whisper 모델 -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해 자동으로 SRT 자막 파일을 생성 [1]파일 다운로드1
14022정성태10/10/20252116닷넷: 2368. C# / NAudio - (AI 학습을 위해) 무음 구간을 반영한 오디오 파일 분할파일 다운로드1
14021정성태10/6/20252666닷넷: 2367. C# -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YoutubeExplode 패키지) [1]파일 다운로드1
14020정성태10/2/20252302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14019정성태10/1/20252435Linux: 124. eBPF - __sk_buff / sk_buff 구조체
14018정성태9/30/20251799닷넷: 2366.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7정성태9/29/20252262Linux: 123.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14016정성태9/28/20252540Linux: 122.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사용법
14015정성태9/22/20251982닷넷: 2365. C# - FFMpegCore를 이용한 MP4 동영상으로부터 MP3 음원 추출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4정성태9/17/20251968닷넷: 2364. C# - stun.l.google.com을 사용해 공용 IP 주소와 포트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3정성태9/14/20252611닷넷: 2363. C# - Whisper.NET Library를 이용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및 번역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2정성태9/9/20252862닷넷: 2362. C# - Windows.Media.Ocr: 윈도우 운영체제에 포함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파일 다운로드1
14011정성태9/7/20253502닷넷: 2361. C# - Linux 환경의 readlink 호출
14010정성태9/1/20253316오류 유형: 983. apt update 시 "The repository 'http://deb.debian.org/debian buster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오류
14009정성태8/28/20253777닷넷: 2360. C# 14 - (11) Expression Tree에 선택적 인수와 명명된 인수 허용파일 다운로드1
14008정성태8/26/20254354닷넷: 2359. C# 14 - (10) 복합 대입 연산자의 오버로드 지원파일 다운로드1
14007정성태8/25/20254762닷넷: 2358. C# - 현재 빌드에 적용 중인 컴파일러 버전 확인 방법 (#error version)
14006정성태8/23/20255053Linux: 121.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14005정성태8/21/20254029오류 유형: 982.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4004정성태8/21/20254614오류 유형: 981. dotnet 실행 시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14003정성태8/21/20254879닷넷: 2357. C# 14 - (9) 새로운 지시자 추가 (Ignored directive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