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83

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85

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692

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98

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64

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 https://www.sysnet.pe.kr/2/0/13165

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33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이상하군요, Windows 운영체제의 Web App에서는 Kudu 콘솔 화면에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기능이 있는데요,

azure_app_service_instance_2.png

리눅스 운영체제의 Web App에서는 저 화면의 우측 상단에 있는 Instance 선택 기능이 없습니다. 게다가 Settings / "Development Tools" / "SSH" 메뉴에서도 도대체 어떤 인스턴스로 접속이 된 것인지 아무런 표시가 없는데요, 음... ^^; 왜 이걸 UI에 두지 않았는지 이유를 알 수가 없군요.

재미있는 건, 이에 대해 검색해 봐도 질문 자체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Linux VM인 경우에 대한 질문이고, 공식 문서도 scale-out으로 늘어난 인스턴스의 개별 접속은 없고 단일 인스턴스에 대한 설명만 있습니다.

Open an SSH session to a container in Azure App Servic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app-service/configure-linux-open-ssh-session?pivots=container-linux

비록 관련은 없지만, 그나마 방법을 아래의 글을 통해 알 수는 있었습니다.

Azure App Service: How to connect to the Kudu site of a specific instance
; https://learn.microsoft.com/ko-kr/archive/blogs/kaushal/azure-app-service-how-to-connect-to-the-kudu-site-of-a-specific-instance

위의 글을 Web App에 적용해 볼까요? ^^ 이를 위해 우선 Azure Resource Explorer를 방문해야 합니다.

Azure Resource Explorer (Preview) 
; https://resources.azure.com/

이후, 왼쪽의 subscriptions 루트 노드에서 대상이 되는 WebApp을 찾아 들어가면 되는데, 그 과정이 복잡하므로 "Search"에서 해당 웹 앱의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ssh_multiple_web_app_in_azure_1.png

위의 화면에도 나오듯이 이름에 해당하는 하위 노드로 2개 정도의 검색 결과가 나오는데요,

  • ASP-pywebappgroup-be88(Microsoft.Web/serverFarms)
  • pywebapp(Microsoft.Web/sites)

둘 중에서 "Microsoft.Web/sites"로 나오는 것을 선택하면 아래의 트리로 쭉 펼쳐질 것입니다.

"subscriptions" 
    + [subscription_name] 
        + "resourceGroups" 
            + [webapp_resource_group_name]
                + "providers" 
                    + "Microsoft.Web" 
                        + "sites" 
                            + [webapp_name]

그럼 저 "[webapp_name]"의 하위에 있는 "instances"를 펼치면, (예를 들어 2개의 scale-out 인스턴스를 설정한 경우) 아래와 같이 2개의 항목이 나오게 됩니다.

ssh_multiple_web_app_in_azure_2.png

우측 패널에 보면 id로 구분된 2개의 항목이 나오는데요, 그 각각의 "consoleUrl"이 바로 SSH 접속 주소입니다. URL 형식을 보면 대충 아래와 같은데요,

https://[webapp_default_domain_name]/webssh/host?instance=2a8f...[생략]...49f1

Settings / "Development Tools" / "SSH" 접속으로 들어간 것은 저 주소에서 "instance"만 없는 형식에 해당합니다.

https://[webapp_default_domain_name]/webssh/host

다시 말해, 그냥 /webssh/host로 접속하면 둘 중의 하나에 특정 ARRAffinity가 적용돼 접속이 되는 걸로 예측이 됩니다.

반면, ?instance= 쿼리 스트링에 값을 주면 바로 그 인스턴스로 SSH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실제로 아래는 제가 실습한 2개의 인스턴스로 SSH 화면을 들어가 실행해 본 것입니다.

# cat /etc/hosts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fe00::0 ip6-localnet
ff00::0 ip6-mcastprefix
ff02::1 ip6-allnodes
ff02::2 ip6-allrouters
169.254.129.4   pywebapp_d93d716f65

# hostname
pywebapp_d93d716f65

# cat /etc/hosts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fe00::0 ip6-localnet
ff00::0 ip6-mcastprefix
ff02::1 ip6-allnodes
ff02::2 ip6-allrouters
169.254.129.4   pywebapp_6f0cd84370

# hostname
pywebapp_6f0cd84370

비록 169.254.129.4로 2개 인스턴스의 IP가 같긴 하지만 저건 아마도... 가령 다른 머신에서 뜬 컨테이너의 내부 IP가 같은 식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1정성태4/22/202115441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5379.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17867.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8401.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5625.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1478.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6842.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4754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6396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17485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6508.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16752.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7532.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18089.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7704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7020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16767.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6231.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7255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6783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0663.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6826.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8072.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19802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1077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17943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