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500

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836

디버깅 기술: 206. Windbg로 알아보는 PFN (_MMPFN)
; https://www.sysnet.pe.kr/2/0/13844

디버깅 기술: 207. Windbg로 알아보는 PTE (_MMPTE)
; https://www.sysnet.pe.kr/2/0/13845

디버깅 기술: 208. Windbg로 알아보는 Trans/Soft PTE와 2가지 Page Fault 유형
; https://www.sysnet.pe.kr/2/0/13846

디버깅 기술: 209. Windbg로 알아보는 Prototype PTE
; https://www.sysnet.pe.kr/2/0/13848

디버깅 기술: 210. Windbg - 논리(가상) 주소를 Segmentation을 거쳐 선형 주소로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3849

디버깅 기술: 212. Windbg - (Ring 3 사용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
; https://www.sysnet.pe.kr/2/0/13852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지난 글에서,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500

설명한 내용은 페이지 크기가 4KB인 경우였습니다. 반면, 페이지 크기가 2MB로 할당된 경우도 있을 텐데요,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08

이번에는 저렇게 된 경우에 대한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




자, 그럼 실습을 위해 2MB 페이지 크기로 할당된 메모리를 찾아야 하는데요, 다행히 _EPROCESS 구조체가 대개의 경우 2MB 페이지 크기로 할당된 곳에 위치하고 있는 듯합니다.

// Windows 10 x64 (10.0.19045)에서 Local Kernel Debug로 실행 + notepad.exe 하나 띄워 놓고!

lkd>  !process 0 0 notepad.exe
PROCESS ffffd282e4819080
    SessionId: 2  Cid: 277c    Peb: f9fec99000  ParentCid: 1438
    DirBase: 15c4ff000  ObjectTable: ffffe0042587a040  HandleCount: 261.
    Image: notepad.exe

lkd> !pte ffffd282e4819080
                                           VA ffffd282e4819080
PXE at FFFFFEFF7FBFDD28    PPE at FFFFFEFF7FBA5058    PDE at FFFFFEFF74A0B920    PTE at FFFFFEE9417240C8
contains 0A00000207E43863  contains 0A00000207E44863  contains 8A000001302009E3  contains 0000000000000000
pfn 207e43    ---DA--KWEV  pfn 207e44    ---DA--KWEV  pfn 130200    -GLDA--KW-V  LARGE PAGE pfn 130219    

위의 결과를 보면, _EPROCESS 구조체가 담긴 ffffd282e4819080 주소가 PDE 수준에서 pfn 130200을 담고 있으며 "LARGE PAGE"라는 의미에 맞게 "-GLDA--KW-V"에 "L" 비트가 켜져 있습니다. 즉, 2MB 페이지 크기로 할당된 메모리에 위치해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의 4KB 페이지 크기에서 offset 값을 9-9-9-9-12로 분해해 계산했던 것을, 대신 마지막 PTE의 offset 값인 9bit도 뒤의 12비트와 결합해 2MB 영역 내에서의 offset 값으로 계산을 해야 합니다.

ulong addr = 0xffffd282e4819080;

ulong mask = 0b_0000_0000_0000_0000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_1111;

ulong result = addr & mask;
Console.WriteLine($"Virtual Address: {result:x}");

mask = 0b_1_1111_1111_1111_1111_1111; // 21 bits
result = addr & mask;
Console.WriteLine($"Offset at page: {result:x3}");

addr = addr >> 21;
mask = 0b_1_1111_1111; // 9 bits
result = addr & mask;
Console.WriteLine($"Page Table Selector: {result:x3}");

addr = addr >> 9;
mask = 0b_1_1111_1111; // 9 bits
result = addr & mask;
Console.WriteLine($"Page Directory Pointer Selector: {result:x3}");

addr = addr >> 9;
mask = 0b_1_1111_1111; // 9 bits
result = addr & mask;
Console.WriteLine($"Page Map Level 4 Selector: {result:x3}");

/* 출력 결과:
Virtual Address: d282e4819080
Offset at page: 19080
Page Table Selector: 124
Page Directory Pointer Selector: 00b
Page Map Level 4 Selector: 1a5
*/

정말 그런지 DirBase로부터 물리 주소를 계산해 볼까요? ^^

"!process ..." 문맥의 결과로 나온 (CR3 레지스터의 값인) 15c4ff000을 기준으로 PML4E 값을 덤프하고,

lkd> ? 1a5*8 // 1개의 항목 크기가 8바이트이므로!
Evaluate expression: 3368 = 00000000`00000d28

lkd> dq /p 15c4ff000+d28 L1 // 또는 !dq 15c4ff000+d28 L1
00000001`5c4ffd28  0a000002`07e43863

// PML4E의 12 ~ 51 영역이 가리키는 Page Directory Pointer == 207e43000

그럼 다시 8바이트 크기의 Page Directory Pointer Selector: 00b 값을 더해서 덤프한 후,

lkd> !dq 207e43000 + (0b * 8) L1
#207e43058 0a000002`07e44863

// PDPE의 12 ~ 51 영역이 가리키는 Page Directory == 207e44000

마지막으로 "Page Table Selector: 124" 값을 더해서 덤프해 보면,

lkd> !dq 207e44000 + (0x124 * 8) L1
#207e44920 8a000001`302009e3

// PDE의 12 ~ 51 영역이 가리키는 Page Table == 130200000

위의 값이 나왔는데요, 이번엔 저 단계가 끝입니다. 왜냐하면 하위 12비트에 해당하는 0x9e3을 플래그로 분석해 보면,

// 0x9e3 == 1001 1110 0011

0: Present (1)
1: Read/Write (1)
2: User/Supervisor (0)
3: Write-through (0) 
4: Cache disabled (0)
5: Accessed (1)
6: Dirty (1)
7: Page Size (1) // 2MB 페이지 크기
8: Global (1)
9~11: AVL (100)

"L" 비트에 해당하는 Page Size가 1로 설정돼 있으므로 2MB 페이지 크기가 됩니다. 따라서, 130200000 주소를 base로 해서 가상 주소의 마지막 21비트를 더하면,

lkd> ? 130200000 + 19080
Evaluate expression: 5102473344 = 00000001`30219080

물리 주소 00000001`30219080 값이 나옵니다. 실제로 이 값이 물리 주소에 해당하는지 !vtop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됩니다. ^^

lkd> !vtop 0 ffffd282e4819080
Amd64VtoP: Virt ffffd282e4819080, pagedir 00000000007d4000
Amd64VtoP: PML4E 00000000007d4d28
Amd64VtoP: PDPE 0000000207e43058
Amd64VtoP: PDE 0000000207e44920
Amd64VtoP: Large page mapped phys 0000000130219080
Virtual address ffffd282e4819080 translates to physical address 130219080.

정확히 일치하는군요. ^^ 위의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렇게 압축할 수 있습니다.

물리 주소 == (!pte의 마지막 PFN) * page size + offse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39정성태11/10/202311501닷넷: 2158. C# - 소켓 포트를 미리 시스템에 등록/예약해 사용하는 방법(Port Exclusion Ranges)파일 다운로드1
13438정성태11/9/202310975닷넷: 2157. C# - WinRT 기능을 이용해 윈도우에서 실행 중인 Media App 제어
13437정성태11/8/202311219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13436정성태11/7/202311291닷넷: 2155. C# - .NET 8 런타임부터 (Reflection 없이) 특성을 이용해 public이 아닌 멤버 호출 가능
13435정성태11/6/202310573닷넷: 2154. C# - 네이티브 자원을 포함한 관리 개체(예: 스레드)의 GC 정리
13434정성태11/1/202310517스크립트: 62. 파이썬 - class의 정적 함수를 동적으로 교체
13433정성태11/1/20239376스크립트: 61. 파이썬 - 함수 오버로딩 미지원
13432정성태10/31/202310173오류 유형: 878. 탐색기의 WSL 디렉터리 접근 시 "Attempt to access invalid address." 오류 발생
13431정성태10/31/202310714스크립트: 60. 파이썬 - 비동기 FastAPI 앱을 gunicorn으로 호스팅
13430정성태10/30/202310909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13429정성태10/27/202311050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428정성태10/25/202311185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13427정성태10/18/202310710닷넷: 2150. C# 12 - 정적 문맥에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한 nameof 접근 허용(Allow nameof to always access instance members from static context)
13426정성태10/13/202311220스크립트: 59. 파이썬 - 비동기 호출 함수(run_until_complete, run_in_executor, create_task, run_in_threadpool)
13425정성태10/11/202311071닷넷: 2149. C# - PLinq의 Partitioner<T>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분할파일 다운로드1
13423정성태10/6/202310986스크립트: 58. 파이썬 - async/await 기본 사용법
13422정성태10/5/202310732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1]
13421정성태10/4/202311001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13420정성태9/26/202319239스크립트: 57. 파이썬 - UnboundLocalError: cannot access local variable '...' where it is not associated with a value
13419정성태9/25/202310840스크립트: 56. 파이썬 - RuntimeError: dictionary changed size during iteration
13418정성태9/25/202312463닷넷: 2146. C# - ConcurrentDictionary 자료 구조의 동기화 방식
13417정성태9/19/202311759닷넷: 2145. C# - 제네릭의 형식 매개변수에 속한 (매개변수를 가진) 생성자를 호출하는 방법
13416정성태9/19/202310366오류 유형: 877. redis-py - MISCONF Redis is configured to save RDB snapshots, ...
13415정성태9/18/202311793닷넷: 2144. C# 12 - 컬렉션 식(Collection Expressions) [2]
13414정성태9/16/202311133디버깅 기술: 193. Windbg - Thread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3413정성태9/14/202311953닷넷: 2143. C# - 시스템 Time Zone 변경 시 이벤트 알림을 받는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