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 https://www.sysnet.pe.kr/2/0/265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314

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 https://www.sysnet.pe.kr/2/0/934

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38

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 https://www.sysnet.pe.kr/2/0/1259

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602

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43

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5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Hyper-V에 띄운 VM(이름: win10en)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다음과 같이 COM 포트를 pipe로 연결하고,

[Debugger 호스트 측에서 실행]

// Generation 2 VM 유형인 경우, 설정 창이 없으므로 명령행에서 설정

PS C:\temp> Set-VMComPort -VMName win10en -Path \\.\pipe\com1 -Number 1

WinDbg를 실행해 커널 디버깅 모드로 연결 대기를 해둡니다.

[Debugger 호스트 측에서 실행]

c:\temp>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dbg" -Q -k "com:port=\\.\pipe\com1,baud=115200,pipe,reconnect"

그다음, VM 측에서는 호스트 측에서 실행해 둔 WinDbg에 연결하기 위한 설정을 합니다.

[Debuggee VM 측에서 실행]

c:\temp> bcdedit /debug on 

// COM 1 포트로 연결한 경우
c:\temp> bcdedit /dbgsettings SERIAL DEBUGPORT:1 BAUDRATE:115200 

// 이후, 재시작 (재부팅 시에 자동으로 호스트 측 Windbg에 연결됨)
c:\temp> shutdown -r -t 0

// 디버그 원격 연결 해제하려는 경우, 
// bcdedit /dbgsettings LOCAL

저런 식으로 커널 디버깅을 하게 되었을 때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 문맥으로 들어가,

// ConsoleApplication1.exe 사용자 프로그램 문맥으로 변경

7: kd>  !process 0 0 ConsoleApplication1.exe
PROCESS ffffde87aabe1080
    SessionId: 1  Cid: 04bc    Peb: 26efd4d000  ParentCid: 0b70
    DirBase: 1ab333000  ObjectTable: ffff900e9e55bac0  HandleCount:  46.
    Image: ConsoleApplication1.exe

4: kd>  .process /i ffffde87aabe1080
You need to continue execution (press 'g' <enter>) for the context
to be switched. When the debugger breaks in again, you will be in
the new process context.

4: kd> g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bgBreakPointWithStatus:
fffff806`2a81f130 cc              int     3

BP를 걸려고 해도 풀이가 안 된다는 메시지와 함께, 실제로 BP가 걸리지 않습니다.

4: kd> bp ConsoleApplication1!FuncInThread1
Bp expression 'ConsoleApplication1!FuncInThread1' could not be resolved, adding deferred bp

4: kd> g
// BP에 해당하는 코드가 실행돼도 멈추지 않음

이런 경우, 모듈 목록을 조사해 보면 사용자 측 모듈이 아닌, 커널 측 모듈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kd> lm o
start             end                 module name
fffff806`83400000 fffff806`84447000   nt         (pdb symbols)          e:\symbols\ntkrnlmp.pdb\F2F2E6BC961003D3115AD38C4A9FB42E1\ntkrnlmp.pdb
fffff806`a9060000 fffff806`a907d000   WdNisDrv   (deferred)             
fffff806`a9510000 fffff806`a9537000   WinSetupMon   (deferred)             
fffff806`a9780000 fffff806`a978f000   wimmount   (deferred)             
fffff806`a98e0000 fffff806`a98f0000   terminpt   (deferred)          

따라서, 이게 가능하려면 응용 프로그램 측 모듈의 심벌 파일을 명시적으로 로드해야 합니다.

// .reload (Reload Modu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mds/-reload--reload-module-#parameters

4: kd> .reload /user

이후, 다시 BP를 걸어보면 이름 풀이가 되고 BP에서의 실행 역시 잘 멈추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89정성태8/8/20253328닷넷: 2352. C# - Windows S-mode 환경인지 체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88정성태8/8/20253275오류 유형: 974.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13987정성태8/7/20252820닷넷: 2351. C# 14 - (6) event와 생성자에도 partial 메서드 적용파일 다운로드1
13986정성태8/6/20252366닷넷: 2350. C# 14 - (5) 람다 매개 변수에 접근자가 있는 경우에도 타입 생략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85정성태8/6/20253055오류 유형: 973. "wsl --install" 명령어 수행 시 "The server name or address could not be resolved"
13984정성태8/6/20252794Windows: 282. 윈도우 운영체제에 추가된 ssh 서버(Win32-OpenSSH)
13983정성태8/4/20252691오류 유형: 972. Microsoft.Data.SqlClient 6.1.0 버전부터 .NET 8 이상만 지원
13982정성태8/2/20253014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2556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2659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3162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2603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3112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2947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2828닷넷: 2347. C# 14 - (3)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3974정성태7/22/20253030닷넷: 2346. C# 14 - (2)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973정성태7/21/20253172닷넷: 2345. C# - 배열 및 Span의 공변성파일 다운로드1
13972정성태7/21/20252825닷넷: 2344. C#의 Identity conversion 의미파일 다운로드1
13971정성태7/17/20253058닷넷: 2343. C# 14 - (1)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파일 다운로드1
13970정성태7/17/20252757닷넷: 2342. C# 14 - (취소된 글)
13969정성태7/17/20252719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13968정성태7/16/20252713오류 유형: 969. lddtree - TypeError: 'type' object is not subscriptable
13967정성태7/16/20253509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13966정성태7/15/20254110디버깅 기술: 223. WinDbg - .kframes 명령어
13965정성태7/11/20253250오류 유형: 967.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 "Could not find file 'C:\Program Files\IIS Express\Oracle.DataAccess.Common.Configuration.Section.xsd'" 예외
13964정성태7/10/20254621닷넷: 2340. C# - Win32 Multimedia Timer 주기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