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 https://www.sysnet.pe.kr/2/0/265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314

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 https://www.sysnet.pe.kr/2/0/934

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38

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 https://www.sysnet.pe.kr/2/0/1259

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602

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43

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5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Hyper-V에 띄운 VM(이름: win10en)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다음과 같이 COM 포트를 pipe로 연결하고,

[Debugger 호스트 측에서 실행]

// Generation 2 VM 유형인 경우, 설정 창이 없으므로 명령행에서 설정

PS C:\temp> Set-VMComPort -VMName win10en -Path \\.\pipe\com1 -Number 1

WinDbg를 실행해 커널 디버깅 모드로 연결 대기를 해둡니다.

[Debugger 호스트 측에서 실행]

c:\temp>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dbg" -Q -k "com:port=\\.\pipe\com1,baud=115200,pipe,reconnect"

그다음, VM 측에서는 호스트 측에서 실행해 둔 WinDbg에 연결하기 위한 설정을 합니다.

[Debuggee VM 측에서 실행]

c:\temp> bcdedit /debug on 

// COM 1 포트로 연결한 경우
c:\temp> bcdedit /dbgsettings SERIAL DEBUGPORT:1 BAUDRATE:115200 

// 이후, 재시작 (재부팅 시에 자동으로 호스트 측 Windbg에 연결됨)
c:\temp> shutdown -r -t 0

// 디버그 원격 연결 해제하려는 경우, 
// bcdedit /dbgsettings LOCAL

저런 식으로 커널 디버깅을 하게 되었을 때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 문맥으로 들어가,

// ConsoleApplication1.exe 사용자 프로그램 문맥으로 변경

7: kd>  !process 0 0 ConsoleApplication1.exe
PROCESS ffffde87aabe1080
    SessionId: 1  Cid: 04bc    Peb: 26efd4d000  ParentCid: 0b70
    DirBase: 1ab333000  ObjectTable: ffff900e9e55bac0  HandleCount:  46.
    Image: ConsoleApplication1.exe

4: kd>  .process /i ffffde87aabe1080
You need to continue execution (press 'g' <enter>) for the context
to be switched. When the debugger breaks in again, you will be in
the new process context.

4: kd> g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bgBreakPointWithStatus:
fffff806`2a81f130 cc              int     3

BP를 걸려고 해도 풀이가 안 된다는 메시지와 함께, 실제로 BP가 걸리지 않습니다.

4: kd> bp ConsoleApplication1!FuncInThread1
Bp expression 'ConsoleApplication1!FuncInThread1' could not be resolved, adding deferred bp

4: kd> g
// BP에 해당하는 코드가 실행돼도 멈추지 않음

이런 경우, 모듈 목록을 조사해 보면 사용자 측 모듈이 아닌, 커널 측 모듈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kd> lm o
start             end                 module name
fffff806`83400000 fffff806`84447000   nt         (pdb symbols)          e:\symbols\ntkrnlmp.pdb\F2F2E6BC961003D3115AD38C4A9FB42E1\ntkrnlmp.pdb
fffff806`a9060000 fffff806`a907d000   WdNisDrv   (deferred)             
fffff806`a9510000 fffff806`a9537000   WinSetupMon   (deferred)             
fffff806`a9780000 fffff806`a978f000   wimmount   (deferred)             
fffff806`a98e0000 fffff806`a98f0000   terminpt   (deferred)          

따라서, 이게 가능하려면 응용 프로그램 측 모듈의 심벌 파일을 명시적으로 로드해야 합니다.

// .reload (Reload Modu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mds/-reload--reload-module-#parameters

4: kd> .reload /user

이후, 다시 BP를 걸어보면 이름 풀이가 되고 BP에서의 실행 역시 잘 멈추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3정성태6/20/201127176오류 유형: 127. Visual Studio에서 WCF 서비스의 이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1072정성태6/19/201126656.NET Framework: 224. EF 4.1 Code First에서 Identity 칼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71정성태6/19/201130201.NET Framework: 223. Entity Framework 4.1의 Code First를 이용한 SQL Azure 데이터베이스 생성 [3]파일 다운로드1
1070정성태6/19/201127716.NET Framework: 222. Windows Azure - VM Role 베타 프로그램 참여 [2]
1069정성태6/18/201127807.NET Framework: 221. Cache 영향을 받지 않는 DNS 이름 풀이 [2]파일 다운로드1
1068정성태6/16/201125395개발 환경 구성: 127. Portable Library - 닷넷 N-Screen용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1]
1067정성태6/15/201124954오류 유형: 126. Windows failed to apply the Group Policy Folder Options settings. [1]
1066정성태6/14/201127987개발 환경 구성: 126. MSDN 구독자 - Windows Azure 무료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 [4]
1065정성태6/13/201132817개발 환경 구성: 125. Firebird - 유니코드 기본 문자셋 지정
1064정성태6/11/201127468웹: 22.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1]
1063정성태6/10/201129054웹: 21. Sysnet 웹 사이트의 CSS 2.1 변환 기록 [1]
1062정성태6/9/201129213웹: 20.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1]
1061정성태6/8/201127466오류 유형: 125. 인터넷 익스플로러 - 개발자 도구에서 정지점(BP: Breakpoint) 설정이 안 되는 경우 [1]
1060정성태6/8/201124017VC++: 51. PHP 모듈의 F5 디버깅
1059정성태6/6/201129147VC++: 50.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8정성태6/5/201132791개발 환경 구성: 124. .NET 개발자가 처음 해보는 PHP + MySQL 연동 [2]
1057정성태6/4/201130173VC++: 49. 소스 코드로부터 php5apache2_2.dll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6정성태6/2/201128328VC++: 48.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 Content Handler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55정성태6/1/201125561오류 유형: 124. MVC 프로젝트의 Site.Master 관련 오류 정리
1054정성태5/31/201129820.NET Framework: 220.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053정성태5/31/201132331VC++: 47. Apache Module에 대한 'F5 디버그 (Start with debugging)' [2]
1052정성태5/30/201129971.NET Framework: 219.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구성하기파일 다운로드1
1051정성태5/28/201138445VC++: 46.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컴파일 (VC++)파일 다운로드1
1050정성태5/28/201124613오류 유형: 123. Firebird - Exception of type 'FirebirdSql.Data.Common.IscException' was thrown.
1049정성태5/28/201130311.NET Framework: 218.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1]
1048정성태5/27/201132238개발 환경 구성: 123. Apache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