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264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7

.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8

.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

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
; https://www.sysnet.pe.kr/2/0/10797

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097

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 https://www.sysnet.pe.kr/2/0/13842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다들 아시는 것처럼, x64용의 Visual C++ 컴파일러에서는 인라인 어셈블리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NtCurrentTeb API도 x64에서는 ntdll.dll 파일에서 export 되어 있지 않습니다.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4

하지만, 네이티브 언어인 C++에서 못할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

우선, x64에서는 TEB가 FS 레지스터가 아닌 GS 레지스터 쪽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Thread Local Storage, part 1: Overview
; http://www.nynaeve.net/?p=180

위의 글에서 보면, x86에서는 fs, x64에서는 gs 레지스터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The “per-thread” resolution of the TEB is fairly well documented, but for the benefit of those that are unaware, the general idea is that one of the segment registers (fs on x86, gs on x64) is repurposed by the OS to point to the base address of the TEB for the current thread. This allows, say, an access to fs:[0x0] (or gs:[0x0] on x64) to always access the TEB allocated for the current thread, regardless of other threads in the address space.


옵셋은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Mixing x86 with x64 code
; http://blog.rewolf.pl/blog/?p=102#.UMg6zi2wc5c

위의 글에 보면 gs:[0x30]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럼 어떻게 해야 gs:[0x30] 값을 인라인 어셈블리(asm 키워드) 없이 가져올 수 있을지 알아내야 합니다. 비록 asm 키워드는 없어졌지만, Visual C++에서는 자주 쓰는 어셈블리 코드에 대해 x64 Intrinsics 함수군을 제공합니다.

x64 Intrinsics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visualstudio/visual-studio-2010/azcs88h2(v=vs.100)

위의 목록에서 GS 레지스터 관련해서 __readgsqword 함수가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따라서, TEB를 구하는 x86 코드를 x64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intrin.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int *pTib = NULL;

	//_asm {
	//	mov eax, fs:[18h]
	//	mov pTib, eax
	//}

	unsigned __int64 fsReg = 0;

	fsReg = __readgsqword(0x30);
	printf("%I64x\n", fsReg);

	//::__debugbreak();
	
	return 0;
}

그런데, 정말 0x30 값을 __readgsqword 함수에 넘겨서 반환받은 값이 TEB가 맞을까요? 이를 확인하려면 windbg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teb_x64_1.png

보시는 것처럼, __readgsqword로 구해온 값과 windbg의 !teb 명령어 결괏값이 같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91정성태9/3/201723634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8129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5850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22276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31251.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8911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7127.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5524.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21088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22241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4637.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22946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3705.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22481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24061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6985.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6546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11274정성태8/22/201723481.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3936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8516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21859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5078.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4459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5197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7952.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8820.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