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550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351

.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
; https://www.sysnet.pe.kr/2/0/11414

.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5

.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7

.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6

.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84

.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1850

닷넷: 2138.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421

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4

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5

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예전에,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
; https://www.sysnet.pe.kr/2/0/11414

글을 통해 async void 대신 async Task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엔 다른 이유를 하나 더 들어보려고 합니다. ^^




예제와 함께 설명하는 것이 좋겠죠? ^^ 가령, 동기 방식으로 작성한 기존 코드가 있고,

internal class MyClassSync
{
    static int currentCount = 0;

    public static void Job()
    {
        Thread.Sleep(1000);
        currentCount++;
    }
}

이에 대해 비동기 방식에 대한 지원도 "함께" 제공하고 싶은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도 Job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싶은 것입니다.

internal class MyClassAsync
{
    static int currentCount = 0;

    public static async Task Job()
    {
        await Task.Delay(1000);
        currentCount++;
    }
}

이런 식이라면, 저 Job 메서드를 호출하는 측에서도 해당 메서드의 signature를 파악해 그에 맞게 호출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충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추상화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
        MulticastDelegate m = MyClassAsync.Job; // 비동기 방식의 Job 메서드도 호출할 수 있고,
        await InvokeDelegate(m);

    }

    {
        MulticastDelegate m = MyClassSync.Job; // 동기 방식의 Job 메서드도 호출할 수 있습니다.
        await InvokeDelegate(m);
    }

    await Task.Delay(1500);
}

private static Task InvokeDelegate(MulticastDelegate m) 
{
    switch (m)
    {
        case Func<Task> func:
            return func();

        case Action action:
            action();
            return Task.CompletedTask;
    }

    return Task.CompletedTask;
}

뭐, 그런대로 여기까지는 의도했던 바에 따라 구현을 했습니다.




자, 그런데 이제 동기 방식으로 작성된 코드를 유지/보수하던 개발자가 내부에서 await 호출을 추가하고 싶어졌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물론, 그런 경우 MyClassAsync.Job처럼 async Task로 만들어 주면 될 텐데요, 문제는 async void로 만들었다고 해서 딱히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즉, 무심코 다음과 같이 만들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은 것입니다.

public static async void Job()
{
    await Task.Delay(1000);
    currentCount++;
}

문제를 눈치채셨나요? ^^ async void는 내부에서 await 호출을 할 수 있긴 해도, 외부에서 보면 단순히 void 메서드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호출 측에서는 이것을 "Action" 타입으로 간주하게 되고 InvokeDelegate에서는 단순히 다음의 코드를 경유하게 됩니다.

case Action action:
    action();
    return Task.CompletedTask;

(InvokeDelegate를 제거해 보면) 결국 아래와 같은 식으로 호출이 되는 것과 같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MyClassSync.Job(); // await 호출이 아니므로, 내부에서 Task.Delay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제어가 곧바로 반환됨

    await Task.Delay(1500);
}

물론, 저런 식의 동작을 의도한 것이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저런 부작용을 예상치는 못할 것입니다.




Task 타입에는 ContinueWith 메서드가 제공돼 해당 Task의 마지막에 추가 작업을 이어붙일 수 있습니다. 위의 async void, async Task를 이것과 연결해 테스트하면 문제가 더 잘 드러납니다.

가령, async Task로 한 경우에는 의도했던 대로 순서에 따라 ContinueWith에 전달한 작업이 실행되지만,

MulticastDelegate m = MyClassSync.Job;
await InvokeDelegate(m).ContinueWith((t) =>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Step 2 - MyClassSync.End");
}, TaskContinuationOptions.ExecuteSynchronously);

internal class MyClassSync
{
    static int currentCount = 0;

    public static async Task Job()
    {
        await Task.Delay(1000).ContinueWith((t) =>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Step 1 - Async.TaskDelay.End");
        }, TaskContinuationOptions.ExecuteSynchronously);

        currentCount++;
    }
}

/* 실행 시 출력 결과:
Step 1 - Async.TaskDelay.End
Step 2 - MyClassSync.End
*/

만약 "public static async void Job()"로 바꾸게 되면 결과가 거꾸로 나오게 됩니다.

Step 2 - MyClassSync.End
Step 1 - Async.TaskDelay.End

정리하면, 약속된 메서드에 대해 동기/비동기 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싶다면 async void의 사용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로 위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10정성태1/27/202116995.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6880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6118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16652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19775.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6508.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18459.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16861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17457.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6405.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17225.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18546.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6971.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19542.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16900.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19256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18516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16581.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5563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7596.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6729.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18799.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8073.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6496.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18220.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18417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