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886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351

.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
; https://www.sysnet.pe.kr/2/0/11414

.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5

.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7

.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6

.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84

.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1850

.NET Framework: 1117. C# - Task에 전달한 Action, Func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async/await 비동기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38

닷넷: 2138.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421

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4

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5

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8

닷넷: 2335. C# - 간단하게 구현해 보는 IValueTaskSource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950

닷넷: 2336. C# - IValueTaskSource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ValueTask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3952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지난 글을 통해 ASP.NET Core Web 환경에서 async void 메서드를 사용한 것에 대한 부작용을 설명했는데요,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5

이와 유사한 문제를 Blazor에서도 겪게 됩니다. 예를 들어 Blazor 프로젝트 생성 시 기본 작성되는 Counter.razor 파일은,

@page "/counter"
@rendermode InteractiveServer

<PageTitle>Counter</PageTitle>

<h1>Counter</h1>

<p role="status">Current count: @currentCount</p>

<button class="btn btn-primary" @onclick="IncrementCount">Click me</button>

@code {
    private int currentCount = 0;

    private void IncrementCount()
    {
        currentCount++;
    }
}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의 메서드로 정의돼 있는데요, 만약 해당 메서드 내부의 코드에서 await을 사용하고 싶어 무심코 async void로 정의한다면,

@code {
    private int currentCount = 0;

    private async void IncrementCount()
    {
        await Task.Delay(1000);
        currentCount++;
    }
}

Blazor 내부 프레임워크에서는 저 메서드에 대한 호출을 InvokeAsync로 경유합니다.

// src/Components/Components/src/EventCallbackWorkItem.cs
// https://github.com/dotnet/aspnetcore/blob/main/src/Components/Components/src/EventCallbackWorkItem.cs

internal static Task InvokeAsync<T>(MulticastDelegate? @delegate, T arg)
{
    switch (@delegate)
    {
        case null:
            return Task.CompletedTask;

        case Action action:
            action.Invoke(); // async void로 정의한 메서드 호출
            return Task.CompletedTask;

        case Action<T> actionEventArgs:
            actionEventArgs.Invoke(arg);
            return Task.CompletedTask;

        case Func<Task> func: // async Task로 정의한 메서드 호출
            return func.Invoke();

        case Func<T, Task> funcEventArgs:
            return funcEventArgs.Invoke(arg);

        default:
            {
                try
                {
                    return @delegate.DynamicInvoke(arg) as Task ?? Task.CompletedTask;
                }
                catch (TargetInvocationException e)
                {
                    // Since we fell into the DynamicInvoke case, any exception will be wrapped
                    // in a TIE. We can expect this to be thrown synchronously, so it's low overhead
                    // to unwrap it.
                    return Task.FromException(e.InnerException!);
                }
            }
    }
}

지난 글을 이해했다면, IncrementCount가 어떻게 동작하게 될지 예상할 수 있을 텐데요, 즉, "Click me" 버튼을 누르면 첫 번째 클릭에는 화면에 아무런 업데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누르면 이전 첫 번째 버튼 클릭으로 증가했던 "1"이 화면에 보이지만 실제 currentCount의 실제 값은 2가 된 상태로 서버에 저장돼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Blazor에서 저 부작용이 더 위험한 이유가 바로 상태 저장이 된다는 점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칫 개발자가 테스트를 하면서 첫 번째 클릭에 대한 반응이 없는 것을 뭔가 웹 브라우저의 클릭이 단순히 무시된 것으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별다른 자각 없이 저 문제를 안고 릴리스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49정성태10/17/202119455스크립트: 33. JavaScript와 C#의 시간 변환 [1]
12848정성태10/17/202117703스크립트: 32. 파이썬 - sqlite3 기본 예제 코드 [1]
12847정성태10/14/202118947스크립트: 31. 파이썬 gunicorn - WORKER TIMEOUT 오류 발생
12846정성태10/7/202120234스크립트: 30. 파이썬 __debug__ 플래그 변수에 따른 코드 실행 제어
12845정성태10/6/202117570.NET Framework: 1120. C# - BufferBlock<T> 사용 예제 [5]파일 다운로드1
12844정성태10/3/202116323오류 유형: 764. MSI 설치 시 "... is accessible and not read-only." 오류 메시지
12843정성태10/3/202116153스크립트: 29. 파이썬 - fork 시 기존 클라이언트 소켓 및 스레드의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842정성태10/1/202136023오류 유형: 763. 파이썬 오류 - AttributeError: type object '...' has no attribute '...'
12841정성태10/1/202118896스크립트: 28. 모든 파이썬 프로세스에 올라오는 특별한 파일 - sitecustomize.py
12840정성태9/30/202117864.NET Framework: 1119. Entity Framework의 Join 사용 시 다중 칼럼에 대한 OR 조건 쿼리파일 다운로드1
12839정성태9/15/202121387.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파일 다운로드1
12838정성태9/13/202120668.NET Framework: 1117. C# - Task에 전달한 Action, Func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async/await 비동기 처리 [2]파일 다운로드1
12837정성태9/11/202116851VC++: 151. Golang - fmt.Errorf, errors.Is, errors.As 설명
12836정성태9/10/202117228Linux: 45. 리눅스 -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의 출력을 확인하는 방법
12835정성태9/7/202119001.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2]파일 다운로드1
12834정성태9/7/202118708오류 유형: 762. Visual Studio 2019 Build Tools - 'C:\Program'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2833정성태9/6/202114977VC++: 150. Golang - TCP client/server echo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832정성태9/6/202118769VC++: 149. Golang - 인터페이스 포인터가 의미 있을까요?
12831정성태9/6/202114204VC++: 148. Golang - 채널에 따른 다중 작업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830정성태9/6/202120158오류 유형: 761. Internet Explorer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Your current security settings do not allow this file to be downloaded." 오류
12829정성태9/5/202121052.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28정성태9/4/202117235.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827정성태9/4/202118618스크립트: 27. 파이썬 - 웹 페이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scrapy Crawler 사용법 요약
12826정성태9/3/202123051.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825정성태9/3/202117580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12824정성태9/2/202126870오류 유형: 760. 파이썬 tensorflow - Dst tensor is not initialized. 오류 메시지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