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7

.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8

.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

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
; https://www.sysnet.pe.kr/2/0/10797

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097

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 https://www.sysnet.pe.kr/2/0/13842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

예전에 x86에서 TEB(Thread Environment Block) 주소를 구해오는 방법을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었습니다.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그리고 지난번 이야기에서 Visual C++ x64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7

따라서, x64 C#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NtCurrentTeb를 DllImport로 P/Invoke 호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남은 방법은 Thread 타입의 DONT_USE_InternalThread 필드를 이용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다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요? ^^ TEB 주소가 결국 gs:[30h]에 있는 값이라는 사실에서 이야기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문제는 Visual C++에서 사용된 __readgsqword가 DLL에서 export된 함수가 아니라 Visual C++의 intrinsics 함수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코드를 C#에서 P/Invoke로 불러올 수는 없습니다.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unsigned __int64 fsReg = __readgsqword(0x30);
    return 0;
}

하지만, 여러분들 중에 아래의 글을 기억하는 분이라면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

따라서 위의 소스 코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

unsigned __int64 GetTEB()
{
    return __readgsqword(0x30);
}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unsigned __int64 fsReg = GetTEB();
    printf("%I64x\n", fsReg);
    return 0;
}

__readgsqword 코드에 BP(Break Point)를 건 후 Debug 모드로 진입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Go To Disassembly"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의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ntcurrentteb_api_1.png

아하... 답이 나왔군요. ^^

위의 바이트를 그대로 배열에 저장하고,

private readonly static byte[] x64TebBytes =
    {
        0x40, 0x57, // push rdi
        
        0x65, 0x48, 0x8B, 0x04, 0x25, 0x30, 0x00, 0x00, 0x00, // mov rax, qword ptr gs:[30h]

        0x5F, // pop rdi
        0xC3, // ret
    };

이를 delegate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static IntPtr _codePointer;
static GetTebDelegate _getTebDelg;

static Program()
{
    byte[] codeBytes = x64TebBytes;

    if (IntPtr.Size == 4)
    {
        throw new NotSupportedException();
    }

    _codePointer = VirtualAlloc(IntPtr.Zero, new UIntPtr((uint)codeBytes.Length),
        AllocationType.COMMIT | AllocationType.RESERVE,
        MemoryProtection.EXECUTE_READWRITE
    );

    Marshal.Copy(codeBytes, 0, _codePointer, codeBytes.Length);

    _getTebDelg = (GetTebDelegate)Marshal.GetDelegateForFunctionPointer(
        _codePointer, typeof(GetTebDelegate));
}

static long GetTebAddress()
{
    if (_getTebDelg == null)
    {
        throw new ObjectDisposedException("GetTebAddress");
    }

    return _getTebDelg();
}

이제부터는 언제든지 GetTebAddress를 호출해 주면 TEB 주소를 구할 수 있습니다.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GetTebAddress().ToString("x"));
}

이렇게 출력된 값이 정확히 TEB 주소를 가리키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지난번 글에서 설명했으므로 생략합니다. ^^

참고로, x64에서 DONT_USE_InternalThread 필드를 이용하여 Thread 개체로부터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hread currrentThread = Thread.CurrentThread;
FieldInfo fieldInfo = typeof(Thread).GetField("DONT_USE_InternalThread",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ntPtr objValue = (IntPtr)fieldInfo.GetValue(currrentThread);

Console.WriteLine("DONT_USE_InternalThread: " + objValue.ToString("x"));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64(objValue, 16 * 6));
Console.WriteLine("teb: " + teb.ToString("x"));

하는 김에 Native Thread Id도 구해볼까요? 우선 _TEB 구조체로부터 RealClientId 필드의 옵셋을 알아내고 _CLIENT_ID 구조체 값을 확인하면 답이 나옵니다.

0:024> dt _TEB
ntdll!_TEB
    ...[생략]...
   +0x2f0 GdiTebBatch      : _GDI_TEB_BATCH
   +0x7d8 RealClientId     : _CLIENT_ID
   +0x7e8 GdiCachedProcessHandle : Ptr64 Void
   +0x7f0 GdiClientPID     : Uint4B
   +0x7f4 GdiClientTID     : Uint4B
   ...[생략]...

0:024> dt _CLIENT_ID
ntdll!_CLIENT_ID
   +0x000 UniqueProcess    : Ptr64 Void
   +0x008 UniqueThread     : Ptr64 Void

따라서 0x7d8 옵셋을 기준으로 계산해 주면 됩니다.

long clientPid = Marshal.ReadInt64(teb, 0x7d8);
long clientTid = Marshal.ReadInt64(teb, 0x7d8 + 8);

Console.WriteLine("Process Id: " + clientPid.ToString("x"));
Console.WriteLine("Native Thread Id: " + clientTid.ToString("x"));

첨부된 파일은 위에 설명한 전체 C# 코드를 담은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1정성태1/22/201427194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3887.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1988.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327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3897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2858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19823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017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590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0931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121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701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657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467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378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081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010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341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277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755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095.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142.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2143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3698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23938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3]
1576정성태1/11/201441850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