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87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146. PowerShell로 원격 프로세스(EXE, BAT)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0

개발 환경 구성: 738. PowerShell - 원격 호출 시 "powershell.exe"가 아닌 "pwsh.exe" 환경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58

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2

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897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이번에는 Get-VM 명령어로 예를 들어 볼까요? ^^

Get-VM
; https://learn.microsoft.com/en-us/powershell/module/hyper-v/get-vm

문서의 서두에 "Module: Hyper-V"라고 나오는데요, 즉 모듈명이 "Hyper-V"라는 것입니다. PowerShell의 경우 모듈은 PSModulePath에 등록된 경로에 있으므로,

PS C:\Windows\System32> $env:PSModulePath
C:\Users\testusr\Documents\WindowsPowerShell\Modules;...[생략]...

  • %USERPROFILE%\Documents\WindowsPowerShell\Modules;
  • C:\Program Files\WindowsPowerShell\Modules;
  •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Modules\;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QL Server\130\Tools\PowerShell\Modules\;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QL Server\140\Tools\PowerShell\Modules\;
  • C:\Program Files\Microsoft Message Analyzer\PowerShell\

차례대로 저 경로에서 찾아보면 되는데, 제 시스템에서 Hyper-V 모듈은 다음 경로에 있었습니다.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Modules\Hyper-V\2.0.0.0

저 폴더에는 Hyper-V.psd1 파일이 있고,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실제 구현을 담고 있는 DLL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PowerShell 모듈이 이런 식으로 구성돼 있는 것은 아닙니다. ^^)

// Hyper-V.psd1
...[생략]...

# Script module or binary module file associated with this manifest
NestedModules = 'Microsoft.HyperV.PowerShell.Cmdlets.dll'
...[생략]...

그럼, 다시 저 DLL 파일을 아래의 경로에서 찾을 수 있고,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Microsoft.HyperV.PowerShell.Cmdlets\v4.0_10.0.0.0__31bf3856ad364e35

대부분은 닷넷 어셈블리로 구현돼 있을 것이므로 dnSpy 등의 역어셈블 도구를 이용해 실제 구현이 어떻게 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DLL을 역어셈블해 Get-VM 명령어를 보면 구현 자체는 다음과 같이 간단한데요,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Diagnostics.CodeAnalysis;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Management.Automation;
using Microsoft.HyperV.PowerShell.ExtensionMethods;
using Microsoft.Management.Infrastructure;
using Microsoft.Virtualization.Client.Management;

namespace Microsoft.HyperV.PowerShell.Commands
{
    [Cmdlet("Get", "VM", DefaultParameterSetName = "Name")]
    [OutputType(new Type[]
    {
        typeof(VirtualMachine)
    })]
    public sealed class GetVM : VirtualizationCmdlet<VirtualMachine>, IVmByNameCmdlet, IVirtualMachineCmdlet, IServerParameters, IParameterSet
    {
        [SuppressMessage("Microsoft.Performance", "CA1819:PropertiesShouldNotReturnArrays", Justification = "This is by spec.")]
        [ValidateNotNullOrEmpty]
        [Parameter(ParameterSetName = "Name", ValueFromPipeline = true, Position = 0)]
        [Alias(new string[]
        {
            "VMName"
        })]
        public string[] Name { get; set; }

        [SuppressMessage("Microsoft.Performance", "CA1819:PropertiesShouldNotReturnArrays", Justification = "This is by spec.")]
        [Parameter(ParameterSetName = "Name")]
        [Parameter(ParameterSetName = "Id")]
        [ValidateNotNullOrEmpty]
        public override CimSession[] CimSession { get; set; }

        [SuppressMessage("Microsoft.Performance", "CA1819:PropertiesShouldNotReturnArrays", Justification = "This is by spec.")]
        [Parameter(ParameterSetName = "Name")]
        [Parameter(ParameterSetName = "Id")]
        [ValidateNotNullOrEmpty]
        public override string[] ComputerName { get; set; }

        [SuppressMessage("Microsoft.Performance", "CA1819:PropertiesShouldNotReturnArrays", Justification = "This is by spec.")]
        [Parameter(ParameterSetName = "Name")]
        [Parameter(ParameterSetName = "Id")]
        [ValidateNotNullOrEmpty]
        [CredentialArray]
        public override PSCredential[] Credential { get; set; }

        [ValidateNotNull]
        [Parameter(ParameterSetName = "Id", ValueFromPipelineByPropertyName = true, ValueFromPipeline = true, Position = 0)]
        public Guid? Id { get; set; }

        [Parameter(ParameterSetName = "ClusterObject", Mandatory = true, Position = 0, ValueFromPipeline = true)]
        [ValidateNotNullOrEmpty]
        [PSTypeName("Microsoft.FailoverClusters.PowerShell.ClusterObject")]
        public PSObject ClusterObject { get; set; }

        internal override IList<VirtualMachine> EnumerateOperands(IOperationWatcher operationWatcher)
        {
            IList<VirtualMachine> result;
            if (base.CurrentParameterSetIs("Name"))
            {
                result = ParameterResolvers.ResolveVirtualMachines(this, operationWatcher, ErrorDisplayMode.WriteWarning);
            }
            else
            {
                if (!base.CurrentParameterSetIs("Id"))
                {
                    return GetVM.GetVirtualMachinesFromClusterObject(this.ClusterObject, operationWatcher).ToList<VirtualMachine>();
                }
                Guid vmId = this.Id.Value;
                result = ParameterResolvers.GetServers(this, operationWatcher).SelectWithLogging((Server server) => VirtualizationObjectLocator.GetVirtualMachineById(server, vmId), operationWatcher).ToList<VirtualMachine>();
            }
            return result;
        }

        internal override void ProcessOneOperand(VirtualMachine operand, IOperationWatcher operationWatcher)
        {
            operationWatcher.WriteObject(operand);
        }

        private static IEnumerable<VirtualMachine> GetVirtualMachinesFromClusterObject(PSObject clusterObject, IOperationWatcher operationWatcher)
        private static IEnumerable<VirtualMachine> GetVirtualMachinesFromClusterObject(PSObject clusterObject, IOperationWatcher operationWatcher)
        {
            object[] array = clusterObject.BaseObject as object[];
            if (array != null)
            {
                return array.Cast<PSObject>().SelectManyWithLogging((PSObject innerElement) => ClusterUtilities.GetVirtualMachinesFromClusterObject(innerElement, operationWatcher), operationWatcher);
            }
            IEnumerable<VirtualMachine> result;
            try
            {
                result = ClusterUtilities.GetVirtualMachinesFromClusterObject(clusterObject, operationWatcher);
            }
            catch (Exception e)
            {
                ExceptionHelper.DisplayErrorOnException(e, operationWatcher);
                result = Enumerable.Empty<VirtualMachine>();
            }
            return result;
        }
    }
}

느낌이 오시겠지만, 저걸 C# 프로젝트에서 직접 참조해 호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PowerShell 자체의 런타임 구성을 위한 여러 가지 부수적인 요소(호출 측 Credential 처리와 원격 호출, 명령 수행의 파이프라인 처리) 등이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냥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어셈블리를 이용해 PowerShell 명령어를 호출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고 안전합니다. ^^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2


using System.Management.Automation;

// Install-Package System.Management.Automation
// Install-Package Microsoft.PowerShell.SDK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werShell _ps = PowerShell.Create();

        _ps.AddCommand("Get-VM", false);
        _ps.AddParameter("Name", new string[] { "win11en" });

        System.Collections.ObjectModel.Collection<PSObject> output = _ps.Invoke();

        foreach (var item in output)
        {
            dynamic vmObj = item;
            Console.WriteLine($"{vmObj.Name}: {vmObj.CPUUsage}%");
        }
    }
}

(지난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dynamic vmObj = item;"의 dynamic 대신 형식 안정성을 위해 Microsoft.HyperV.PowerShell.VirtualMachine 타입을 직접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직접 참조/실행해 보면서 의존성 목록을 파악할 수 있는데, 제가 해 본 결과 Get-VM의 경우에는 어셈블리를 2개 참조해야 합니다.

// 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dll
//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v4.0_10.0.0.0__31bf3856ad364e35\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dll

// Microsoft.Virtualization.Client.Management.dll
//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Microsoft.Virtualization.Client.Management\v4.0_10.0.0.0__31bf3856ad364e35\Microsoft.Virtualization.Client.Management.dll

그럼,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foreach (var item in output)
{
    if (item.BaseObject is Microsoft.HyperV.PowerShell.VirtualMachine vm)
    {
        Console.WriteLine($"{vm.Name}: {vm.CPUUsage}%");
    }                    
}

그런데, 이런 식으로 Microsoft.HyperV.PowerShell.VirtualMachine 타입을 사용하기 위해 "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dll"을 참조하는 것은 약간의 위험이 따릅니다. 가령, Windows 11 23H2에서 저 DLL의 버전은 10.0.22621.1인데요, 이것을 참조해 빌드한 후 산출된 어셈블리 디렉터리를 Windows 11 24H2에 복사해 실행하면 Invoke 코드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ystem.Collections.ObjectModel.Collection<PSObject> output = _ps.Invoke();
/* 예외 발생
System.Management.Automation.CommandNotFoundException: 'The 'Get-VM' command was found in the module 'Hyper-V', but the module could not be loaded due to the following error: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HyperV.PowerShell.MemoryBackingType' from assembly '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 Version=10.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For more information, run 'Import-Module Hyper-V'.'
*/

왜냐하면, Invoke 호출로 인해 Microsoft.PowerShell.SDK / System.Management.Automation은 GAC에 등록된 (24H2 윈도우 11에 설치된 10.0.26100.2033 버전의) Microsoft.HyperV.PowerShell.Cmdlets.dll을 로드하게 되고, 이 DLL은 동일하게 24H2에 설치된 10.0.26100.2033 버전의 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dll을 참조해 거기에만 있는 Microsoft.HyperV.PowerShell.MemoryBackingType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23H2 환경에서 빌드했을 때 output 디렉터리에 위치하는 Microsoft.HyperV.PowerShell.Objects.dll은 10.0.22621.1 버전의 것이므로 Invoke 호출은 그 DLL을 선제적으로 로딩하게 되고, 결국 MemoryBackingType을 찾을 수 없어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DLL들은 실행 모듈과 같은 디렉터리에 복사하는 식으로 빌드해서는 안 되고 PowerShell.Invoke 호출의 내부 구현에 따라 자연스럽게 GAC로부터 로드되도록 맡겨야 합니다. 즉, Microsoft.HyperV.PowerShell.VirtualMachine 타입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에 해당 타입에 대한 문서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가... 싶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5정성태2/9/20211723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17739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6764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7953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6733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0550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8420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17994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18067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4860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3847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5077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5970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8180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7299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6031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4751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2849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0563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7045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693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8826.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6008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6369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6076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16946.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