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1

스크립트: 73.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버전에서 tkinter 환경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922

개발 환경 구성: 744.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환경에서 외부 패키지 사용하는 방법(ex: UFO² 환경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930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환경에서 외부 패키지 사용하는 방법(ex: UFO² 환경 구성)

개인적으로 설치 버전보다 압축을 풀어 사용하는 Windows embeddable package를 선호합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1

그런데, 좀 숨겨 놓은 기능들이 많군요. ^^; 파이썬 초짜인 티가 이런 데서 나오는 것 같은데, ^^ 어떤 시행착오를 거쳤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embeddable package의 zip 파일을 다음의 경로에 압축을 푼 다음,

C:\python310

지난 글에서 다룬 UFO² 프로젝트를 clone 및 requirements.txt 구성과 yaml 설정을 다음의 디렉터리에 완료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D:\temp\UFO

이 상태에서 ufo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작업을 실행해 보면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C:\python310\python.exe: No module named ufo

이에 대한 문제는 이미 지난 글에 설명했듯이, 현재 UFO 패키지가 설치된 디렉터리를 _pth 파일에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D:\temp\UFO> type C:\python310\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D:\temp\UFO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 import site

그런데, 여전히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는데요,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runpy.py", line 196, in _run_module_as_main
  File "runpy.py", line 86, in _run_code
  File "D:\temp\UFO\ufo\__main__.py", line 3, in <module>
    from ufo import ufo
  File "D:\temp\UFO\ufo\ufo.py", line 8, in <module>
    from ufo.module.client import UFOClientManager
  File "D:\temp\UFO\ufo\module\client.py", line 7, in <module>
    from ufo.module.basic import BaseSession
  File "D:\temp\UFO\ufo\module\basic.py", line 24, in <module>
    from pywinauto.controls.uiawrapper import UIAWrapper
  File "C:\python310\Lib\site-packages\pywinauto\__init__.py", line 59, in <module>
    import win32api  # noqa: E402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win32api'

단지 이번엔 오류가 바뀌긴 했지만, 상황 자체는 더욱더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를 잘 보면, _pth 파일의 변경으로 인해 일단 UFO 프로젝트를 clone한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__main__.py까지는 진입도 잘 했고, 다시 "Windows embeddable package"를 기준으로 .\Lib\site-packages 디렉터리 내에 있는 pywinauto까지 로드가 잘 됐습니다.

그런데, pywinauto에서 참조한 또 다른 .\Lib\site-packages 하위에 있는 win32api 모듈은 로드하지 못한 것입니다.




바로 여기서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사실 win32api 모듈은 .\Lib\site-packages 하위에 있는 win32 디렉터리 내에 있는 pyd 파일입니다.

"C:\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그래서 원래 설치 파일 기준의 파이썬 환경에서는 이게 import가 잘됩니다.

// 설치 파일의 파이썬 환경인 경우

D:\temp\UFO> python
Python 3.10.10 (tags/v3.10.10:aad5f6a, Feb  7 2023, 17:20:36)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import win32api
>>> print(win32api.__file__)
%USERPROFILE%\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

반면 embeddable package로 설치한 파이썬에서는 win32api에 대한 import가 안 됩니다.

// embeddable package의 파이썬 환경인 경우,

C:\python310> python
Python 3.10.0 (tags/v3.10.0:b494f59, Oct  4 2021, 19:00:18)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 import win32api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win32api'

// 대신 win32 모듈까지는 import가 됩니다.

>>> import win32
None
>>> 

참 희한하죠? ^^; 이에 대한 해결은, 의외로 이전에 설명했던 site 패키지에 있었습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REPL 환경에서 "NameError: name 'exit' is not defined"
; https://www.sysnet.pe.kr/2/0/13929

그러니까, "Windows embeddable package"인 경우에도 site.main 함수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win32api 모듈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 import site
>>> site.main()
>>> import win32api
>>> print(win32api.__file__)
C:\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

물론, 저렇게는 번거로우니까 _pth 파일의 "import site" 주석을 해제하는 걸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D:\temp\UFO> type C:\python310\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D:\temp\UFO

이후로는 본문에서 예로 든 ufo 패키지가 아주 잘 실행됩니다. ^^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Welcome to use UFO🛸, A UI-focused Agent for Windows OS Interaction.
 _   _  _____   ___
| | | ||  ___| / _ \
| | | || |_   | | | |
| |_| ||  _|  | |_| |
 \___/ |_|     \___/


Please enter your request to be completed🛸:




참고로, _pth 파일의 본연의 임무는 모듈 검색 경로를 설정하는 것인데요, 코드의 경우 예외적으로 "import site"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른 모듈을 자동으로 import하기 위해 추가하면, (예를 들어 "import sys") python 실행 시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C:\python310> python
Fatal Python error: read_pth_file: only 'import site' is supported in ._pth file
Python runtime state: core initialized

Current thread 0x0000e2f4 (most recent call first):
  <no Python frame>

마지막으로, 이렇게 뭔가 숨겨진 게 많은 듯한 _pth 파일과의 연동이 귀찮다면 그냥 삭제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그런 경우, "embeddable package"는 설치 버전의 파이썬과 동일하게 실행됩니다. 즉, 본문에서 예로 든 ufo 패키지를 아무런 추가 설정 없이도 잘 실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23정성태10/4/201818516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3241.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3687.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5073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5746.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20826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3110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4010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2233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2029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3497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8958.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4256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3496.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2104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4814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6153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1434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2144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6856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20656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8286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4128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2869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1213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2546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