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파이썬 - Linux 환경 + TCP 서버 소켓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종료 후 재실행하는 경우 "OS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오류 발생

간단한 예제를 하나 만들어 볼까요?

import socketserver

server = None


class MyTCPHandler(socketserver.BaseRequestHandler):

    def handle(self):
        pieces = [b'']
        total = 0
        while b'\n' not in pieces[-1] and total < 10_000:
            pieces.append(self.request.recv(2000))
            total += len(pieces[-1])
        self.data = b''.join(pieces)
        print(f"Received from {self.client_address[0]}:")
        # just send back the same data, but upper-cased
        self.request.sendall(bytes("HTTP/1.1 200 OK\r\n\r\n", "utf-8"))
        self.request.sendall(self.data.upper())


def start_app():
    print('my app started')

    global server
    server = socketserver.ThreadingTCPServer(("127.0.0.1", 8080), MyTCPHandler)
    try:
        server.serve_forever()
    except:
        print('server closing...')
        server.server_close()
        print('server closed')


if __name__ == '__main__':
    start_app()

실행 후, (웹 브라우저 등을 이용해) HTTP 요청을 보내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Ctrl+C로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혹은 kill -9 [pid] 명령어로 종료하거나!)

// 만약 한 번이라도 요청을 보내지 않으면 아래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python main.py
my app started
Received from 127.0.0.1:
^Cserver closing...
server closed

이후, 곧바로 위의 예제를 다시 실행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 python main.py
my app starte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ain.py", line 63, in <module>
    start_app()
  File "main.py", line 55, in start_app
    server = socketserver.ThreadingTCPServer(("127.0.0.1", 8080), MyTCPHandler)
  File "/home/testusr/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socketserver.py", line 452, in __init__
    self.server_bind()
  File "/home/testusr/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socketserver.py", line 466, in server_bind
    self.socket.bind(self.server_address)
OS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문서를 보니까, shutdown 함수가 있는데,

socketserver — A framework for network servers
; https://docs.python.org/3/library/socketserver.html#socketserver.BaseServer.shutdown

혹시 이걸 부르면 어떨까 싶어 테스트했지만,

def start_app():
    print('my app started')

    global server
    server = socketserver.ThreadingTCPServer(("127.0.0.1", 8080), MyTCPHandler)
    try:
        server.serve_forever()
    except:
        server.shutdown()

마찬가지입니다. ^^; 이때 netstat로 확인을 해보면 서버 소켓은 없지만 accept로 받았던 클라이언트 소켓이 TIME_WAIT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net-tools -y

$ netstat -ano | grep 8080
tcp        0      0 127.0.0.1:8080          127.0.0.1:54042         TIME_WAIT   timewait (57.05/0/0)

보통 TIME_WAIT 이후 2MSL(Maximum Segment Lifetime) 시간이 지나야 완전하게 소켓이 정리되는데요, (제가 테스트 중인) 리눅스 환경의 경우 60초로 설정돼 있습니다.

$ cat /proc/sys/net/ipv4/tcp_fin_timeout
60

혹은 netstat 명령어의 출력에 보면 "timewait (57.05/0/0)"라고 나오는데, 바로 저 "57.05"가 TIME_WAIT이 정리될 때까지의 남은 시간(초)을 의미하므로 그걸로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이런 경우 전역 설정을 바꾸는 것은 조금 부담스러운데요,

python TCPServer address already in use but I close the server and I use `allow_reuse_addres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5260558/python-tcpserver-address-already-in-use-but-i-close-the-server-and-i-use-allow

그렇군요, 리눅스도 socket reuse 옵션을 통해 곧바로 재사용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import socketserver

socketserver.TCPServer.allow_reuse_address = True

# ...[생략]...

if __name__ == '__main__':
    start_app()

이후, 종료/재실행을 해보면 정상적으로 서버 소켓이 바인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점이 하나 있는데요, 저 현상이 C#으로는 재현이 안 된다는 점입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이 작성한 후,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Socket server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
            IPEndPoint endPoint = new IPEndPoint(IPAddress.Loopback, 8080);
            serverSocket.Bind(endPoint);

            serverSocket.Listen(10);

            Console.WriteLine("Server listening on port 8080...");

            while (true)
            {
                using (Socket clnt = serverSocket.Accept())
                {
                    Console.WriteLine("Client connected.");
                    clnt.Receive(new byte[4096]);

                    clnt.Send(System.Text.Encoding.UTF8.GetBytes("HTTP/1.1 200 OK\r\n\r\nTEST IS GOOD"));
                }
            }
        }
    }
}

파이썬과 동일하게 테스트를 해보면 분명히 TIME_WAIT 상태의 클라이언트가 남아 있지만,

$ netstat -ano | grep 8080
tcp        0      0 127.0.0.1:8080          127.0.0.1:35742         TIME_WAIT   timewait (45.52/0/0)

재실행하면 serverSocket.Bind 코드가 잘 실행됩니다. (즉, 파이썬과는 달리 "Address already in use"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이 있는데요, 저렇게 C#으로 작성한 서버 소켓을 실행/Accept/종료한 다음 이어서 파이썬을 실행시키면 "Address already in use" 오류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 정상 동작
C# Server 바인딩/Accept/종료 => C# Server 바인딩

// 오류 발생 (OS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C# Server 바인딩/Accept/종료 => 파이썬 Server 바인딩 (allow_reuse_address = False)

반대의 경우에도 (allow_reuse_address = False가 적용된) 파이썬 소켓의 영향으로 C# 서버 소켓이 바인딩되지 않는데요,

// 오류 발생 (OS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파이썬 Server 바인딩/Accept/종료 => 파이썬 Server 바인딩

// 오류 발생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98): Address already in use)
파이썬 Server 바인딩/Accept/종료 => C# Server 바인딩

도대체 파이썬의 serversocket은 어떤 동작을 추가로 하는 걸까요? ^^;




참고로, C#의 경우 ReuseAddress 옵션은 기본값이 false로 나옵니다.

using (Socket server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
    object? objValue = serverSocket.G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ReuseAddress);
    Console.WriteLine($"ReuseAddress: {objValue}"); // ReuseAddress: 0

    IPEndPoint endPoint = new IPEndPoint(IPAddress.Loopback, 8080);
    serverSocket.Bind(endPoint);

    // ...[생략]...

    while (true)
    {
        using (Socket clnt = serverSocket.Accept())
        {
            objValue = clnt.G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ReuseAddress);
            Console.WriteLine($"ReuseAddress: {objValue}"); // ReuseAddress: 0

            // ...[생략]...
        }
    }
}

다시 말해 파이썬의 경우에는 저 값을 true로 설정하지 않으면 서버 소켓을 재사용할 수 없었지만, C#은 기본값이 false여도 서버 소켓을 재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파이썬 다음에 실행하면 C# 서버 소켓도 바인딩할 수 없었지만.)

혹시, 저런 현상이 왜 파이썬에서 나타나는지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12정성태12/17/200633121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22202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3297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5657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2848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27807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403정성태12/6/200634971Windows: 5. Vista 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5]
402정성태12/11/200626062Windows: 4. Vista 설치 후기 [1]
409정성태12/11/200630047    답변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3]
396정성태2/13/200732578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22170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21499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5372.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7263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6965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6795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9162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30123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7667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6005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8207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3569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9640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2834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9078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4442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