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36. C# - IValueTaskSource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ValueTask 호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73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351

.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
; https://www.sysnet.pe.kr/2/0/11414

.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5

.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7

.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6

.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84

.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1850

.NET Framework: 1117. C# - Task에 전달한 Action, Func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async/await 비동기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38

닷넷: 2138.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421

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4

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5

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8

닷넷: 2335. C# - 간단하게 구현해 보는 IValueTaskSource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950

닷넷: 2336. C# - IValueTaskSource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ValueTask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3952




C# - IValueTaskSource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ValueTask 호출

지난 글에서,

C# - 간단하게 구현해 보는 IValueTaskSource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950

IValueTaskSource의 간단한 구현체를 다뤄봤는데요, 그렇다면 이제 "ValueTask를 multiple await 하지 말라는데"에 대한 답변을 해보겠습니다. ^^

이를 위해 지난번의 예제 코드를 약간 수정할 텐데요, 다름 아닌 반환값을 갖는 유형으로 바꿔보겠습니다.

public class DelayTaskSource : IValueTaskSource<int>
{
    System.Threading.Timer? _timer;
    Action? _action;
    ObjectPool<DelayTaskSource>? _pool;
    int _milliSeconds;

    public DelayTaskSource()
    {
        Program.Log($"DelayTaskSource created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

    public DelayTaskSource(int milliSeconds)
    {
        _milliSeconds = milliSeconds;
        _timer = new Timer(ExpiredCallback, null, milliSeconds, 0);
    }

    public void Delay(int milliSeconds, ObjectPool<DelayTaskSource> pool)
    {
        _milliSeconds = milliSeconds;

        _timer?.Dispose();

        _pool = pool;
        _timer = new System.Threading.Timer(ExpiredCallback, null, milliSeconds, 0);
    }

    public int GetResult(short token)
    {
        Program.Log($"GetResult called: {_milliSeconds}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return _milliSeconds;
    }

    public ValueTaskSourceStatus GetStatus(short token)
    {
        return (_timer == null) ? ValueTaskSourceStatus.Succeeded : ValueTaskSourceStatus.Pending;
    }

    public void OnCompleted(Action<object?> continuation, object? state, short token, ValueTaskSourceOnCompletedFlags flags)
    {
        if (_timer == null)
        {
            continuation?.Invoke(state);
            _pool?.Return(this);
            Program.Log($"DelayTaskSource Return at OnCompleted: {_milliSeconds}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return;
        }

        _action = () => { continuation(state); };
    }

    private void ExpiredCallback(object? _)
    {
        if (_timer != null)
        {
            _timer.Dispose();
            _timer = null;
        }

        if (_action != null)
        {
            _action.Invoke();
            _action = null;
        }

        _pool?.Return(this);
        Program.Log($"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_milliSeconds}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
}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Sleep 시간을 반환하는 기능만 추가한 것이라 이해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자, 그럼 위의 코드를 반영한 ThreadSleep 메서드를 호출해 중간중간 넣어두었던 로그 출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_)
{
    int sleptTime = await ThreadSleep(500);
    Log($"ThreadSleep: {sleptTime}");
}

// Install-Packag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
readonly static ObjectPool<DelayTaskSource> _pool = new DefaultObjectPool<DelayTaskSource>(new DefaultPooledObjectPolicy<DelayTaskSource>(), 10);

private static ValueTask<int> ThreadSleep(int sleep)
{
    if (sleep == 0)
    {
        return new ValueTask<int>(0);
    }

    DelayTaskSource delayTask = _pool.Get();
    delayTask.Delay(sleep, _pool);
    return new ValueTask<int>(delayTask, 0);
}

/* 출력 결과:
[오후 10:59:22, 1] DelayTaskSource created
[오후 10:59:22, 6] GetResult called: 500
[오후 10:59:22, 6] ThreadSleep: 500
[오후 10:59:22, 6]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500
*/

위의 출력에서 의미 있는 것은 IValueTaskSource의 GetResult 메서드가 호출된 시점인데요, Pool에 반환되기 전 GetResult가 호출돼 결과를 반환했기 때문에 안전한 문맥 내에서 반환값이 처리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이제야 "Understanding the Whys, Whats, and Whens of ValueTask" 글에서 언급한 경고 사례를 살펴볼 수 있게 됐는데요,

// GOOD
int result = await SomeValueTaskReturningMethodAsync();

// WARNING
ValueTask<int> vt = SomeValueTaskReturningMethodAsync();
... // storing the instance into a local makes it much more likely it'll be misused,
    // but it could still be ok

첫 번째 "GOOD" 코드는 위에서 우리가 테스트했던 경우인 반면, 두 번째 "WARNING" 코드는 우리가 만든 코드에서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 WARNING
ValueTask<int> sleepTask = ThreadSleep(900);
int result = await sleepTask;
Log($"Sleep 900: {result}");

/* 출력 결과:
[오후 11:26:20, 1] DelayTaskSource created (54267293)
[오후 11:26:21, 6] GetResult called: 900 (54267293)
[오후 11:26:21, 6] Sleep 900 == 900
[오후 11:26:21, 6]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900 (54267293)
*/

보는 바와 같이, 900ms를 대기했고 반환값이 900으로 잘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게 왜 WARNING일까요? 그 이유는 await을 메서드 호출에 붙이지 않고 떼어냈기 때문입니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자칫 await을 한 시점이 너무 늦어 풀에 반환된 다음 호출될 가능성이 있는데요, 이것을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 WARNING
ValueTask<int> sleepTask = ThreadSleep(900);

Thread.Sleep(2000); // Simulate some work

int result = await sleepTask;
Log($"Sleep 900 == {result}");

/* 출력 결과:
[오전 10:39:02, 1] DelayTaskSource created (54267293)
[오전 10:39:03, 6]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900 (54267293)
[오전 10:39:04, 1] GetResult called: 900 (54267293)
[오전 10:39:04, 1] Sleep 900 == 900
*/

보는 바와 같이, DelayTaskSource가 이미 풀에 반환된 후 GetResult가 호출됐는데요, 만약 저 개체가 다른 곳에서 재사용됐다면 결과는 잘못된 값이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을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 INVALID
ValueTask<int> sleepTask = ThreadSleep(900);

ThreadPool.QueueUserWorkItem(async (arg) =>
{
    Thread.Sleep(2000); // 이전의 sleepTask가 풀에 반환될 시간을 주기 위해.
    var result = await ThreadSleep(1000); // 여기서, sleepTask에 사용된 개체가 재사용
    Log($"Sleep 1000: {result}");
});

Thread.Sleep(5000); // sleepTask가 재사용되도록 충분한 시간 대기

int slept = await sleepTask; // 여기서, 재사용된 개체의 GetResult가 호출되므로 문제 발생
Log($"Sleep 900 == {slept}");

/* 출력 결과:
[오전 10:40:21, 1] DelayTaskSource created (54267293)
[오전 10:40:22, 7]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900 (54267293)
[오전 10:40:24, 6] GetResult called: 1000 (54267293)
[오전 10:40:24, 6] Sleep 1000: 1000
[오전 10:40:24, 6]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1000 (54267293)
[오전 10:40:26, 1] GetResult called: 1000 (54267293)
[오전 10:40:26, 1] Sleep 900 == 1000
*/

보는 바와 같이, 이전에는 900이 나왔던 반환값이, 중간에 개체가 재사용되면서 1000이 나왔습니다.




사실 위의 문제로 인해 "ValueTask를 multiple await 하지 말라는데"의 제약은 이미 더 설명할 필요를 없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다중 await을 하려면 해당 메서드에 직접적인 await을 사용하지 않고 ValueTask로 받아야 하므로,

// BAD: awaits multiple times
ValueTask<int> vt = SomeValueTaskReturningMethodAsync();

// 이미 이렇게 분리한 것 자체가 위에서 설명한 문제를 유발하므로!
int result = await vt;

// (다중 await의 문제가 있든 없든)
int result2 = await vt;

multiple await을 해야 하는 상황 자체가 이미 WARNING 단계에 속합니다. 참고로, 굳이 저 2개의 await에 문제가 있는 테스트를 구성하고 싶다면 대충 이런 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_)
{
    ValueTask<int> firstSleep = ThreadSleep(200);
    int slept = await firstSleep; // 첫 번째 호출의 반환값은 200이지만,
    Log($"Sleep 200 == {slept}");

    ThreadPool.QueueUserWorkItem(async (arg) =>
    {
        Thread.Sleep(2000); // 이전 firstSleep이 풀에 반환될 시간을 주기 위해.
        var result = await ThreadSleep(1000); // 여기서, fisrtSleep에 사용된 개체가 재사용
        Log($"Sleep 1000 == {result}");
    });

    await Task.Delay(5000); // firstSleep의 continuation 실행이 다시 한번 ThreadPool의 영향을 받도록.

    slept = await firstSleep; // 여기서, 재사용된 개체의 GetResult가 호출되므로 문제 발생
    Log($"Sleep 200 == {slept}"); // 두 번째 호출의 반환값은 1000
}

/* 출력 결과
[오전 10:36:00, 1] DelayTaskSource created (54267293)
[오전 10:36:00, 6] GetResult called: 200 (54267293)
[오전 10:36:00, 6] Sleep 200 == 200
[오전 10:36:00, 6]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200 (54267293)
[오전 10:36:03, 7] GetResult called: 1000 (54267293)
[오전 10:36:03, 7] Sleep 1000 == 1000
[오전 10:36:03, 7] 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1000 (54267293)
[오전 10:36:05, 7] GetResult called: 1000 (54267293)
[오전 10:36:05, 7] Sleep 200 == 1000
*/

한 가지 재미있는 건, 실제 글에서 예를 든 await 연속 호출의 경우에는,

// BAD: awaits multiple times
ValueTask<int> vt = SomeValueTaskReturningMethodAsync();
int result = await vt;
int result2 = await vt;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찾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첫 번째 await로 인해 호출되는 continuation 호출과 Pool의 반환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뤄지는데요,

public void OnCompleted(Action<object?> continuation, object? state, short token, ValueTaskSourceOnCompletedFlags flags)
{
    if (_timer == null)
    {
        continuation?.Invoke(state);
        _pool?.Return(this);
        Program.Log($"DelayTaskSource Return at OnCompleted: {_milliSeconds}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return;
    }

    _action = () => { continuation(state); };
}

private void ExpiredCallback(object? _)
{
    if (_timer != null)
    {
        _timer.Dispose();
        _timer = null;
    }

    if (_action != null)
    {
        _action.Invoke();
        _action = null;
    }

    _pool?.Return(this);
    Program.Log($"DelayTaskSource Return at ExpiredCallback: {_milliSeconds} ({RuntimeHelpers.GetHashCode(this)})");
}

즉, await 이후 분리되는 코드의 continuation이 호출되고 나서야 Pool에 반환되므로, 두 번째 await의 호출이 첫 번째 await의 continuation에 중첩돼 실행되므로 Pool 반환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실제로 위의 문제라고 제시했던 코드도 중간에 await을 제거하면 재현이 안됩니다.

ValueTask<int> firstSleep = ThreadSleep(200);
int slept = await firstSleep;

// ...[생략]...

await Task.Delay(5000); // 이 코드로 인해 스레드가 달라지므로!
                        // 만약 Thread.Sleep(5000)으로 바꾸면 정상 동작

slept = await firstSleep;
Log($"Sleep 200 == {slept}");

그러니까 엄밀히 말해서 await이 2번 연속되는 상황에서 첫 번째 await 이후 곧바로 Pool에 반환되는 식은 (버그가 있는 IValueTaskSource 구현체가 아닌 이상) 코드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혹은 정상 구현인 경우에도 그럴 수 있는 시나리오가 있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정리하면, IValueTaskSource의 등장으로 인해 ValueTask를 반환하는 비동기 메서드를 사용 시 가능한 await을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는 점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41정성태8/26/201423754.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5434.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9012.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4984.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21918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8332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21018.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22532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8775.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7253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9697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4858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1729정성태8/11/201420725오류 유형: 236. SqlConnection - The requested Performance Counter is not a custom counter, it has to be initialized as ReadOnly.
1728정성태8/8/201433440.NET Framework: 453. C# - 오피스 파워포인트(Powerpoint) 파일을 WinForm에서 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27정성태8/6/201423307오류 유형: 235. SignalR 오류 메시지 - Counter 'Messages Bus Messages Published Total' does not exist in the specified Category. [2]
1726정성태8/6/201421869오류 유형: 234. IIS Express에서 COM+ 사용 시 SecurityException -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발생
1725정성태8/6/201423946오류 유형: 233. Visual Studio 2013 Update3 적용 후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Runtime 모듈에 대한 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724정성태8/5/201428796.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723정성태7/29/201461446개발 환경 구성: 233. DirectX 9 예제 프로젝트 빌드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22정성태7/25/201423406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1721정성태7/24/201427111.NET Framework: 451. 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 - 리스트 해석(List Comprehension)과 순수 함수 [2]
1720정성태7/23/201424658개발 환경 구성: 232. C:\WINDOWS\system32\LogFiles\HTTPERR 폴더에 로그 파일을 남기지 않는 설정
1719정성태7/22/201428737Math: 13.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718정성태7/19/201438260Math: 12.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4]
1716정성태7/17/201438139개발 환경 구성: 231. PC 용 무료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enymotion
1715정성태7/13/201432602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