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66.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9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설치해 둔 Ubuntu 24.04 LTS에서 외부 접속이 안 됩니다. ^^;

$ ping www.naver.com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또 DNS 서버 설정이 풀렸나 싶었더니... 그건 또 아닙니다.

$ resolvectl status
Global
         Protocols: -LLMNR -mDNS -DNSOverTLS DNSSEC=no/unsupported
  resolv.conf mode: stub
Current DNS Server: 8.8.8.8
       DNS Servers: 8.8.8.8

...[생략]...

그러니까, IP를 직접 찍어도 연결이 안 됩니다.

$ ping 23.212.12.248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보니까, 라우팅 테이블이 꽤나 한산합니다. ^^;

$ ip route
192.168.100.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0.50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92.168.10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0

보통은 아래에서처럼 "default via ..." 같은 게 있어야 하는데,

// 정상적인 경우였다면,

$ ip route
default via 192.168.100.1 dev eth1 proto static metric 100 
192.168.100.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0.25 metric 100 
...[생략]...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0.0.0.0         192.168.100.1   0.0.0.0         UG        0 0          0 eth1
...[생략]...

그게 없는 것입니다. 즉, 오로지 192.168.100.x 대역의 IP에 대해서만 eth0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default gateway 설정만 추가하면,

$ sudo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100.1 dev eth0

// (2025-07-08 업데이트) 위의 명령어로 인한 변화는 재부팅 후 사라집니다.
// How to add persistent IP routes in Ubuntu 20.04 server
// ; https://askubuntu.com/questions/1345376/how-to-add-persistent-ip-routes-in-ubuntu-20-04-server 
// 1. edit config file in /etc/netplan
//    routes:
//    - to: default
//      via: 192.168.100.1
// 2. sudo netplan generate
// 3. sudo netplan apply

이후 정상적으로 ping이 됩니다.

$ ping www.microsoft.com
PING e13678.dscb.akamaiedge.net (23.40.45.184)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a23-40-45-184.deploy.static.akamaitechnologies.com (23.40.45.184): icmp_seq=1 ttl=54 time=3.29 ms
64 bytes from a23-40-45-184.deploy.static.akamaitechnologies.com (23.40.45.184): icmp_seq=2 ttl=54 time=3.08 ms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92정성태1/17/202118818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9796.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8528.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22145.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9817.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8192.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21798.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20378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3559.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9253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21081.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20895.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3585.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21077.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4890.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5664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20255.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5829.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21775.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21126.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20809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21859.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21439.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5551.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23034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23018.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