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67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지난번에 x86에서 이 상황을 테스트 한 결과를 설명했는데요.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https://www.sysnet.pe.kr/2/0/1394

재미있게도, x64 프로세스에서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우선, AspCompat=true와 Page_Load에서 x64 STA COM 개체를 생성한 경우를 한번 볼까요?

// ==== default.aspx ====
<%@ Page AspCompat="true" Title="Home Page" Language="C#" MasterPageFile="~/Site.master" AutoEventWireup="true"
    CodeBehind="Default.aspx.cs" Inherits="WebApplication1._Default" %>

	... [HTML 생략]...

// ==== default.aspx.cs ====
using System;
using System.Web;
using System.Web.UI;
using System.Web.UI.WebControls;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 = new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DoMethod();
        }
    }
}

default.aspx.cs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시키고,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int tid;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 = new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int aptKind = catc.DoMethod3(5, out tid);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Format("ctor Thread: {0}<br />", _pageTid);
    sb.AppendFormat("ctor Apt: {0}<br />", GetCurrentApt());
    sb.AppendFormat("Page_Load Thread: {0}<br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sb.AppendFormat("Page_Load Thread Apt: {0}<br />", GetCurrentApt());
    sb.AppendFormat("Com Thread: {0}<br />", tid);
    sb.AppendFormat("Com Apt: {0}<br />", aptKind);

    Label1.Text = sb.ToString();
}

public int GetCurrentApt()
{
    FieldInfo fieldInfo = typeof(Thread).GetField("DONT_USE_InternalThread",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ntPtr objValue = (IntPtr)fieldInfo.GetValue(Thread.CurrentThread);

    if (IntPtr.Size == 4)
    {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32(objValue, 16 * 4));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teb.ToInt64() + 0xf80);
        long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64(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if (ReservedForOle == 0)
        {
            return -1;
        }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50);
        long NativeApt = Marshal.ReadInt64(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0c);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return AptKind;
    }
    else
    {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64(objValue, 16 * 6));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teb.ToInt64() + 0x1758);
        long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64(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if (ReservedForOle == 0)
        {
            return -1;
        }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80);
        long NativeApt = Marshal.ReadInt64(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10);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return AptKind;
    }
}

COM 개체에서 제공되는 DoMethod3 메서드에도 x64에 대한 고려를 추가합니다.

STDMETHODIMP CComAptTest::DoMethod3(LONG sleepSecond,LONG *tid, LONG *aptKind)
{
    ::Sleep(sleepSecond * 1000);

    *tid = ::GetCurrentThreadId();

    do 
    {
#if defined(_AMD64_)
        BYTE *pTeb = (BYTE *)NtCurrentTeb();
        __int64 *pOle = (__int64 *)(pTeb + 0x1758);

        if (*pOle == 0)
        {
            printf("No apartment\n");
            break;
        }

        __int64 *pNativeApt = (__int64 *)(*pOle + 0x80);
        *aptKind = *(int *)(*pNativeApt + 0x10);

#elif defined(_X86_)
        BYTE *pTeb = (BYTE *)NtCurrentTeb();
        int *pOle = (int *)(pTeb + 0xf80);

        if (*pOle == 0)
        {
            printf("No apartment\n");
            break;
        }

        int *pNativeApt = (int *)(*pOle + 0x50);
        *aptKind = *(int *)(*pNativeApt + 0x0c);

#endif
    } while (false);

    return S_OK;
}

자... 이렇게 하고 2개의 요청을 동시에 보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tor Thread: 34124
ctor Apt: 4
Page_Load Thread: 7836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ctor Thread: 27452
ctor Apt: 4
Page_Load Thread: 7836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오... 뭔가 바뀌지 않았나요? ctor Apt == 4 == STA인데요. 처음 요청을 34124, 27452 스레드로 받고 있는데 이것들이 모두 STA 스레드로 초기화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STA COM 개체를 가진 웹 페이지를 처리할 수 있는 전용 STA 스레드 풀을 가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STA로 초기화된 스레드 풀이긴 하지만 COM 개체가 멀티스레드 용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전용 7836 STA 스레드에 COM 메서드 호출을 직렬화하고 있습니다.

x64부터는, AspCompat=True로 지정한 웹 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웹 페이지들에 대해 각각 별도의 스레드 풀을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AspCompat=True 값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0x80004002 예외가 발생하므로 생략합니다.




AspCompat=True인 경우, STA COM 개체를 Page_Load가 아닌 생성자나 멤버 변수 정의 시에는 어떨까요? 다음은 그 결과입니다.

ctor Thread: 29200
ctor Apt: 4
Page_Load Thread: 13888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ctor Thread: 35820
ctor Apt: 4
Page_Load Thread: 13888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이것 역시 x86과 유사한 결과를 가지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맨 처음 요청을 처리하는 ctor 스레드가 STA로 초기화된 스레드 풀의 스레드라는 점입니다. 덕분에 STA COM 개체를 Page_Load 이전 단계에서 생성한다고 해도 MTA를 위한 웹 페이지들의 요청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게다가 STA 스레드 풀을 별도로 운영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고는 곧바로 별도의 STA 스레드(위에서는 13888)로 요청을 전달하고는 다음 사용자의 요청을 곧바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따라서, x86에서 발생했던 스레드 풀 고갈 현상이 x64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결론을 내려보면, x64에서는 COM 개체의 생성을 어느 때 해도 전체적인 성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COM 개체가 기왕이면 MTA로 만들어지는 것이 전체적인 페이지 반응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68정성태10/31/200422021.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214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407.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406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3114.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3236.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2184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1722.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0437.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3548.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20016.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55정성태10/3/200420752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54정성태8/30/200426417VC++: 10. 내가 생각해 보는 MFC OCX와 ATL DLL에 선택 기준
53정성태11/20/200525767VC++: 9. CFtpFileFind/FtpFileFind가 일부 Unix FTP 서버에서 목록을 제대로 못 가져오는 문제
184정성태11/23/200519403    답변글 VC++: 9.1. FTP 관련 토픽파일 다운로드1
51정성태6/24/200424336VC++: 8. BSTR 메모리 할당 및 해제(MSDN Library 발췌) [1]
50정성태6/16/200417676기타: 6. 1차 데스크톱 컴퓨터 사양
49정성태6/16/200418182기타: 5. 53만 원대 Second PC 마련. ^^
48정성태3/2/200420067.NET Framework: 9. 윈도우즈 발전사를 모아 둔 사이트. [1]
47정성태11/14/200518559VS.NET IDE: 7. 한글 OS에서 Internet Explorer 6.0 with SP1의 UI 언어 바꾸는 방법
45정성태1/26/200417972기타: 4. MCAD 시험
44정성태1/26/200418757VS.NET IDE: 6. 터미널 서비스 포트 변경 ( 서버 및 클라이언트 )
46정성태1/26/200423810    답변글 VS.NET IDE: 6.1. Windows 2003 터미널 서비스 라이센스 서버 없이 접속
114정성태11/14/200515198    답변글 VS.NET IDE: 6.2. [터미널 서버 라이센스] : 활성화 시 오류
43정성태12/23/200318408기타: 3. XP/2003 개인 방화벽 설정파일 다운로드1
40정성태7/23/200321885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