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64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지난번에 x86에서 이 상황을 테스트 한 결과를 설명했는데요.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https://www.sysnet.pe.kr/2/0/1394

재미있게도, x64 프로세스에서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우선, AspCompat=true와 Page_Load에서 x64 STA COM 개체를 생성한 경우를 한번 볼까요?

// ==== default.aspx ====
<%@ Page AspCompat="true" Title="Home Page" Language="C#" MasterPageFile="~/Site.master" AutoEventWireup="true"
    CodeBehind="Default.aspx.cs" Inherits="WebApplication1._Default" %>

	... [HTML 생략]...

// ==== default.aspx.cs ====
using System;
using System.Web;
using System.Web.UI;
using System.Web.UI.WebControls;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 = new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DoMethod();
        }
    }
}

default.aspx.cs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시키고,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int tid;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catc = new WebTestHelperLib.ComAptTestClass();
    int aptKind = catc.DoMethod3(5, out tid);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Format("ctor Thread: {0}<br />", _pageTid);
    sb.AppendFormat("ctor Apt: {0}<br />", GetCurrentApt());
    sb.AppendFormat("Page_Load Thread: {0}<br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sb.AppendFormat("Page_Load Thread Apt: {0}<br />", GetCurrentApt());
    sb.AppendFormat("Com Thread: {0}<br />", tid);
    sb.AppendFormat("Com Apt: {0}<br />", aptKind);

    Label1.Text = sb.ToString();
}

public int GetCurrentApt()
{
    FieldInfo fieldInfo = typeof(Thread).GetField("DONT_USE_InternalThread",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ntPtr objValue = (IntPtr)fieldInfo.GetValue(Thread.CurrentThread);

    if (IntPtr.Size == 4)
    {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32(objValue, 16 * 4));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teb.ToInt64() + 0xf80);
        long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64(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if (ReservedForOle == 0)
        {
            return -1;
        }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50);
        long NativeApt = Marshal.ReadInt64(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0c);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return AptKind;
    }
    else
    {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64(objValue, 16 * 6));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teb.ToInt64() + 0x1758);
        long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64(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if (ReservedForOle == 0)
        {
            return -1;
        }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80);
        long NativeApt = Marshal.ReadInt64(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10);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return AptKind;
    }
}

COM 개체에서 제공되는 DoMethod3 메서드에도 x64에 대한 고려를 추가합니다.

STDMETHODIMP CComAptTest::DoMethod3(LONG sleepSecond,LONG *tid, LONG *aptKind)
{
    ::Sleep(sleepSecond * 1000);

    *tid = ::GetCurrentThreadId();

    do 
    {
#if defined(_AMD64_)
        BYTE *pTeb = (BYTE *)NtCurrentTeb();
        __int64 *pOle = (__int64 *)(pTeb + 0x1758);

        if (*pOle == 0)
        {
            printf("No apartment\n");
            break;
        }

        __int64 *pNativeApt = (__int64 *)(*pOle + 0x80);
        *aptKind = *(int *)(*pNativeApt + 0x10);

#elif defined(_X86_)
        BYTE *pTeb = (BYTE *)NtCurrentTeb();
        int *pOle = (int *)(pTeb + 0xf80);

        if (*pOle == 0)
        {
            printf("No apartment\n");
            break;
        }

        int *pNativeApt = (int *)(*pOle + 0x50);
        *aptKind = *(int *)(*pNativeApt + 0x0c);

#endif
    } while (false);

    return S_OK;
}

자... 이렇게 하고 2개의 요청을 동시에 보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tor Thread: 34124
ctor Apt: 4
Page_Load Thread: 7836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ctor Thread: 27452
ctor Apt: 4
Page_Load Thread: 7836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오... 뭔가 바뀌지 않았나요? ctor Apt == 4 == STA인데요. 처음 요청을 34124, 27452 스레드로 받고 있는데 이것들이 모두 STA 스레드로 초기화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STA COM 개체를 가진 웹 페이지를 처리할 수 있는 전용 STA 스레드 풀을 가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STA로 초기화된 스레드 풀이긴 하지만 COM 개체가 멀티스레드 용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전용 7836 STA 스레드에 COM 메서드 호출을 직렬화하고 있습니다.

x64부터는, AspCompat=True로 지정한 웹 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웹 페이지들에 대해 각각 별도의 스레드 풀을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AspCompat=True 값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0x80004002 예외가 발생하므로 생략합니다.




AspCompat=True인 경우, STA COM 개체를 Page_Load가 아닌 생성자나 멤버 변수 정의 시에는 어떨까요? 다음은 그 결과입니다.

ctor Thread: 29200
ctor Apt: 4
Page_Load Thread: 13888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ctor Thread: 35820
ctor Apt: 4
Page_Load Thread: 13888
Page_Load Thread Apt: 4
Com Thread: 7836
Com Apt: 4

이것 역시 x86과 유사한 결과를 가지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맨 처음 요청을 처리하는 ctor 스레드가 STA로 초기화된 스레드 풀의 스레드라는 점입니다. 덕분에 STA COM 개체를 Page_Load 이전 단계에서 생성한다고 해도 MTA를 위한 웹 페이지들의 요청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게다가 STA 스레드 풀을 별도로 운영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고는 곧바로 별도의 STA 스레드(위에서는 13888)로 요청을 전달하고는 다음 사용자의 요청을 곧바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따라서, x86에서 발생했던 스레드 풀 고갈 현상이 x64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결론을 내려보면, x64에서는 COM 개체의 생성을 어느 때 해도 전체적인 성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COM 개체가 기왕이면 MTA로 만들어지는 것이 전체적인 페이지 반응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90정성태4/9/202116936.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8155.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19899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1172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18052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17012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18189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19079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18497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18438.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16314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12579정성태3/28/202116909오류 유형: 707. 중첩 가상화(Nested Virtualization) - The virtual machine could not be started because this platform does not support nested virtualization.
12578정성태3/27/202117355개발 환경 구성: 560.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WSL 2 인스턴스에 kind가 구성한 k8s 서비스 위치
12577정성태3/26/202118970개발 환경 구성: 559.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 WSL 2 인스턴스에 kind 도구로 k8s 클러스터 구성
12576정성태3/25/202117014개발 환경 구성: 558.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k8s 서비스 위치
12575정성태3/24/202115591개발 환경 구성: 557.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1]
12574정성태3/23/202121137.NET Framework: 1030. C# Socket의 Close/Shutdown 동작 (동기 모드)
12573정성태3/22/202118559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1]
12572정성태3/22/202117840.NET Framework: 1029. C# - GC 호출로 인한 메모리 압축(Compaction)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71정성태3/21/202115850오류 유형: 706. WSL 2 기반으로 "Enable Kubernetes" 활성화 시 초기화 실패 [1]
12570정성태3/19/202121167개발 환경 구성: 555.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12569정성태3/18/202121538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12568정성태3/18/202114859오류 유형: 705. C# 빌드 - Couldn't process file ... due to its being in the Internet or Restricted zone or having the mark of the web on the file.
12567정성태3/17/202116908개발 환경 구성: 55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1]
12566정성태3/17/202116731개발 환경 구성: 552.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12565정성태3/17/202113529오류 유형: 704. curl.exe 실행 시 dll not found 오류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