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Hyper-V 가상 머신을 다른 디스크로 이동하려고 시도했더니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An error occurred while attempting to export the virtual machine.

Failed to copy file during export.

Failed to copy file from 'd:\VMs\ubuntutest\Virtual Hard Disks\ubuntutest.vhdx' to 'e:\VMs\ubuntutest\Virtual Hard Disks\ubuntutest.vhdx':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robocopy 명령어로 해당 vhdx 파일을 복사하려고 했을 때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C:\> robocopy "d:\vms\ubuntutest" "e:\vms\ubuntutest" /S
...[생략]...
  5.2%      New File              79.6 g        ubuntutest.vhdx
2025/07/25 10:08:52 ERROR 23 (0x00000017) Copying File d:\vms\ubuntutest\Virtual Hard Disks\ubuntutest.vhdx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Waiting 30 seconds... Retrying...

검색해 보면, 물리 디스크에 bad sector가 있다고 하면서 chkdsk를 권장합니다.

There was an error during move operation: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 https://charbelnemnom.com/there-was-an-error-during-move-operation-data-error-cyclic-redundancy-check-0x80070017/

실제로 저 역시 bad cluster가 나왔고,

C:\> chkdsk /r d:
...[생략]...
Stage 4: Looking for bad clusters in user file data ...
Windows replaced bad clusters in file 37 of name \VMs\centostest\Virtual Hard Disks\centostest_A9A21FFD-0943-4937-A14C-031AA8E27DD2.avhdx.
Windows replaced bad clusters in file 49 of name \VMs\ubuntutest\Virtual Hard Disks\ubuntutest.vhdx.
  102640 files processed.
File data verification completed.
 Phase duration (User file recovery): 2.17 hours.
An unspecified error occurred (75736e6a726e6c2e 519).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파일에서 bad cluster가 발견됐는데요, 저렇게 시행 후 1개는 복구됐지만, 다른 하나는 복구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마지막의 "An unspecified error occurred"라는 메시지가 복구를 하지 못해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뭐랄까... chkdsk가 bad sector를 표시하는 작업에 문제가 있는 듯합니다. 왜냐하면, 지속적으로 해당 디스크를 사용하는 동안 Reading 작업이 오래 걸려 "Active time"이 100%로, Resource Monitor에서는 "Disk Queue Length"가 꽉 차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왠지, bad sector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아 그 부분을 다시 읽으려고 시도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그래서 다른 도구로 다시 검사를 해봤습니다.

HDDScan
; https://hddscan.com/

느낌일진 모르겠지만. ^^; 저걸 수행한 다음부터는 그나마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 (2012년에 구매한 Western Digital HDD였는데, 거의 13년을 사용했으니 이젠 보낼 때도 된 듯합니다. ^^ bad block 수가 1,419,102 개라고 나오는군요.)




참고로,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chkdsk를 실행하는 경우라면 재부팅 시점에 동작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부팅 시점에 실행되는 chkdsk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88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55정성태10/7/20248866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7653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7167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8673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6]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6924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6769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6808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7436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8492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7137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7115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7874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8509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8469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8089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3740정성태9/24/20247440기타: 86. RSA 공개키 등의 modulus 값에 0x00 선행 바이트가 있는 이유(ASN.1 인코딩)
13739정성태9/24/20247691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1]파일 다운로드1
13738정성태9/22/20247236C/C++: 174.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 FILE*파일 다운로드1
13737정성태9/21/20247973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13736정성태9/20/20248096오류 유형: 923. Visual Studio Code - Could not establish connection to "...": Port forwarding is disabled.
13735정성태9/20/20247486개발 환경 구성: 726. ARM 플랫폼용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13734정성태9/19/20247010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13733정성태9/19/20247835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13732정성태9/17/20248172개발 환경 구성: 724. ARM + docker 환경에서 .NET 8 설치
13731정성태9/15/20248592개발 환경 구성: 723. C# / Visual C++ - Control Flow Guard (CFG) 활성화 [1]파일 다운로드2
13730정성태9/10/20249379오류 유형: 922. docker - RULE_APPEND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rule in chain DOCK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