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72. C# - ssh-ed25519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92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

.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491

.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598

.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45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742

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 https://www.sysnet.pe.kr/2/0/13747

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

닷넷: 2372. C# - ssh-ed25519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4029




C# - ssh-ed25519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SSH 서버의 경우 /etc/ssh 경로에 ssh_host_*_key.pub와 같은 유형의 공개키 파일이 존재하고, 그중 하나가 (제약이 유독 심한) ssh_host_ed25519_key.pub 파일입니다.

# cat /etc/ssh/ssh_host_ed25519_key.pub
ssh-ed25519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root@6747bfaa58b8

# ssh-keygen -lf /etc/ssh/ssh_host_ed25519_key.pub
256 SHA256:x9Y3qATAqJjoaOUnV8eqj5SLZ9fnoqJd7Nz5VsT7Dbo root@6747bfaa58b8 (ED25519)

// -l: [-v] [-E fingerprint_hash] [-f input_keyfile]

그런데, pscp와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SshHostKeyFingerprint의 유형을 MD5 형식의 포맷으로 지정해야 하는데요,

SessionOptions sessionOptions = new SessionOptions
{
    Protocol = Protocol.Sftp,
    HostName = "example.com",
    UserName = "user",
    Password = "mypassword",
    SshHostKeyFingerprint = "ssh-rsa 2048 xx:xx:xx:xx:xx:xx:xx:xx:..." // 이 값이 md5 형식
};

이것을 알아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제 경우에는 그냥 아무 디렉터리나 pscp로 복사 시도를 해보는 것입니다.

c:\temp> pscp -P 23022 -v -r c:\temp\empty root@192.168.100.50:/home/root/test
Connecting to 192.168.100.50 port 23022
We claim version: SSH-2.0-PuTTY_Release_0.70
Server version: SSH-2.0-OpenSSH_7.6p1 Ubuntu-4ubuntu0.7
Using SSH protocol version 2
Doing ECDH key exchange with curve Curve25519 and hash SHA-256
Server also has ecdsa-sha2-nistp256/ssh-rsa host keys, but we don't know any of them
Host key fingerprint is:
ssh-ed25519 256 b4:7f:29:5c:fd:e1:ea:f5:7d:6d:73:df:01:79:cf:2c
The server's host key is not cached in the registry. You
have no guarantee that the server is the computer you
think it is.
The server's ssh-ed25519 key fingerprint is:
ssh-ed25519 256 b4:7f:29:5c:fd:e1:ea:f5:7d:6d:73:df:01:79:cf:2c
If you trust this host, enter "y" to add the key to
PuTTY's cache and carry on connecting.
If you want to carry on connecting just once, without
adding the key to the cache, enter "n".
If you do not trust this host, press Return to abandon the
connection.
Store key in cache? (y/n)

그럼, 실행 결과에 저렇게 md5 형식의 fingerprint 값이 출력되므로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론 ssh-keygen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et SSH key fingerprint in (old) hex format on new version of openssh
; https://superuser.com/questions/1088165/get-ssh-key-fingerprint-in-old-hex-format-on-new-version-of-openssh

// ssh 서버가 설치된 서버에서, 또는 public key 파일만 구할 수 있다면!

# ssh-keygen -l -E md5 -f /etc/ssh/ssh_host_ed25519_key.pub
256 MD5:b4:7f:29:5c:fd:e1:ea:f5:7d:6d:73:df:01:79:cf:2c root@6747bfaa58b8 (ED25519)

그나저나, 이걸 코드로도 알아낼 수 있겠죠? ^^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저 md5 해시값은 단순히 ssh_host_ed25519_key.pub의 키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로부터 구한 것입니다. 즉,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문자열을 base64 디코딩한 후, 그걸 그대로 MD5 해시로 변환하면 됩니다.

// ssh_host_ed25519_key.pub 파일의 내용 중 공개키 정보 문자열
string text =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 base64 decode
byte[] data = Convert.FromBase64String(text);

byte[] buffer = MD5.Create().ComputeHash(data);
Console.WriteLine(BitConverter.ToString(buffer).Replace("-", ":"));

/* 출력 결과
B4:7F:29:5C:FD:E1:EA:F5:7D:6D:73:DF:01:79:CF:2C
*/




마침 지난 경험도 있고 하니,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기왕 하는 김에 ssh_host_ed25519_key.pub 파일의 내용도 해석해 보겠습니다. 결국 이것도 ANS.1 인코딩 방식일 거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데요,

# cat /etc/ssh/ssh_host_ed25519_key.pub
ssh-ed25519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root@6747bfaa58b8

  [The key type]  [A chunk of PEM-encoded data] [A comment]
예)ssh-ed25519     AAA...[생략]...onHbYs         root@6747bfaa58b8

// ssh-rsa 형식인 경우의 해석은 "https://www.sysnet.pe.kr/2/0/13739#rfc4253" 참조.

따라서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문자열을, 즉 "[A chunk of PEM-encoded data]" 영역을 base64 디코딩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은 바이트 배열이 나옵니다.

[4바이트 길이(big endian)] [algorithm name, ("ssh-ed25519")]
[4바이트 길이(big endian)] [public key (ASN.1)] 

코딩으로 구현하면 이렇고!

string text = "AAAAC3NzaC1lZDI1NTE5AAAAIF18y7iEZwsx99NueMWE+tTVdhaDLfudFYU4fonJHbYs";

byte[] data = Convert.FromBase64String(text);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 DecodeSSHED25519PublicKey(data);

private static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DecodeSSHED25519PublicKey(byte[] bytesEncoded)
{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using (var stream = new MemoryStream(bytesEncoded))
    using (var reader = new BinaryReader(stream))
    {
        int algorithmLength = reader.ReadInt32BE();
        algorithmName = Encoding.ASCII.GetString(reader.ReadBytes(algorithmLength));

        int publicKeyLength = reader.ReadInt32BE();
        publicKey = reader.ReadBytes(publicKeyLength);
    }

    return (algorithmName, publicKey);
}

사실 저 코드를 직접 만들 필요는 없는데요, 이미 예전 글에서 SSH.NET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PublicKeyFile 클래스로 다룬 적이 있었습니다.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enc_dec_src

저 예제 코드의 "PublicKeyFile.DecodeEdDSA" 메서드가 했던 작업이 바로 위에서 살펴본 DecodeSSHED25519PublicKey 메서드입니다. 따라서 (이젠 DecodeEdDSA 메서드 대신) 다음과 같이 우리가 구한 공개키로 Ed25519Signer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string algorithmName, byte[] publicKey) = DecodeSSHED25519PublicKey(data);
Console.WriteLine(algorithmName); // 출력 결과: "ssh-ed25519"

Ed25519PublicKeyParameters publicKeyParam = new Ed25519PublicKeyParameters(publicKey);

Ed25519Signer signer = new Ed25519Signer();
signer.Init(false, publicKeyParam);
// ... 개인키로 서명한 데이터 검증...
/*
signer.BlockUpdate(plainTextBuffer);
bool verified = signer.VerifySignature(signedBuffer);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66정성태6/28/201829772.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28078.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26142.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22658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22574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36126.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26849.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35042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8528.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5444.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33845.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26089.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27778.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25935.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29357.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25491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24407.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11549정성태6/13/201827709개발 환경 구성: 382. BenchmarkDotNet에서 생성한 BuildPlots.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11548정성태6/13/201823186오류 유형: 470. .NET Core + BenchmarkDotNet 실행 시 프레임워크를 찾지 못하는 문제
11547정성태6/13/201829979.NET Framework: 767. BenchmarkDotNet 라이브러리 소개파일 다운로드1
11546정성태6/12/201828729.NET Framework: 766. C# 7.2의 특징 - GC 및 메모리 복사 방지를 위한 struct 타입 개선 [9]파일 다운로드1
11545정성태6/11/201829057오류 유형: 469.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1]
11544정성태6/10/201827848.NET Framework: 765. C# 7.2 - 숫자 리터럴의 선행 밑줄과 뒤에 오지 않는 명명된 인수
11543정성태6/9/201827578.NET Framework: 764. C# 7.2 - private protected 접근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42정성태6/9/201866733개발 환경 구성: 38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Remove Custom Headers
11541정성태6/9/201824553개발 환경 구성: 380. Azure Web App 확장 배포 방법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