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VS.NET IDE: 66.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800

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https://www.sysnet.pe.kr/2/0/1437

C/C++: 168. Visual C++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721

C/C++: 169. C/C++ - CRT(C Runtime) 함수에 의존성이 없는 프로젝트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22

C/C++: 189.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
; https://www.sysnet.pe.kr/2/0/14035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

테스트를 위해 이런 간단한 코드를 만든 다음,

int Class2::GetValue()
{
    return value; // 이곳에 BP를 걸고,
}

디버그 모드로 컴파일해 실행하고 Disassembly 창을 보면, 이런 결과를 얻게 됩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48 89 4C 24 08       mov         qword ptr [rsp+8],rcx  
55                   push        rbp  
57                   push        rdi  
48 81 EC E8 00 00 00 sub         rsp,0E8h  
48 8D 6C 24 20       lea         rbp,[rsp+20h]  
48 8D 0D 07 16 01 00 lea         rcx,[__9D4BA110_MyClass@cpp (07FF7C9B63091h)]  
E8 09 F9 FF FF       call        __CheckForDebuggerJustMyCode (07FF7C9B51398h)  
90                   nop  
48 8B 85 E0 00 00 00 mov         rax,qword ptr [this]  
8B 40 08             mov         eax,dword ptr [rax+8]  
48 8D A5 C8 00 00 00 lea         rsp,[rbp+0C8h]  
5F                   pop         rdi  
5D                   pop         rbp  
C3                   ret  

꽤나 복잡한 코드죠? ^^ 이 상태에서, 일단 프로젝트 자체는 Debug 빌드를 유지해 두고, 저 코드만 포함하고 있는 MyClass.cpp 파일을 대상으로 디버깅 관련 코드를 제외해 보겠습니다.

그럼, 가장 먼저 여기서 __CheckForDebuggerJustMyCode를 없애 볼까요? ^^ 이름에도 나오지만 "Just My Code"를 판단하기 위한 보조 함수 호출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debug_to_release_code_gen_1.png

해당 소스 코드를 우클릭해 속성 창을 열어 "General" 탭의 "Support Just My Code Debugging" 옵션을 "Yes(/JMC)"에서 "No"로 바꾸면 됩니다. 이후 코드는 이렇게 줄어듭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48 89 4C 24 08       mov         qword ptr [rsp+8],rcx  
55                   push        rbp  
57                   push        rdi  
48 81 EC C8 00 00 00 sub         rsp,0C8h  
48 8B EC             mov         rbp,rsp  
48 8B 85 E0 00 00 00 mov         rax,qword ptr [this]  
8B 40 08             mov         eax,dword ptr [rax+8]  
48 8D A5 C8 00 00 00 lea         rsp,[rbp+0C8h]  
5F                   pop         rdi  
5D                   pop         rbp  
C3                   ret  

그다음 단계로 최적화를 켜도록 할 텐데요, 속성 창에서 "Optimization" 탭으로 가서 "Optimization" 옵션을 "Disabled(/Od)"에서 "Maximum Optimization (Favor Size) (/O1)" 또는 "Maximum Optimization (Favor Speed) (/O2)"로 바꾸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빌드하면 옵션 충돌 에러가 나는데요,

command line  error D8016: '/O1' and '/RTC1' command-line options are incompatible

따라서, 최적화를 켠 경우라면 "Code Generation" 탭으로 가서 "Basic Runtime Checks" 옵션을 (디버그 기본값인) "Both (/RTC1, equiv. to /RTCsu)"에서 Default"로 바꿔 주어야 합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아주 간단한 코드가 생성됩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8B 41 08             mov         eax,dword ptr [rcx+8]  
C3                   ret  

Release 모드의 코드가 괜히 빠른 게 아니죠? ^^ 그 외에도 다양한 옵션에 따라 디버깅 관련 코드가 들어갈 수 있는데 모두 옵션으로 제공하고 있으니 관련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파일 단위로 속성을 조정했을 때 위의 변경을 반영한 .vcxproj 파일의 MyClass.cpp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ItemGroup>
    <ClCompile Include="MyClass.cpp">
        <SupportJustMyCode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false</SupportJustMyCode>
        <Optimization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MinSpace</Optimization>
        <BasicRuntimeChecks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Default</BasicRuntimeChecks>
    </ClCompile>
</ItemGroup>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59정성태2/19/202417421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13558정성태2/18/202416687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13557정성태2/18/202412619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556정성태2/17/202415882Windows: 257. 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
13555정성태2/15/202415908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
13554정성태2/15/202414349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13553정성태2/14/202413012닷넷: 2215. windbg - thin/fat lock 없이 동작하는 Monitor.Wait + Pulse
13552정성태2/13/202413187닷넷: 2214. windbg - Monitor.Enter의 thin lock과 fat lock
13551정성태2/12/202415707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13550정성태2/11/202415645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13549정성태2/3/202417571개발 환경 구성: 706. C# -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켓) 콘솔 프로젝트 구성
13548정성태2/1/202416765개발 환경 구성: 705. "Docker Desktop for Windows" -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소켓 주소 바인딩(IPv4/IPv6 loopback, Any)
13547정성태1/31/202416601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13546정성태1/30/202415636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13545정성태1/30/202415484닷넷: 2212. ASP.NET Core - 우선순위에 따른 HTTP/HTTPS 호스트:포트 바인딩 방법
13544정성태1/30/202414873오류 유형: 894. Microsoft.Data.SqlClient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Security.Permissions, ...'
13543정성태1/30/202415751Windows: 254. Windows - 기본 사용 중인 5357 포트 비활성화는 방법
13542정성태1/30/202413374오류 유형: 893.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 두 번째 이야기
13541정성태1/29/202414989VS.NET IDE: 188. launchSettings.json의 useSSL 옵션
13540정성태1/29/202414281Linux: 69. 리눅스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 IPv6 Loopback Address 바인딩 오류
13539정성태1/26/202413251개발 환경 구성: 703. Visual Studio - launchSettings.json을 이용한 HTTP/HTTPS 포트 바인딩
13538정성태1/25/202415099닷넷: 2211. C# - NonGC(FOH) 영역에 .NET 개체를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537정성태1/24/202416547닷넷: 2210. C# - Native 메모리에 .NET 개체를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536정성태1/23/202415004닷넷: 2209. .NET 8 - NonGC Heap / FOH (Frozen Object Heap) [1]
13535정성태1/22/202417170닷넷: 2208. C# - GCHandle 구조체의 메모리 분석
13534정성태1/21/202415156닷넷: 2207. C# - SQL Server DB를 bacpac으로 Export/Import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