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9개 있습니다.)
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769

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83

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4

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8

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 https://www.sysnet.pe.kr/2/0/13801

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 https://www.sysnet.pe.kr/2/0/13810

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15

Linux: 106. eBPF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817

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 https://www.sysnet.pe.kr/2/0/13819

Linux: 109. eBPF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4

Linux: 110. eBPF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5

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3

Linux: 116. eBPF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894

Linux: 117. eBPF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5

Linux: 122.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6

Linux: 123.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 https://www.sysnet.pe.kr/2/0/14017

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 https://www.sysnet.pe.kr/2/0/14020

Linux: 126. eBPF (bpf2go) - tcp_sendmsg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4025

Linux: 129. eBPF (bpf2go) -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 - "cgroup_skb/egress", "cgroup_skb/egress"
; https://www.sysnet.pe.kr/2/0/14037




eBPF (bpf2go) -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 - "cgroup_skb/egress", "cgroup_skb/egress"

지난 글의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에 이어,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 https://www.sysnet.pe.kr/2/0/14017

이번에는 동일하게 패킷 필터링 용도이긴 하지만 접점이 다른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BPF_PROG_TYPE_CGROUP_SKB
; https://docs.ebpf.io/linux/program-type/BPF_PROG_TYPE_CGROUP_SKB/

.\pkg\mod\github.com\cilium\ebpf@v0.16.0\examples\cgroup_skb
; https://github.com/cilium/ebpf/blob/main/examples/cgroup_skb/cgroup_skb.c

재미있게도 BPF_PROG_TYPE_SOCKET_FILTER와는 완전히 상반된 특징을 갖는데요, 1) 전역 소켓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2) in/out 패킷에 대해 다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eBPF 코드를 작성해 보면,

SEC("cgroup_skb/ingress")
int cgroup_ingress_packets(struct __sk_buff *skb) {
    struct bpf_sock *bpf_sock = skb->sk;
    bpf_printk("[ingress] bpf_sock = %p", bpf_sock);

    return 1;
}

SEC("cgroup_skb/egress")
int cgroup_egress_packets(struct __sk_buff *skb) {
    struct bpf_sock *bpf_sock = skb->sk;
    bpf_printk("[egress] bpf_sock = %p", bpf_sock);

    return 1;
}

이와 함께 (어차피 cgroup에 속한 유형이므로) BPF_PROG_TYPE_CGROUP_SOCK_ADDR에 속한 connect4도 함께 작성해,

#define SYS_REJECT  0
#define SYS_PROCEED 1

SEC("cgroup/connect4")
int socket_connect4(struct bpf_sock_addr *ctx)
{
    struct bpf_sock* bpf_sk = ctx->sk;
    bpf_printk("[socket_connect4] bpf_sk == %p", bpf_sk);

    return SYS_PROCEED;
}

bpf2go로 로딩한 다음,

// ...[생략]...

func main() {
    // ...[생략]...

    // Get the first-mounted cgroupv2 path.
    cgroupPath, err := detectCgroupPath() // 예를 들어, cgroupPath == "/sys/fs/cgroup"
    if err != nil {
        log.Fatal(err)
    }

    cgroupEgressFunc,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Egress, bpfObj.CgroupEgressPackets)
    defer func(link link.Link) {
        fmt.Printf("cgroupEgressFunc\n")
        _ = link.Close()
    }(cgroupEgressFunc)

    cgroupIngressFunc,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Ingress, bpfObj.CgroupIngressPackets)
    defer func(link.Link) {
        fmt.Printf("cgroupIngressFunc\n")
        _ = link.Close()
    }(cgroupIngressFunc)

    cgroupSocketConnect4,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4Connect, bpfObj.SocketConnect4)
    defer func(link link.Link) {
        _ = link.Close()
    }(cgroupSocketConnect4)

    // ...[생략]...
}

func detectCgroupPath() (string, error) {
	f, err := os.Open("/proc/mounts")
	if err != nil {
		return "", err
	}
	defer f.Close()

	scanner := bufio.NewScanner(f)
	for scanner.Scan() {
		// example fields: cgroup2 /sys/fs/cgroup/unified cgroup2 rw,nosuid,nodev,noexec,relatime 0 0
		fields := strings.Split(scanner.Text(), " ")
		if len(fields) >= 3 && fields[2] == "cgroup2" {
			return fields[1], nil
		}
	}

	return "", errors.New("cgroup2 not mounted")
}

func linkAttachCgroup(cgroupPath string, attachType ebpf.AttachType, program *ebpf.Program) (link.Link, error) {
	opt := link.CgroupOptions{ // https://github.com/cilium/ebpf/blob/main/examples/cgroup_skb/main.go
		Path:    cgroupPath,
		Attach:  attachType,
		Program: program,
	}

	attached, err := link.AttachCgroup(opt)
	if err != nil {
		log.Printf("link.Tracepoint(%v): %v\n", attachType, err)
		return nil, err
	}

	return attached, err
}

실행해 HTTP 호출을 해보면 이런 결과를 얻게 됩니다.

// 이 부분은 아마도 HTTP 요청 중 DNS lookup에 대한 요청으로 보이고,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ingress] bpf_sock = 0000000063b0daeb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ingress] bpf_sock = 0000000063b0daeb

// 여기서부터 HTTP 요청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간단하죠? ^^ 참고로 "cgroup_skb/ingress", "cgroup_skb/egress" 모두 1을 반환하면 PASS, 0을 반환하면 DROP 동작을 하므로 원한다면 간단한 방화벽 프로그램을 eBPF를 이용해 제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테스트 결과에서 한 가지 의문이 남는데요, 마지막 4개의 출력을 보면,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HTTP 호출이므로 당연히 응답이 왔을 것이고, 따라서 ingress 로그가 찍혀야 하는데 그 부분의 출력이 없습니다. 이것도 분명 무슨 이유가 있겠지만.. (리알못이라) 일단 여기까지만 실습한 걸로 만족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29정성태9/16/202028046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24501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23959.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23450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22117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12324정성태9/11/202022632개발 환경 구성: 514. smigdeploy.exe를 이용한 Windows Server 2016에서 2019로 마이그레이션 방법
12323정성태9/11/202022897오류 유형: 649. Copy Database Wizard - The job failed. Check the event log on the destination server for details.
12322정성태9/11/202027867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1]
12321정성태9/11/202020983오류 유형: 648. netsh http add urlacl - Error: 183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12320정성태9/11/202025290개발 환경 구성: 512. RDP(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비밀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하는 경우
12319정성태9/10/202022553오류 유형: 647.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12318정성태9/9/202021449오류 유형: 646. OpenVPN - "TAP-Windows Adapter V9" 어댑터의 "Network cable unplugged" 현상
12317정성태9/9/202025740개발 환경 구성: 511. Beats용 Kibana 기본 대시 보드 구성 방법
12316정성태9/8/202024379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12315정성태9/7/202026349개발 환경 구성: 510. Logstash - FileBeat을 이용한 IIS 로그 처리 [2]
12314정성태9/7/202026032오류 유형: 645. IIS HTTPERR - Timer_MinBytesPerSecond, Timer_ConnectionIdle 로그
12313정성태9/6/202026420개발 환경 구성: 509. Logstash - 사용자 정의 grok 패턴 추가를 이용한 IIS 로그 처리
12312정성태9/5/202034192개발 환경 구성: 508. Logstash 기본 사용법 [2]
12311정성태9/4/202026671.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12310정성태9/3/202024557오류 유형: 644. Windows could not start the Elasticsearch 7.9.0 (elasticsearch-service-x64) service on Local Computer.
12309정성태9/3/202022070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12308정성태9/2/202026144개발 환경 구성: 506. Windows - 단일 머신에서 단일 바이너리로 여러 개의 ElasticSearch 노드를 실행하는 방법
12307정성태9/2/202026992오류 유형: 643. curl - json_parse_exception / Invalid UTF-8 start byte
12306정성태9/1/202023256오류 유형: 642. SQL Server 시작 오류 - error code 10013
12305정성태9/1/202025751Windows: 172. "Administered port exclusions"이 아닌 포트 범위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
12304정성태8/31/202024694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