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9개 있습니다.)
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769

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83

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4

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 https://www.sysnet.pe.kr/2/0/13788

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 https://www.sysnet.pe.kr/2/0/13801

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 https://www.sysnet.pe.kr/2/0/13810

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15

Linux: 106. eBPF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817

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 https://www.sysnet.pe.kr/2/0/13819

Linux: 109. eBPF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4

Linux: 110. eBPF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25

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3

Linux: 116. eBPF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894

Linux: 117. eBPF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5

Linux: 122.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6

Linux: 123.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 https://www.sysnet.pe.kr/2/0/14017

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 https://www.sysnet.pe.kr/2/0/14020

Linux: 126. eBPF (bpf2go) - tcp_sendmsg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4025

Linux: 129. eBPF (bpf2go) -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 - "cgroup_skb/egress", "cgroup_skb/egress"
; https://www.sysnet.pe.kr/2/0/14037




eBPF (bpf2go) -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 - "cgroup_skb/egress", "cgroup_skb/egress"

지난 글의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에 이어,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 https://www.sysnet.pe.kr/2/0/14017

이번에는 동일하게 패킷 필터링 용도이긴 하지만 접점이 다른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BPF_PROG_TYPE_CGROUP_SKB
; https://docs.ebpf.io/linux/program-type/BPF_PROG_TYPE_CGROUP_SKB/

.\pkg\mod\github.com\cilium\ebpf@v0.16.0\examples\cgroup_skb
; https://github.com/cilium/ebpf/blob/main/examples/cgroup_skb/cgroup_skb.c

재미있게도 BPF_PROG_TYPE_SOCKET_FILTER와는 완전히 상반된 특징을 갖는데요, 1) 전역 소켓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2) in/out 패킷에 대해 다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eBPF 코드를 작성해 보면,

SEC("cgroup_skb/ingress")
int cgroup_ingress_packets(struct __sk_buff *skb) {
    struct bpf_sock *bpf_sock = skb->sk;
    bpf_printk("[ingress] bpf_sock = %p", bpf_sock);

    return 1;
}

SEC("cgroup_skb/egress")
int cgroup_egress_packets(struct __sk_buff *skb) {
    struct bpf_sock *bpf_sock = skb->sk;
    bpf_printk("[egress] bpf_sock = %p", bpf_sock);

    return 1;
}

이와 함께 (어차피 cgroup에 속한 유형이므로) BPF_PROG_TYPE_CGROUP_SOCK_ADDR에 속한 connect4도 함께 작성해,

#define SYS_REJECT  0
#define SYS_PROCEED 1

SEC("cgroup/connect4")
int socket_connect4(struct bpf_sock_addr *ctx)
{
    struct bpf_sock* bpf_sk = ctx->sk;
    bpf_printk("[socket_connect4] bpf_sk == %p", bpf_sk);

    return SYS_PROCEED;
}

bpf2go로 로딩한 다음,

// ...[생략]...

func main() {
    // ...[생략]...

    // Get the first-mounted cgroupv2 path.
    cgroupPath, err := detectCgroupPath() // 예를 들어, cgroupPath == "/sys/fs/cgroup"
    if err != nil {
        log.Fatal(err)
    }

    cgroupEgressFunc,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Egress, bpfObj.CgroupEgressPackets)
    defer func(link link.Link) {
        fmt.Printf("cgroupEgressFunc\n")
        _ = link.Close()
    }(cgroupEgressFunc)

    cgroupIngressFunc,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Ingress, bpfObj.CgroupIngressPackets)
    defer func(link.Link) {
        fmt.Printf("cgroupIngressFunc\n")
        _ = link.Close()
    }(cgroupIngressFunc)

    cgroupSocketConnect4, err := linkAttachCgroup(cgroupPath, ebpf.AttachCGroupInet4Connect, bpfObj.SocketConnect4)
    defer func(link link.Link) {
        _ = link.Close()
    }(cgroupSocketConnect4)

    // ...[생략]...
}

func detectCgroupPath() (string, error) {
	f, err := os.Open("/proc/mounts")
	if err != nil {
		return "", err
	}
	defer f.Close()

	scanner := bufio.NewScanner(f)
	for scanner.Scan() {
		// example fields: cgroup2 /sys/fs/cgroup/unified cgroup2 rw,nosuid,nodev,noexec,relatime 0 0
		fields := strings.Split(scanner.Text(), " ")
		if len(fields) >= 3 && fields[2] == "cgroup2" {
			return fields[1], nil
		}
	}

	return "", errors.New("cgroup2 not mounted")
}

func linkAttachCgroup(cgroupPath string, attachType ebpf.AttachType, program *ebpf.Program) (link.Link, error) {
	opt := link.CgroupOptions{ // https://github.com/cilium/ebpf/blob/main/examples/cgroup_skb/main.go
		Path:    cgroupPath,
		Attach:  attachType,
		Program: program,
	}

	attached, err := link.AttachCgroup(opt)
	if err != nil {
		log.Printf("link.Tracepoint(%v): %v\n", attachType, err)
		return nil, err
	}

	return attached, err
}

실행해 HTTP 호출을 해보면 이런 결과를 얻게 됩니다.

// 이 부분은 아마도 HTTP 요청 중 DNS lookup에 대한 요청으로 보이고,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ingress] bpf_sock = 0000000063b0daeb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417b902c
bpf_trace_printk: [ingress] bpf_sock = 0000000063b0daeb

// 여기서부터 HTTP 요청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간단하죠? ^^ 참고로 "cgroup_skb/ingress", "cgroup_skb/egress" 모두 1을 반환하면 PASS, 0을 반환하면 DROP 동작을 하므로 원한다면 간단한 방화벽 프로그램을 eBPF를 이용해 제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테스트 결과에서 한 가지 의문이 남는데요, 마지막 4개의 출력을 보면,

bpf_trace_printk: [socket_connect4] bpf_s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bpf_trace_printk: [egress] bpf_sock = 000000001a9c864d

HTTP 호출이므로 당연히 응답이 왔을 것이고, 따라서 ingress 로그가 찍혀야 하는데 그 부분의 출력이 없습니다. 이것도 분명 무슨 이유가 있겠지만.. (리알못이라) 일단 여기까지만 실습한 걸로 만족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51정성태6/20/201926240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7163.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22141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23639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6634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8616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25039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31803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25437.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9839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22312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22509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20921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25475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30809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23441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11935정성태6/9/201927189.NET Framework: 843. C# - PLplot 출력을 파일이 아닌 Window 화면으로 변경
11934정성태6/7/201928467VC++: 133. typedef struct와 타입 전방 선언으로 인한 C2371 오류파일 다운로드1
11933정성태6/7/201923917VC++: 132. enum 정의를 C++11의 enum class로 바꿀 때 유의할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932정성태6/7/201924594오류 유형: 544. C++ - fatal error C1017: invalid integer constant expression파일 다운로드1
11931정성태6/6/201924921개발 환경 구성: 441. C# - CairoSharp/GtkSharp 사용을 위한 프로젝트 구성 방법
11930정성태6/5/201924715.NET Framework: 842. .NET Reflection을 대체할 System.Reflection.Metadata 소개 [1]
11929정성태6/5/201923881.NET Framework: 841. Windows Forms/C# - 클립보드에 RTF 텍스트를 복사 및 확인하는 방법 [1]
11928정성태6/5/201924468오류 유형: 543. PowerShell 확장 설치 시 "Catalog file '[...].cat' i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module" 오류 발생
11927정성태6/5/201925808스크립트: 15. PowerShell ISE의 스크립트를 복사 후 PPT/Word에 붙여 넣으면 한글이 깨지는 문제 [1]
11926정성태6/4/201924852오류 유형: 542. Visual Studio - pointer to incomplete class type is not allowed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