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기껏 regedit.exe를 이용해 TabProcGrowth 값을 삭제했더니, IE를 실행시키자마자 다시 설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이것은 IE와 함께 실행되는 확장 add-on들이 설정하게 됩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확장 add-on이 그런 동작을 하는지 밝혀내야 합니다.

우선, 정말 확장 add-on 때문에 그런 것인지 다음의 순서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확실히 하기 위해 컴퓨터에 실행된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regedit.exe만 실행시킨 다음 TabProcGrowth가 있는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위의 경로에 TabProcGrowth가 있다면 다시 삭제합니다. 그다음, 키보드에서 "윈도우 + R" 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실행 창이 뜨는데,

ie_extension_check_1.png

여기에 아래의 문자열을 입력해서 실행합니다.

"%ProgramFiles%\Internet Explorer\iexplore.exe" -extoff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창이 뜹니다.

ie_extension_check_2.png

이제 다시 regedit.exe에서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경로에 TabProcGrowth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생성되어 있다면 IE 확장 모듈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이런 경우는 컴퓨터에 실행 중인 또 다른 프로세스에 의한 것이므로 이 글을 더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의 힘을 빌어 그 프로세스를 찾아내셔야 합니다.




만약 생성되어 있지 않다면, 분명히 IE 확장 모듈 중에 하나입니다. 방금 전에 "-extoff" 모드로 실행한 IE에서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해 다음과 같이 "추가 기능 관리(Manage add-ons)" 메뉴를 선택합니다.

ie_extension_check_3.png

그럼, 다음과 같이 IE와 함께 실행되는 Add-on 목록들을 보여주는데 어떤 것이 TabProcGrowth 값을 조작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일단 모든 확장 모듈을 "Enabled" 상태에서 "Disabled" 상태로 바꿔 실행되지 않도록 합니다.

ie_extension_check_4.png

이제 IE를 종료하고 regedit.exe에서 다시 한번 TabProcGrowth 값이 없음을 확인한 후 IE를 실행시켰다 종료합니다. 혹시 이렇게만 해도 TabProcGrowth 값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만약 있다면 또 문제입니다. 이런 경우도 역시 여러분들이 해결할 만한 문제는 아니고 컴퓨터를 잘 아는 친구에게 도움을 청해야 합니다.

만약 없다면, 이제 문제를 발견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IE의 "추가 기능 관리(Manage add-ons)"에서 1개만 "Enabled" 상태로 바꾼 후 IE를 종료하고 다시 IE를 실행/종료시킵니다. regedit.exe에서 TabProcGrowth 값을 확인하시고... 있다면 방금 그 확장 모듈이 범인인 것입니다. 그 확장 모듈이 잘 쓰지 않는 것이라면 시스템에서 삭제시키거나 "Disabled" 상태로 바꿉니다. 반면, 써야 하는 경우라면... 방법이 없습니다. 윈도우 7로 컴퓨터를 재설치하시고 IE 9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TabProcGrowth 값을 설정하는 확장 add-on이 한 개라면 위의 단계로 끝나겠지만, 장담할 수 없습니다. IE를 실행시켜 TabProcGrowth 설정이 안될 때 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참고로, TabProcGrowth를 설정하는 확장 add-on을 발견했다면 이 글에 덧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분들도 참고하실 수 있도록. ^^

2013년 6월 1일 추가: 다음의 확장 모듈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즉, 아래의 확장 모듈이 있다면 비활성화시키거나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통해 삭제하시면 됩니다.)
  • 곰플레이어와 함께 설치되는 Search Helper
  • 통합 코덱 프로그램: 하우코덱(HowCode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2-17 06시03분
[박일아] 말씀해주신 대로 해서 이제 더이상 TabProcGrowth가 재설치 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친절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저의 경우는 howcodecband 를 사용함으로 했더니 문제를 일으켰더라고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까 하여 올립니다.
[guest]
2014-09-10 12시31분
[김영대] 감사합니다 이글이 엄청나게 도움되었습니다. 위에 설명문에 써주신 하우코덱이란 모듈을 비활성화 시키니 다시 생성되지 않네요 ...
[guest]
2015-06-11 01시06분
[지나가던] 덕분에 액티브X설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87정성태6/23/202217474스크립트: 41. 파이썬 - FastAPI / uvicorn 호스팅 환경에서 asyncio 사용하는 방법 [1]
13086정성태6/22/202216875.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파일 다운로드1
13085정성태6/22/202216641.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파일 다운로드1
13084정성태6/21/202215421개발 환경 구성: 644. Windows - 파이썬 2.7을 msi 설치 없이 구성하는 방법
13083정성태6/20/202216030.NET Framework: 2024. .NET 7에 도입된 GC의 메모리 해제에 대한 segment와 region의 차이점 [2]
13082정성태6/19/202215092.NET Framework: 2023. C# - Process의 I/O 사용량을 보여주는 GetProcessIoCounters 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081정성태6/17/202214236.NET Framework: 2022. C# - .NET 7 Preview 5 신규 기능 - System.IO.Stream ReadExactly / ReadAtLeast파일 다운로드1
13080정성태6/17/202215212개발 환경 구성: 643. Visual Studio 2022 17.2 버전에서 C# 11 또는 .NET 7.0 preview 적용
13079정성태6/17/202212675오류 유형: 814. 파이썬 - Error: The file/path provided (...) does not appear to exist
13078정성태6/16/202215792.NET Framework: 2021.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파일 다운로드1
13077정성태6/15/202216836스크립트: 40. 파이썬 - PostgreSQL 환경 구성
13075정성태6/15/202213660Linux: 50. Linux - apt와 apt-get의 차이 [2]
13074정성태6/13/202214707.NET Framework: 2020. C# - NTFS 파일에 사용자 정의 속성값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73정성태6/12/202214805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13072정성태6/10/202215023Linux: 49. Linux - ls 명령어로 출력되는 디렉터리 색상 변경 방법
13071정성태6/9/202215691스크립트: 39. Python에서 cx_Oracle 환경 구성
13070정성태6/8/202216380오류 유형: 813. Windows 11에서 입력 포커스가 바뀌는 문제 [1]
13069정성태5/26/202218353.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2]
13068정성태5/24/202217009.NET Framework: 2018. C# - 일정 크기를 할당하는 동안 GC를 (가능한) 멈추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067정성태5/23/202215140Windows: 206. Outlook - 1년 이상 지난 메일이 기본적으로 안 보이는 문제
13066정성태5/23/202214613Windows: 205. Windows 11 -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3065정성태5/20/202215827.NET Framework: 2017. C# - Windows I/O Ring 소개 [2]파일 다운로드1
13064정성태5/18/202215201.NET Framework: 2016. C# - JIT 컴파일러의 인라인 메서드 처리 유무
13063정성태5/18/202215597.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13062정성태5/17/202216534.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 [1]파일 다운로드1
13061정성태5/16/202215310.NET Framework: 2013. C# -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의 읽기/쓰기 시 Position 관리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