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한글 키가 아닌 영문 키를 기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윈도우 8에서 달라진 점의 하나인데요. 바로 키보드 입력 언어의 기본값입니다. 전에는 무조건 영문 입력이 기본이어서 한글을 쓰려면 반드시 한/영키를 누르고 시작해야 했는데요. 윈도우 8부터는 시스템에 설정된 언어를 따르도록 바뀌는 바람에 한글로 설정된 윈도우에서는 미리 한글 키보드 상태로 바뀐 체로 시작합니다. 사실, 이 동작이 일반인을 위해서는 편할 수 있는데요. 늘상 영타를 쳐야하는 개발자 입장에서는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닙니다. 그동안 참고 쓰다가... 오늘은 도저히 ^^ 안되겠다 싶어 방법을 찾아보았는데요. 의외로 쉽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제어판에 가서 "언어(Language)" 항목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고급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입력 방법 전환(Switching input methods)" 옵션이 나오는데 여기서 "각 앱 창에 다른 입력 방법을 직접 설정(Let me set a different input method for each app window)" 체크 박스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흠... ^^ 이제야 좀 쓸만하군요.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372.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이전 글] .NET Framework: 371. CAS Lock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최초 등록일: 6/15/2013] [최종 수정일: 7/9/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11-27 04시48분 [shutdown] 이거 해도 여전히 한글이 활성화되어서, 툭하면 컨텍스트메뉴에서 단축키 안먹고 한글이 코드 중간에 들어가고 하더라구요..뭘 빼먹은게 있는건지.. [guest] 2013-11-27 10시52분 shutdown 님, 재현하기 위해 제가 설정을 해봤지만 Windows 8.1로 오면서 이 부분이 예전처럼 바뀌었나 봅니다. 이제는 저 설정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언어 유지가 되고 있습니다. 정성태 2014-03-17 06시25분 [shutdown] 여전히... 해결이 안되어서 검색중에 다시 여기로 왔네요.저도 8.1이고 이번에 새로 나온 업데이트를 적용한 상태인데, 동일하게 컨텍스트 메뉴의 단축키를 누르려고 하면 한글이 들어가서 골치가 아프네요.새로운 쿼리를 띄우려고 q를 누르면 ㅂ이 입력되서 아무 소식이 없는 ㅋㅋ.다시 클린설치를 해봐야하나... ㅜㅜ [guest] 2015-09-17 03시28분 [러브핸들] 저도 무척이나 고생하던 건데요"각 앱창에 다른 입력 방법을 직접설정" 이 부분은 영어를 먼저 나오게 하는게 아니라 각 앱별로 마지막에 사용된 키보드 언어를 이용하게 하는기능이고이것과는 별개로 언어에 한국어와 영어 두개가 등록되어 있어야 위 기능이 정상 작동합니다.하나만 있으면 한글이 기본이어서 저곳을 체크해도 여전히 한글로 나오더라구요.ㅜ.ㅜ글쓰신 분은 캡쳐화면에서 보시는것처럼 한국어와 영어(미국) 두개 언어가 등록되어있어 정상작동하는게 아닐까 합니다.두번 오신분께서 꼭 해결하셨으면하네요~ 저도 엄청 짜증났거든요~ [guest] 2015-09-17 11시05분 @러브핸들 그러게요. ^^ 의미상으로 그게 맞아서 사실 저 옵션을 조정해 놓고 의아스러웠는데 이후 고쳐진 것을 보면 on/off를 거꾸로 한 버그가 있었지 않나 싶습니다.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03정성태1/7/202027788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212102정성태1/6/202022368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12101정성태1/5/202024704.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12100정성태1/3/202021532.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12099정성태1/3/202024733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12098정성태1/2/202024579.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12097정성태1/2/202021900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12096정성태12/30/201923316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12095정성태12/27/201925871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12094정성태12/26/201924985.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12093정성태12/26/201923581.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112092정성태12/25/201921353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12091정성태12/25/201925339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12090정성태12/24/201924713.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112089정성태12/23/201922013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12088정성태12/23/201921914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12087정성태12/21/201922028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12086정성태12/20/201925640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12085정성태12/20/201923983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12084정성태12/19/201923593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12083정성태12/17/20192603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12082정성태12/17/201924566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12081정성태12/16/201927322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12080정성태12/16/201923387.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12079정성태12/13/201926043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12078정성태12/13/201926240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