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

.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491

.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598

.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45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742

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 https://www.sysnet.pe.kr/2/0/13747

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아래의 글에 덧글로 질문이 하나 달렸는데요.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blog.naver.com/techshare/100159602002

질문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RSAParameters로부터 서로 다른 방법으로 키를 뽑아냈는데,

using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
    RSAParameters rsaParam = RSA.ExportParameters(true);

    byte[] temp1 = rsaParam.Q; // 바이트 배열로 추출한 Q 인자

    String s = RSA.ToXmlString(true); // XML로 추출한 키
    XmlDocument doc = new XmlDocument();
    doc.LoadXml(s);
    XmlNodeList xmllist = doc.SelectNodes("/RSAKeyValue/Q");
    XmlNode node = xmllist[0];
    string ss = node.InnerText; // XML 내용 중 Q 인자의 문자열만 추출
}

temp1 바이트 내용과 ss 문자열의 내용이 어떤 관계인지를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ss의 내용을 출력 - Console.WriteLine(ss);
uXYhzfSIZumJ5N2H8jx+qGisoSL6KYyCdyGSn7NEg2L5lJ5Aa+x9mUvQq3L2Ns5EvJAOIOGeLtY9Ys+bsmEzbw==

temp1의 내용을 출력 - Console.WriteLine(BitConverter.ToString(temp1));
B9-76-21-CD-F4-88-66-E9-89-E4-DD-87-F2-3C-7E-A8-68-AC-A1-22-FA-29-8C-82-77-21-92-9F-B3-44-83-62-F9-94-9E-40-6B-EC-7D-99-4B-D0-AB-72-F6-36-CE-44-BC-90-0E-20-E1-9E-2E-D6-3D-62-CF-9B-B2-61-33-6F

ss의 내용에 보면 끝에 "=="라는 문자열이 보이는데요. Base64 인코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그래서 다음과 같이 검증해 볼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Line(Convert.ToBase64String(temp1) == ss);

당연히 True가 출력됩니다.

여기까지 읽으면 재미없는 분도 있으실 테니 ^^ 시간되시면 다음의 글들도 읽어보시면 좋겠지요.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66정성태10/17/201628871Windows: 12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파일 다운로드1
11065정성태10/15/201633398Windows: 121.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2) - Sleep 함수의 동작 방식 [1]
11064정성태10/14/201625789.NET Framework: 610. C# - WaitOnAddress Win32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063정성태10/14/201641742Windows: 1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5]파일 다운로드1
11062정성태10/12/201621616오류 유형: 361. WCF .svc 호출 시 Could not find a base address that matches scheme net.tcp 예외
11061정성태10/12/201634983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11060정성태10/12/201626855오류 유형: 359. WCF - .svc 요청시 404 Not Found
11059정성태10/11/201632142.NET Framework: 609. WPF -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 바인딩의 INotifyPropertyChanged.PropertyChanged에 대한 배려 [1]파일 다운로드1
11058정성태10/8/201626779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11057정성태10/8/201619865오류 유형: 358. Windows 10 bash shell - sudo: unable to resolve host ...
11056정성태10/8/201624804개발 환경 구성: 302. Windows 10 bash shell 시작 시 [...] packages can be updated.
11055정성태10/8/201626114.NET Framework: 608. double 값을 구할 때는 반드시 피연산자를 double로 형변환! [6]
11054정성태10/5/201630237개발 환경 구성: 301. "Let's Encrypt"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s(classic)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11053정성태10/5/201624991.NET Framework: 607. C# try/catch/finally의 IL 코드 표현
11052정성태9/27/201638489개발 환경 구성: 300.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051정성태9/25/201625397개발 환경 구성: 299. docker - 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 폴더 정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50정성태9/24/201630621VC++: 101. 반올림하지 않고 double 변수 값 출력하는 방법 [3]
11049정성태9/24/201624513오류 유형: 357.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1000037
11048정성태9/24/201626066VC++: 100. 전역 변수 유형별 실행 파일 크기 차이점
11047정성태9/21/201630480기타: 61. algospot.com - 양자화(Quantization)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046정성태9/15/201631549개발 환경 구성: 298. Windows 10 - bash 실행 시 시작 디렉터리 자동 변경
11045정성태9/15/201624118Windows: 119. Windows 10 - bash 명령어 창을 실행했는데 바로 닫히는 경우
11044정성태9/15/201624245VS.NET IDE: 112.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11043정성태9/15/201624063.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42정성태9/14/201622404오류 유형: 356.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11041정성태9/10/201623462.NET Framework: 605.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 2번째 이야기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