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

.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491

.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598

.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45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742

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 https://www.sysnet.pe.kr/2/0/13747

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아래의 글에 덧글로 질문이 하나 달렸는데요.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blog.naver.com/techshare/100159602002

질문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RSAParameters로부터 서로 다른 방법으로 키를 뽑아냈는데,

using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
    RSAParameters rsaParam = RSA.ExportParameters(true);

    byte[] temp1 = rsaParam.Q; // 바이트 배열로 추출한 Q 인자

    String s = RSA.ToXmlString(true); // XML로 추출한 키
    XmlDocument doc = new XmlDocument();
    doc.LoadXml(s);
    XmlNodeList xmllist = doc.SelectNodes("/RSAKeyValue/Q");
    XmlNode node = xmllist[0];
    string ss = node.InnerText; // XML 내용 중 Q 인자의 문자열만 추출
}

temp1 바이트 내용과 ss 문자열의 내용이 어떤 관계인지를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ss의 내용을 출력 - Console.WriteLine(ss);
uXYhzfSIZumJ5N2H8jx+qGisoSL6KYyCdyGSn7NEg2L5lJ5Aa+x9mUvQq3L2Ns5EvJAOIOGeLtY9Ys+bsmEzbw==

temp1의 내용을 출력 - Console.WriteLine(BitConverter.ToString(temp1));
B9-76-21-CD-F4-88-66-E9-89-E4-DD-87-F2-3C-7E-A8-68-AC-A1-22-FA-29-8C-82-77-21-92-9F-B3-44-83-62-F9-94-9E-40-6B-EC-7D-99-4B-D0-AB-72-F6-36-CE-44-BC-90-0E-20-E1-9E-2E-D6-3D-62-CF-9B-B2-61-33-6F

ss의 내용에 보면 끝에 "=="라는 문자열이 보이는데요. Base64 인코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그래서 다음과 같이 검증해 볼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Line(Convert.ToBase64String(temp1) == ss);

당연히 True가 출력됩니다.

여기까지 읽으면 재미없는 분도 있으실 테니 ^^ 시간되시면 다음의 글들도 읽어보시면 좋겠지요.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31정성태6/15/202019270.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8136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19991.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9429.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3370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1344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9361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8054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23740.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7292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17027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0780.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9528.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8995.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17055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0623.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26573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18209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19386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16559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12211정성태4/27/202019209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
12210정성태4/20/202020633.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파일 다운로드1
12209정성태4/13/202017386오류 유형: 614.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2)
12208정성태4/12/202015930Linux: 29.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12207정성태4/2/202015723스크립트: 19. Windows PowerShell의 NonInteractive 모드
12206정성태4/2/202018374오류 유형: 613. 파일 잠금이 바로 안 풀린다면? -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