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08

.NET Framework: 613. 윈도우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예: Console)에서 알림 메시지(Toast notifications) 띄우기
; https://www.sysnet.pe.kr/2/0/11073

.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106

.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84

.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12

.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20

.NET Framework: 804. WPF(또는 WinForm)에서 UWP UI 구성 요소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99

.NET Framework: 852. WPF/WinForm에서 UWP의 기능을 이용해 Bluetooth 기기와 Pairing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01

.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470

닷넷: 2157. C# - WinRT 기능을 이용해 윈도우에서 실행 중인 Media App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3438

닷넷: 2362. C# - Windows.Media.Ocr: 윈도우 운영체제에 포함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https://www.sysnet.pe.kr/2/0/14012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재미있는 글이 하나 나왔습니다. ^^

Using Windows 8 WinRT APIs in .NET Desktop Applications
; http://blogs.msdn.com/b/cdndevs/archive/2013/10/02/using-windows-8-winrt-apis-in-net-desktop-applications.aspx

Call Windows Runtime APIs in desktop app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apps/desktop/modernize/desktop-to-uwp-enhance

그래서 저도 잠깐 따라해 봤는데요. Visual Studio 2012에서 콘솔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unload 시킨 다음 "Edit ConsoleApp.csproj" 메뉴를 이용해 csproj 파일을 로드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4.0" DefaultTargets="Build" ... />
  <PropertyGroup>
    <Configuration Condition=" '$(Configuration)' == '' ">Debug</Configuration>
    <Platform Condition=" '$(Platform)' == '' ">AnyCPU</Platform>
    <ProjectGuid>{58796591-713C-403F-9623-4004AFDE2ACA}</ProjectGuid>
    <OutputType>Exe</OutputType>
    <AppDesignerFolder>Properties</AppDesignerFolder>
    <RootNamespace>ConsoleApplication1</RootNamespace>
    <AssemblyName>ConsoleApplication1</AssemblyName>
    <TargetFrameworkVersion>v4.5</TargetFrameworkVersion>
    <FileAlignment>512</FileAlignment>
    <TargetPlatformVersion>8.0</TargetPlatformVersion>
  </PropertyGroup>

  ...[생략]...
</Project>

위와 같이 TargetPlatformVersion을 설정하니 정말로 WinRT 어셈블리인 "Windows"를 참조 추가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예제 코드를 작성해봤으나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using System;
using Windows.Devices.Sensor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celerometer accl = Accelerometer.GetDefault();

            accl.ReadingChanged += accl_ReadingChanged; // 오류 발생!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accl_ReadingChanged(Accelerometer sender, AccelerometerReadingChangedEventArgs args)
        {
        }
    }
}

Property, indexer, or event 'Windows.Devices.Sensors.Accelerometer.ReadingChanged' is not supported by the language; try directly calling accessor methods 'Windows.Devices.Sensors.Accelerometer.add_ReadingChanged(Windows.Foundation.TypedEventHandler<Windows.Devices.Sensors.Accelerometer,Windows.Devices.Sensors.AccelerometerReadingChangedEventArgs>)' or 'Windows.Devices.Sensors.Accelerometer.remove_ReadingChanged(System.Runtime.InteropServices.WindowsRuntime.EventRegistrationToken)'


이건 "Using Windows 8 WinRT APIs in .NET Desktop Applications" 원문 글을 대충 읽어보고 테스트하는 바람에 발생한 문제입니다. 원문에 분명히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옵니다. ^^

One more peace is required to enable mappings between .NET Framework types and WinRT types. They are required, for example, to handle WinRT events and async methods. To add the mapping, open Reference Manager again and manually add System.Runtime.WindowsRuntime.dll located in 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Core\v4.5


그래서 ^^ System.Runtime.WindowsRuntime.dll까지 참조 추가해 주면 정상적으로 빌드됩니다. (단지, 기본적인 참조 어셈블리 목록에는 없으므로 "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Core\v4.5" 폴더에서 직접 찾아서 추가해줘야 합니다.)

물론, 대개의 경우 가속기가 있는 PC는 없을 것이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using System;
using Windows.Devices.Sensor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celerometer accl = Accelerometer.GetDefault();

            if (accl == null)
            {
                Console.WriteLine("No Accelerometer device");
            }
            else
            {
                accl.ReadingChanged += (sender, arg) =>
                    {
                        Console.WriteLine("Reading {0}:{1}",
                            arg.Reading.AccelerationX, arg.Reading.AccelerationY);
                    };
            }

            Console.ReadLine();
        }
    }
}




한 가지 테스트해 볼 만한 것이 있다면 GPS 장치입니다.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해주고,

using System;
using Windows.Devices.Geolocation;
using Windows.Devices.Sensor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Geolocator gl = new Geolocator();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eolocation();
        }

        private static async void Geolocation()
        {
            gl.PositionChanged += gl_PositionChanged;
            var item = await gl.GetGeopositionAsync();
            Console.WriteLine("Reading {0}:{1}", item.Coordinate.Latitude, item.Coordinate.Longitude);
        }

        static void gl_PositionChanged(Geolocator sender, PositionChangedEventArgs args)
        {
            Console.WriteLine("Reading {0}:{1}",
                args.Position.Coordinate.Latitude, args.Position.Coordinate.Longitude);
        }
    }
}

실행하면 일반적인 Windows 8 PC에서는 GetGeopositionAsync 메서드 호출에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Error HRESULTE_FAIL has been returned from a call to a COM component.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Task task)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1.GetResult()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Geolocation>d__2.MoveNext() in d:\Settings...\Program.cs:line 34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AsyncMethodBuilderCore.<ThrowAsync>b__5(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QueueUserWorkItemCallback.System.Threading.IThreadPoolWorkItem.ExecuteWorkItem()
   at System.Threading.ThreadPoolWorkQueue.Dispatch()

그런데, 이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 방법이 한 가지 있습니다. ^^ 바로 Windows 8 Store App용 에뮬레이터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이 직접 시뮬레이터를 실행하고,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Windows Simulator\11.0\Microsoft.Windows.Simulator.exe" /LCID 1033

데스크톱 화면으로 전환 후 직접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해 주면 됩니다.

how_to_use_winrt_api_in_netapp_1.png

위의 화면에서 실행된 ConsoleApplication1.exe에서는 예외 없이 정상적으로 GPS 데이터를 받아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에뮬레이터의 우측 프레임 영역에 지구본 아이콘을 누르면 직접 좌표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물론, Surface 2 같은 기기만 있다면 이런 불편함도 없겠죠.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10-17 02시36분
정성태
2016-11-05 06시37분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47정성태2/3/201526417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5528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7217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4235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5547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9366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22911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31178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3590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4377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30451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30377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31223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5774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32128.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3675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32501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31899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5498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32127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8351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32683.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80557.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9688.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6873.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8186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