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Direct Show를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필터 그래프를 graphedt.exe에서 확인하는 방법

Direct Show의 IGraphBuilder로 구성한 필터 그래프를 외부에서 확인하려면 명시적으로 ROT에 등록해 줘야 합니다. 그래야만 Graph Editor(graphedt.exe)같은 도구에서 "File" / "Connect to Remote Graph..." 메뉴를 통해 볼 수 있지요. ^^

이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C# 프로그램으로 잠깐 설명했었습니다.

C#에서 DirectShow를 이용한 미디어 재생
; https://www.sysnet.pe.kr/2/0/1632

그런데, 곰플레이어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도 Direct Show를 사용하는데 혹시 이를 살펴볼 수는 없을까요? 물론 기본적으로는 해당 프로그램들에서는 그래프 빌더 객체를 ROT에 등록하지 않으므로 보이지 않습니다.

이를 극복하려면 후킹을 해야하는데요. 이미 기반 방법은 이전의 글에서 모두 설명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32

이 코드를 조금 변경해서 CoCreateInstance, CoCreateInstanceEx, CoGetClassObject 호출 시에 CLSID_FilterGraph인지 확인해 보고 맞다면 ROT에 등록하도록 다음과 같이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InterceptCOM.h"

#include <Objbase.h>
#include <Shlobj.h>
#include <dshow.h>

typedef enum tagHookSource
{
    HS_CoCreateInstance,
    HS_CoCreateInstanceEx,
    HS_CoGetClassObject
} HookSource;

#pragma comment(lib,"Strmiids.lib")

HRESULT WINAPI TrampolineCoCreateInstance(REFCLSID r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REFIID riid, LPVOID *ppv);
HRESULT WINAPI TrampolineCoCreateInstanceEx(REFCLSID 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COSERVERINFO *pServerInfo, DWORD dwCount, MULTI_QI *pResults);
HRESULT WINAPI Trampoline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HRESULT WINAPI NeoCoCreateInstance(REFCLSID r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REFIID riid, LPVOID *ppv);
HRESULT WINAPI NeoCoCreateInstanceEx(REFCLSID 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COSERVERINFO *pServerInfo, DWORD dwCount, MULTI_QI *pResults);
HRESULT WINAPI Neo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BOOL RegistFilterGraph(HookSource source, REFCLSID rclsid, IUnknown *pUnk);
BOOL InterceptAPI2(const char* c_szDllName, const char* c_szApiName, DWORD dwReplaced, DWORD dwTrampoline, int offset);

HRESULT WINAPI Trampoline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
  double  a;
  double  b;
  
  a = 0.0;
  b = 1.0;
  a = a / b;

  return 0;
}

HRESULT AddGraphToRot(IUnknown *pUnkGraph, DWORD *pdwRegister)
{
    IMoniker *pMoniker;
    IRunningObjectTable *pROT;

    if (FAILED(GetRunningObjectTable(0, &pROT)))
    {
        return E_FAIL;
    }

    wchar_t wsz[128];
    wsprintfW(wsz, L"FilterGraph %08x pid %08x", (DWORD_PTR)pUnkGraph, GetCurrentProcessId());

    HRESULT hr = CreateItemMoniker(L"!", wsz, &pMoniker);
    if (SUCCEEDED(hr))
    {
        hr = pROT->Register(0, pUnkGraph, pMoniker, pdwRegister);
        pMoniker->Release();
    }

    pROT->Release();

    return hr;
}

void OutputDebugText(const wchar_t* format, ...)
{
    wchar_t buffer[4096];

    va_list vaList;
    va_start(vaList, format);
    StringCbVPrintf(buffer, 4096, format, vaList);

    va_end(vaList);
    OutputDebugString(buffer);
}

BOOL RegistFilterGraph(HookSource source, REFCLSID rclsid, IUnknown *pUnk)
{
    wchar_t *chBuf = NULL;
    StringFromCLSID(rclsid, &chBuf);

    if (rclsid == CLSID_FilterGraph)
    {
        OutputDebugText(L"%d: %s", source, chBuf);

        DWORD dwCookie;
        AddGraphToRot(pUnk, &dwCookie);
    }

    return TRUE;
}

HRESULT WINAPI Neo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
    HRESULT hr = TrampolineCoGetClassObject(rclsid, dwClsContext, pServerInfo, riid, ppv);

    if (SUCCEEDED(hr) == TRUE)
    {
        RegistFilterGraph(HookSource::HS_CoGetClassObject, rclsid, (IUnknown *)*ppv);
    }

    return hr;
}

HRESULT WINAPI NeoCoCreateInstance(REFCLSID r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REFIID riid, LPVOID *ppv)
{
    HRESULT hr = TrampolineCoCreateInstance(rclsid, punkOuter, dwClsCtx, riid, ppv);

    if (SUCCEEDED(hr) == TRUE)
    {
        RegistFilterGraph(HookSource::HS_CoCreateInstance, rclsid, (IUnknown *)*ppv);
    }

    return hr;
}

HRESULT WINAPI NeoCoCreateInstanceEx(REFCLSID r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COSERVERINFO *pServerInfo, DWORD dwCount, MULTI_QI *pResults)
{
    HRESULT hr = TrampolineCoCreateInstanceEx(rclsid, punkOuter, dwClsCtx, pServerInfo, dwCount, pResults);

    if (SUCCEEDED(hr) == TRUE)
    {
        for (DWORD i = 0; i < dwCount; i++)
        {
            if (*pResults[i].pIID == IID_IGraphBuilder)
            {
                RegistFilterGraph(HookSource::HS_CoCreateInstanceEx, rclsid, (IUnknown *)(pResults[i].pItf));
            }
        }
    }

    return hr;
}

HRESULT WINAPI TrampolineCoCreateInstance(REFCLSID r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REFIID riid, LPVOID *ppv)
{
    double  a;
    double  b;

    a = 0.0;
    b = 1.0;
    a = a / b;

    return NULL;
}

HRESULT WINAPI TrampolineCoCreateInstanceEx(REFCLSID Clsid, IUnknown *punkOuter, DWORD dwClsCtx,
                                            COSERVERINFO *pServerInfo, DWORD dwCount, MULTI_QI *pResults)
{
  double  a;
  double  b;
  
  a = 0.0;
  b = 1.0;
  a = a / b;

  return NULL;
}

INTERCEPTCOM_API void fnInterceptCOM()
{
    InterceptAPI2("Ole32.dll", "CoCreateInstance", (DWORD)&NeoCoCreateInstance, (DWORD)&TrampolineCoCreateInstance, 5);
    InterceptAPI2("Ole32.dll", "CoCreateInstanceEx", (DWORD)&NeoCoCreateInstanceEx, (DWORD)&TrampolineCoCreateInstanceEx, 5);
    InterceptAPI2("Ole32.dll", "CoGetClassObject", (DWORD)&NeoCoGetClassObject, (DWORD)&TrampolineCoGetClassObject, 5);
}

BOOL InterceptAPI2(const char* c_szDllName, const char* c_szApiName, DWORD dwReplaced, DWORD dwTrampoline, int offset) 
{ 
    DWORD dwOldProtect = 0; 
                                    // Kernel32.dll: GetProcAddress, GetModuleHandleA
    DWORD dwAddressToIntercept = (DWORD)GetProcAddress(GetModuleHandleA((char*)c_szDllName), (char*)c_szApiName);
 
    BYTE *pbTargetCode = (BYTE *) dwAddressToIntercept; 
    BYTE *pbReplaced = (BYTE *) dwReplaced; 
    BYTE *pbTrampoline = (BYTE *) dwTrampoline; 
 
                     // Kernel32.dll: OpenProcess, GetCurrentProcessId
    HANDLE hHandle = OpenProcess(PROCESS_VM_OPERATION | PROCESS_VM_READ | PROCESS_VM_WRITE , FALSE, ::GetCurrentProcessId());

    // Kernel32.dll: VirtualProtect
    VirtualProtect((void *) dwTrampoline, 5+offset, PAGE_EXECUTE_READWRITE, &dwOldProtect); 

    SIZE_T BytesWritten;

    for (int i = 0; i < offset; i ++)
    {
        // Kernel32.dll: WriteProcessMemory
        WriteProcessMemory(hHandle,(LPVOID) pbTrampoline, pbTargetCode, 1, &BytesWritten);
        pbTrampoline ++;
        pbTargetCode ++;
    }
 
    pbTargetCode = (BYTE *) dwAddressToIntercept; 
 
    BYTE writeByte = 0xE9;
    WriteProcessMemory(hHandle,(LPVOID) pbTrampoline, &writeByte, 1, &BytesWritten);
    pbTrampoline++;
 
    int writeInt = (pbTargetCode+offset) - (pbTrampoline + 4); 
    WriteProcessMemory(hHandle,(LPVOID) pbTrampoline, &writeInt, 4, &BytesWritten);

    VirtualProtect((void *) dwTrampoline, 5+offset, PAGE_EXECUTE, &dwOldProtect); 
 
    VirtualProtect((void *) dwAddressToIntercept, 5, PAGE_WRITECOPY, &dwOldProtect); 
 
    writeByte = 0xE9;
    WriteProcessMemory(hHandle,(LPVOID) pbTargetCode, &writeByte, 1, &BytesWritten);
    pbTargetCode++;

    writeInt = pbReplaced - (pbTargetCode +4); 
    WriteProcessMemory(hHandle,(LPVOID) pbTargetCode, &writeInt, 4, &BytesWritten);

    // Kernel32.dll: VirtualProtectEx
    VirtualProtectEx(hHandle, (void *) dwAddressToIntercept, 5, PAGE_EXECUTE_READWRITE, &dwOldProtect); 
 
    // Kernel32.dll: FlushInstructionCache, GetCurrentProcess
    FlushInstructionCache(GetCurrentProcess(), NULL, NULL);

    // Kernel32.dll: CloseHandle
    CloseHandle(hHandle);
 
    return TRUE; 
} 

BOOL APIENTRY DllMain( HMODULE hModule, DWORD  ul_reason_for_call, LPVOID lpReserved)
{
    switch (ul_reason_for_call)
    {
    case DLL_PROCESS_ATTACH:
        DisableThreadLibraryCalls(hModule);

        fnInterceptCOM();
        break;

    case DLL_THREAD_DETACH:
    case DLL_PROCESS_DETACH:
    case DLL_THREAD_ATTACH:
        break;
    }
    return TRUE;
}

위의 방법은 같은 프로세스에서 후킹을 하는데, 다른 프로세스로 넘어가려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변수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7

즉, COM 생성 호출을 가로채는 프로젝트를 InterceptCOM.dll이라고 만들어두고 다른 프로세스에 해당 DLL을 로드해주는 RemoteLoad.exe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다음은 RemoteLoad.exe의 코드입니다. (NtRemoteLoad)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include <stdio.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har szDllName[] = "InterceptCOM.dll";
    HANDLE hProc = NULL;
    LPVOID pRemoteDll = NULL;

    BOOL result = 1;

    do
    {
        char fullPath[MAX_PATH] = { 0 };

        DWORD dwPID = 0;
        if (argc == 2)
        {
            dwPID = _ttoi(argv[1]);
        }
        else
        {
            printf("RemoteLoad [pid]");
            break;
        }

        ::GetModuleFileNameA(::GetModuleHandle(NULL), fullPath, MAX_PATH);
        char *pos = strrchr(fullPath, '\\');
        if (pos == nullptr)
        {
            printf("Path is invalid\n");
            break;
        }

        strcpy(pos + 1, szDllName);
        printf("%s\n", fullPath);

        hProc = OpenProcess(PROCESS_ALL_ACCESS, FALSE, dwPID);

        if (hProc == NULL)
        {
            printf("OpenProcess\n");
            break;
        }

        pRemoteDll = VirtualAllocEx(hProc, NULL, sizeof(fullPath)+1, MEM_COMMIT, PAGE_READWRITE);
        if(!pRemoteDll)
        {
            printf("VirtualAllocEx\n");
            break;
        }

        if (!WriteProcessMemory(hProc, pRemoteDll, fullPath, sizeof(fullPath)+1, NULL))
        {
            printf("WriteProcessMemory\n");
            break;
        }

        HMODULE hKernel32 = GetModuleHandle(L"KERNEL32.DLL");
        LPTHREAD_START_ROUTINE pfnLoadLibrary = (LPTHREAD_START_ROUTINE)GetProcAddress(hKernel32, "LoadLibraryA");
        if (pfnLoadLibrary == NULL)
        {
            printf("GetProcAddress\n");
            break;
        }

        HANDLE hThread = CreateRemoteThread(hProc, NULL, 0, pfnLoadLibrary, pRemoteDll, 0, NULL);
        if (hThread == NULL)
        {
            printf("CreateRemoteThread\n");
            break;
        }

        WaitForSingleObject(hThread, 1000 * 5); // 최대 5초 대기

        DWORD dwRet = 0;
        if (GetExitCodeThread(hThread, &dwRet) == TRUE)
        {
            TCHAR out[1024];
            swprintf_s(out, L"Injection finished.\nExit code: 0x%08lX", dwRet);
            result = 0;
        }

        printf("Injection finished\n");

    } while (false);

    if (pRemoteDll != NULL)
    {
        VirtualFreeEx(hProc, pRemoteDll, 0, MEM_RELEASE);
        pRemoteDll = NULL;
    }

    if (hProc != NULL)
    {
        CloseHandle(hProc);
        hProc = NULL;
    }

    return result;
}

이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mplayer.exe)를 실행시키고 Process Id(여기서는 13636이라고 가정)를 알아낸 다음 아래와 같이 실행시키면,

RemoteLoad.exe 13636

해당 프로세스에 InterceptCOM.dll이 올라오고 이후로 생성되는 GraphBuilder COM 개체를 자동으로 ROT에 등록해 줍니다. (하지만, 해제해주는 배려는 없습니다. ^^ 상용 프로젝트가 아니므로 그런 노력은 생략했습니다.)

wmplayer.exe에서 "송현 시인의 행복발견" 강의를 하나 틀어보고,

송현 시인의 행복발견 - 법정스님께서 감동한 유서와 불살생 
; mms://61.74.62.214/tv/soh/soh38.wmv

Graph Editor(graphedt.exe)를 실행시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 Filter Graph를 볼 수 있습니다.

graph_builder_hook_1.png

어휴~~~ mms 프로토콜 재생이 간단하지 않군요. ^^

그다음 GOM 플레이어에서 "Let it go"를 부르는 국내 가수의 mp4 동영상을 재생하고 Filter Graph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graph_builder_hook_2.png

오~~~ GOM 플레이어는 나름대로 제작한 Gretech Video/Audio 필터를 이용해 처리하고 있군요. ^^




InterceptCOM.dll과 RemoteLoad.exe의 완전한 프로젝트 소스는 첨부 파일에 넣어두었습니다.

참고로, 테스트 해본 결과 wmplayer.exe와 GOM 플레이어는 모두 COM 개체 생성할 때 CoCreateInstance로만 가로채기가 되었으므로 나머지 2개 가로채기는 사실상 없애도 됩니다. 단지, 제가 좀 더 테스트했던 것은 Internet Explorer 11 내부에서 ActiveX로 실행된 Media Player의 필터 그래프를 가로채고 싶어 다양하게 해보았던 것인데 그중 하나도 IE 11 Media Player ActiveX의 그래프 빌더 개체를 가로챌 수는 없었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 성공하시게 된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2정성태4/7/201920162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11861정성태4/6/201919622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3478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0701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1612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519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773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929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580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388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611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360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399.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773.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502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2972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618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763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3085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8038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384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696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320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245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874.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809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