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Test"라는 이름의 Web Application 디렉터리를 삭제한 후, 또다시 "Test"라는 이름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려고 할 때 오류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XP)

이런 경우, 이미 IIS Metabase에 기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재부팅 이후에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이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 C:\Inetpub\wwwroot로 이동해서, 동일한 이름의 "Test" 폴더를 만듭니다. IIS 관리자에 들어가서 해당 "Test" 폴더의 "속성" 창을 띄운 후,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이후, 다시 "웹 애플리케이션" 제거를 선택하고, 탐색기에서 해당 "Test" 폴더를 삭제하면 끝입니다.

이젠 원하는 폴더에서 "Test" 폴더를 web 공유시켜도 오류가 나지 않습니다.

XP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시고,,, Windows 2003에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위에서 눈치를 채신 분도 계시겠지만, IIS Metabase를 직접 편집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53정성태2/9/202315432Windows: 222. C# - 다른 윈도우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음을 인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52정성태2/9/202313424오류 유형: 844. ssh로 명령어 수행 시 멈춤 현상
13251정성태2/8/202314782스크립트: 44. 파이썬의 3가지 스레드 ID
13250정성태2/8/202315671오류 유형: 843.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 Unable to configure HTTPS endpoint
13249정성태2/7/202317615오류 유형: 842. 리눅스 - You must wait longer to change your password
13248정성태2/7/202312584오류 유형: 841. 리눅스 - [사용자 계정]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13247정성태2/7/202315591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13246정성태2/6/202315625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245정성태2/6/202314681.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44정성태2/5/202315363VS.NET IDE: 179. Visual Studio - External Tools에 Shell 내장 명령어 등록
13243정성태2/5/202315590디버깅 기술: 190. windbg - Win32 API 호출 시점에 BP 거는 방법 [1]
13242정성태2/4/202314390디버깅 기술: 189.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13241정성태2/3/202312391디버깅 기술: 188.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13240정성태2/1/202314502디버깅 기술: 187.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9정성태2/1/202312141디버깅 기술: 186. C# - CacheDependency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8정성태1/31/202318187.NET Framework: 2092. IIS 웹 사이트를 TLS 1.2 또는 TLS 1.3 프로토콜로만 운영하는 방법
13237정성태1/30/202316455.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16044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15611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18668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18386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14397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12897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14339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17057.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18045.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