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9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1

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

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053

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68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cmd.exe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던 제어판의 시스템 로케일 값에 따라 다릅니다.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 https://www.sysnet.pe.kr/2/0/762

윈도우 8.1에서는 "제어판" / "국가 또는 지역(Region)"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관리자 옵션(Administrative)" 탭의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용 언어(Language for non-Unicode programs)"를 "한국어(Korean)"로 설정하는 것과 영어(English)로 설정하는 것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본 폰트 제공이 다릅니다.

font_in_console_1.png

시스템 로케일이 영문인 경우:
- Lucida Console
- Consolas 
- Raster Fonts

시스템 로케일이 한글인 경우:
- Raster Fonts
- 굴림체

위의 그림에서 왼쪽은 시스템 로케일 언어가 영문인 경우의 cmd.exe 속성창을 본 것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한글이 없습니다. 하지만 시스템 로케일 언어가 한글인 경우의 오른쪽 그림은 "굴림체" 폰트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자체를 영문 윈도우로 설치했느냐, 한글 윈도우로 설치했느냐와 무관합니다. 즉, 영문 윈도우를 설치했어도 시스템 로케일 값을 한글로 바꾸면 콘솔(cmd.exe) 창에서 한글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합니다.

콘솔(cmd.exe)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nt_in_console_2.png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Console\TrueTypeFont

기본값 목록

0: Lucida Console
00: Consolas
932: *MS ゴシック
936: *新宋?
949: *굴림체
950: *細明體

확실한 내부 동작은 알 수 없지만 영문과 한글의 경우 폰트가 다르게 보이는 것은 코드 페이지와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가령, chcp 명령어로 해당 콘솔 창의 코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시스템 로케일 == 영문인 경우)

c:\temp>chcp
Active code page: 437

시스템 로케일 == 한글인 경우) 

c:\temp>chcp
Active code page: 949

시스템 로케일이 한글인 경우 기본 코드 페이지가 949이고, 이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949: *굴림체" 항목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관련된 자료를 찾지 못해서 할 수가 없군요. ^^)

그렇다면 혹시 시스템 로케일이 영문인 경우 코드 페이지만 변경해서 한글 폰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직접 해보면 알 수 있지만 아쉽게도 cmd.exe 창의 특별한 설계 탓인지 949 코드 페이지 변경은 실패합니다. 그 외에 유니코드 코드 페이지인 Little Endian 용 1200과 Big Endian 용 1201로의 전환도 실패합니다.

시스템 로케일 == 영문인 경우)

C:\temp>chcp 949
Invalid code page

C:\temp>chcp 1200
Invalid code page

C:\temp>chcp 1201
Invalid code page

유니 코드 용으로 허용되는 것은 UTF-8 코드 페이지인 65001입니다.

C:\temp>chcp 65001
Active code page: 65001

재미있는 것은 이렇게 바꾸고 dir 같은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dir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8A2C-9CD0

 Directory of C:\temp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저 오류 메시지를 본 기억이 나는군요. ^^

cmd.exe -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 https://www.sysnet.pe.kr/2/0/1277

위의 글에서 설명했던 대로 "dir > con"과 같은 식으로 출력을 redirect시키면 실행 결과가 보입니다. ^^




글의 주제로 돌아와서,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녹록치 않은데, 마이크로소프트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ecessary criteria for fonts to be available in a command window
; http://support.microsoft.com/kb/247815/en-us

- The font must be a fixed-pitch font.
- The font cannot be an italic font.
- The font cannot have a negative A or C space.
- If it is a TrueType font, it must be FF_MODERN.
- If it is not a TrueType font, it must be OEM_CHARSET.

저야 폰트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위의 내용을 자세하게 이해하지는 못하겠지만 (또한 저 기준으로 만족하는 폰트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고정 폭' 폰트여야 한다는 것이 기본 전제입니다. 이를 "monospaced font"라고도 말하는 것 같은데, 다음의 폰트 관련 사이트에서 이 기준을 만족하는 폰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FONTSPACE
; http://www.fontspace.com/
; http://www.fontspace.com/search/?q=monospace

FONT ex
; http://www.fontex.org/
; http://www.fontex.org/monospaced-fonts.html

FONTS2U
; http://www.fonts2u.com
; http://www.fonts2u.com/category.html?id=17

위의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monospaced font들을 테스트 해본 것은 아니지만 "Necessary criteria for fonts to be available in a command window"의 엄격한 규칙 때문에 "monospaced font"라고 해서 모두 cmd.exe 창에서 등록되는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어쨌든 요행을 바라고 ^^ 한번 등록해 보는 식으로 사용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해보니까 다음의 폰트들이 등록 가능했습니다. (물론, 더 있겠지만!)

White Rabbit font
; http://www.dafont.com/white-rabbit.font

DejaVuSansMono.ttf
; http://dejavu-fonts.org/wiki/Main_Page

Free UCS Outline Fonts (FreeMono)
; http://savannah.gnu.org/projects/freefont/

등록 방법은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Console\TrueTypeFont 경로에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0"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등록하고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그럼 cmd.exe 속성 창에서 다음과 같이 등록된 폰트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font_in_console_3.png

그런데, 폰트 이름은 어디서 구하는 걸까요? 역시 레지스트리의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s" 경로에 가면 시스템에 등록된 폰트 목록이 나오고 그중에서 "Name" 영역에 해당하는 것 중 괄호를 제외한 영역을 이름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font_in_console_4.png




참고로, 폰트 폴더에 대해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면 특수 폴더의 뷰가 아닌 일반 파일 뷰로 볼 수 있습니다.

attrib -r -s c:\Windows\Fonts

또한 폰트 파일을 구해서 설치하는 중에 실수로 윈도우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암호화된 상태의 TTF 파일을 더블 클릭한 후 "Install" 버튼을 눌러 설치했는데 해당 폰트들은 탐색기의 "C:\Windows\Fonts"에 보이지 않았고, 부팅 속도가 눈에 띄게 저하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attrib 명령을 통해 일반 파일 뷰로 바꾸면 파일이 암호화된 상태임을 알리는 색상으로 파일명이 표시되는데, 해당 암호화 기능을 풀어주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6-25 01시02분
이 글은 근래의 Windows 10에서 유효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www.sysnet.pe.kr/2/0/11559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89정성태7/5/201026561.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352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193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397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3949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6897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8779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607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035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704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495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230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678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406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271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609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185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199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668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8961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827.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721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0610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1206.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6295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0177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