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9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1

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

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053

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68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cmd.exe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던 제어판의 시스템 로케일 값에 따라 다릅니다.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 https://www.sysnet.pe.kr/2/0/762

윈도우 8.1에서는 "제어판" / "국가 또는 지역(Region)"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관리자 옵션(Administrative)" 탭의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용 언어(Language for non-Unicode programs)"를 "한국어(Korean)"로 설정하는 것과 영어(English)로 설정하는 것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본 폰트 제공이 다릅니다.

font_in_console_1.png

시스템 로케일이 영문인 경우:
- Lucida Console
- Consolas 
- Raster Fonts

시스템 로케일이 한글인 경우:
- Raster Fonts
- 굴림체

위의 그림에서 왼쪽은 시스템 로케일 언어가 영문인 경우의 cmd.exe 속성창을 본 것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한글이 없습니다. 하지만 시스템 로케일 언어가 한글인 경우의 오른쪽 그림은 "굴림체" 폰트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자체를 영문 윈도우로 설치했느냐, 한글 윈도우로 설치했느냐와 무관합니다. 즉, 영문 윈도우를 설치했어도 시스템 로케일 값을 한글로 바꾸면 콘솔(cmd.exe) 창에서 한글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합니다.

콘솔(cmd.exe)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nt_in_console_2.png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Console\TrueTypeFont

기본값 목록

0: Lucida Console
00: Consolas
932: *MS ゴシック
936: *新宋?
949: *굴림체
950: *細明體

확실한 내부 동작은 알 수 없지만 영문과 한글의 경우 폰트가 다르게 보이는 것은 코드 페이지와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가령, chcp 명령어로 해당 콘솔 창의 코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시스템 로케일 == 영문인 경우)

c:\temp>chcp
Active code page: 437

시스템 로케일 == 한글인 경우) 

c:\temp>chcp
Active code page: 949

시스템 로케일이 한글인 경우 기본 코드 페이지가 949이고, 이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949: *굴림체" 항목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관련된 자료를 찾지 못해서 할 수가 없군요. ^^)

그렇다면 혹시 시스템 로케일이 영문인 경우 코드 페이지만 변경해서 한글 폰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직접 해보면 알 수 있지만 아쉽게도 cmd.exe 창의 특별한 설계 탓인지 949 코드 페이지 변경은 실패합니다. 그 외에 유니코드 코드 페이지인 Little Endian 용 1200과 Big Endian 용 1201로의 전환도 실패합니다.

시스템 로케일 == 영문인 경우)

C:\temp>chcp 949
Invalid code page

C:\temp>chcp 1200
Invalid code page

C:\temp>chcp 1201
Invalid code page

유니 코드 용으로 허용되는 것은 UTF-8 코드 페이지인 65001입니다.

C:\temp>chcp 65001
Active code page: 65001

재미있는 것은 이렇게 바꾸고 dir 같은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dir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8A2C-9CD0

 Directory of C:\temp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저 오류 메시지를 본 기억이 나는군요. ^^

cmd.exe -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 https://www.sysnet.pe.kr/2/0/1277

위의 글에서 설명했던 대로 "dir > con"과 같은 식으로 출력을 redirect시키면 실행 결과가 보입니다. ^^




글의 주제로 돌아와서,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녹록치 않은데, 마이크로소프트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ecessary criteria for fonts to be available in a command window
; http://support.microsoft.com/kb/247815/en-us

- The font must be a fixed-pitch font.
- The font cannot be an italic font.
- The font cannot have a negative A or C space.
- If it is a TrueType font, it must be FF_MODERN.
- If it is not a TrueType font, it must be OEM_CHARSET.

저야 폰트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위의 내용을 자세하게 이해하지는 못하겠지만 (또한 저 기준으로 만족하는 폰트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고정 폭' 폰트여야 한다는 것이 기본 전제입니다. 이를 "monospaced font"라고도 말하는 것 같은데, 다음의 폰트 관련 사이트에서 이 기준을 만족하는 폰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FONTSPACE
; http://www.fontspace.com/
; http://www.fontspace.com/search/?q=monospace

FONT ex
; http://www.fontex.org/
; http://www.fontex.org/monospaced-fonts.html

FONTS2U
; http://www.fonts2u.com
; http://www.fonts2u.com/category.html?id=17

위의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monospaced font들을 테스트 해본 것은 아니지만 "Necessary criteria for fonts to be available in a command window"의 엄격한 규칙 때문에 "monospaced font"라고 해서 모두 cmd.exe 창에서 등록되는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어쨌든 요행을 바라고 ^^ 한번 등록해 보는 식으로 사용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해보니까 다음의 폰트들이 등록 가능했습니다. (물론, 더 있겠지만!)

White Rabbit font
; http://www.dafont.com/white-rabbit.font

DejaVuSansMono.ttf
; http://dejavu-fonts.org/wiki/Main_Page

Free UCS Outline Fonts (FreeMono)
; http://savannah.gnu.org/projects/freefont/

등록 방법은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Console\TrueTypeFont 경로에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0"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등록하고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그럼 cmd.exe 속성 창에서 다음과 같이 등록된 폰트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font_in_console_3.png

그런데, 폰트 이름은 어디서 구하는 걸까요? 역시 레지스트리의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s" 경로에 가면 시스템에 등록된 폰트 목록이 나오고 그중에서 "Name" 영역에 해당하는 것 중 괄호를 제외한 영역을 이름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font_in_console_4.png




참고로, 폰트 폴더에 대해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면 특수 폴더의 뷰가 아닌 일반 파일 뷰로 볼 수 있습니다.

attrib -r -s c:\Windows\Fonts

또한 폰트 파일을 구해서 설치하는 중에 실수로 윈도우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암호화된 상태의 TTF 파일을 더블 클릭한 후 "Install" 버튼을 눌러 설치했는데 해당 폰트들은 탐색기의 "C:\Windows\Fonts"에 보이지 않았고, 부팅 속도가 눈에 띄게 저하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attrib 명령을 통해 일반 파일 뷰로 바꾸면 파일이 암호화된 상태임을 알리는 색상으로 파일명이 표시되는데, 해당 암호화 기능을 풀어주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6-25 01시02분
이 글은 근래의 Windows 10에서 유효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www.sysnet.pe.kr/2/0/11559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5정성태6/20/200622535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269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132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510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0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48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15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689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19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81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679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900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843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58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884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492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209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261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344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331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602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104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003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0923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422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08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